본문내용
지 않습니다. 그러나 9절에서-내 영혼을 죄인과 함께, 내 생명을 살인자와 함께 거두지 마소서/ 이런 기도를 하는 것을 보면 다윗은 악인들에게 핍박과 고소를 당하고 있고 그래서 주님께서 자신을 구원해 주실 것을 기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 다윗의 행위가 중요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다윗은 1절에 자신의 완전하게 행했다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완전함이라는 것은 전적으로 부패한 존재가 아니어서 아무런 죄도 짓지 않았다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또한 시인이 정말로 완전의 상태에 도달해 있다는 것을 뜻하지도 않습니다. 완전함은 히브리어 명사로 톰, 형용사로는 탐인데 이런 단어들은 먼저 노아에게 발견됩니다. 창6:8-노아는 의인이요 당대에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으며/ 그리고 창17:1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 창25:27- 야곱은 조용한 사람이었으므로 장막에 거주하니/ 여기서 야곱에 대해서 사람이라고 했는데 [조용한] 은 번역이 좋지 않고 히브리 원문은 [탐] 으로써 완전한, 흠이 없는, 이런 뜻입니다. 성경은 노아나 믿음의 족장들이 완전한 삶을 살았다고 말하는데 여기서의 완전함은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속에서 살았다는 것, 언약적 순종으로 살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이 단어들 뒤에는 행하다 라는 말과 연관되어 나옵니다. 노아는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다, 아브라함에게 너는 행하여 완전하라/ 오늘 시편의 시인도 1절 완전함에 행했다고 말하고 3절에는 내가 주의 진리 중에 행하여-진리는 성경에서 주의 말씀이므로 주의 말씀과 함께 행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다윗은 자신이 믿음의 족장들과 같은 신앙을 가지고 하나님과 언약 관계 안에서 올바른 삶을 살았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성경의 의인들, 그리고 오늘 다윗의 완전함은 비록 자신의 행위가 완전하다고 말하지만 이 완전함은 자신에게서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 또한 중요합니다. 다윗의 완전함은 개별적으로 혼자서 완전하게 행했다는 것이 아니라 주의 말씀과 함께, 은혜의 언약 관계 속에서 주님을 의지하며 행하는, 그런 완전함을 뜻합니다. 은혜가 먼저 없었다면 다윗은 결코 완전함 가운데 행할 수 없는 것입니다. 게다가 본문에서 다윗은 자신의 완전함을 주장할 때 여전히 하나님의 긍휼에 호소하고 있습니다. 3절-주의 인자하심이 내 목전에 있나이다/ 11절-나는 나의 완전함에 행하오리니 나를 속량하시고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다윗의 완전함은 홀로 완전함이 아닌 주님이 주신 은혜로 인해 가능함으로 그는 주의 긍휼과 인자에 계속 호소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윗이 바리새인들처럼 교만한 마음으로 이 기도를 드리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다윗은 4절-5절에서 악인들을 멀리하고 악인의 본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자신을 지켰다고 주장합니다. 4-5 허망한 사람과 같이 앉지 아니하였사오니 간사한 자와 동행하지도 아니하리이다 5.내가 행악자의 집회를 미워하오니 악한 자와 같이 앉지 아니하리이다/ 이 구절은 시편 1편에서 복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본문에서 다윗의 행위가 중요하게 묘사되어 있습니다. 다윗은 1절에 자신의 완전하게 행했다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완전함이라는 것은 전적으로 부패한 존재가 아니어서 아무런 죄도 짓지 않았다는 것을 뜻하지 않습니다. 또한 시인이 정말로 완전의 상태에 도달해 있다는 것을 뜻하지도 않습니다. 완전함은 히브리어 명사로 톰, 형용사로는 탐인데 이런 단어들은 먼저 노아에게 발견됩니다. 창6:8-노아는 의인이요 당대에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으며/ 그리고 창17:1 너는 내 앞에서 행하여 완전하라/ 창25:27- 야곱은 조용한 사람이었으므로 장막에 거주하니/ 여기서 야곱에 대해서 사람이라고 했는데 [조용한] 은 번역이 좋지 않고 히브리 원문은 [탐] 으로써 완전한, 흠이 없는, 이런 뜻입니다. 성경은 노아나 믿음의 족장들이 완전한 삶을 살았다고 말하는데 여기서의 완전함은 하나님과의 올바른 관계속에서 살았다는 것, 언약적 순종으로 살았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이 단어들 뒤에는 행하다 라는 말과 연관되어 나옵니다. 노아는 완전한 자라 그는 하나님과 동행하였다, 아브라함에게 너는 행하여 완전하라/ 오늘 시편의 시인도 1절 완전함에 행했다고 말하고 3절에는 내가 주의 진리 중에 행하여-진리는 성경에서 주의 말씀이므로 주의 말씀과 함께 행했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다윗은 자신이 믿음의 족장들과 같은 신앙을 가지고 하나님과 언약 관계 안에서 올바른 삶을 살았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성경의 의인들, 그리고 오늘 다윗의 완전함은 비록 자신의 행위가 완전하다고 말하지만 이 완전함은 자신에게서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이 또한 중요합니다. 다윗의 완전함은 개별적으로 혼자서 완전하게 행했다는 것이 아니라 주의 말씀과 함께, 은혜의 언약 관계 속에서 주님을 의지하며 행하는, 그런 완전함을 뜻합니다. 은혜가 먼저 없었다면 다윗은 결코 완전함 가운데 행할 수 없는 것입니다. 게다가 본문에서 다윗은 자신의 완전함을 주장할 때 여전히 하나님의 긍휼에 호소하고 있습니다. 3절-주의 인자하심이 내 목전에 있나이다/ 11절-나는 나의 완전함에 행하오리니 나를 속량하시고 내게 은혜를 베푸소서/ 다윗의 완전함은 홀로 완전함이 아닌 주님이 주신 은혜로 인해 가능함으로 그는 주의 긍휼과 인자에 계속 호소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다윗이 바리새인들처럼 교만한 마음으로 이 기도를 드리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다윗은 4절-5절에서 악인들을 멀리하고 악인의 본으로부터 오염되지 않도록 자신을 지켰다고 주장합니다. 4-5 허망한 사람과 같이 앉지 아니하였사오니 간사한 자와 동행하지도 아니하리이다 5.내가 행악자의 집회를 미워하오니 악한 자와 같이 앉지 아니하리이다/ 이 구절은 시편 1편에서 복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추천자료
시편 장별 요약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강해 제15장 생명에 이르는 회개
[도덕][도덕 성격][도덕문제][법][법적 강행화][윤리적 판단][도덕 관련 문제제기 사례]도덕...
교육과정A형] 2020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만 5세 유아의 ‘적응능력 향상 활동’을 개...
인간과교육 202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 설명...
인간과교육 2021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 종...
인간과교육 )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단계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
아동발달_아동발달 이론 중 본인의 생각과 가장 일치하거나 공감하는 이론 한 가지를 선택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