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선생님이 부르면
C1: (다 함께) 네네 선생님!
송편을 만들기 전에 송편을 만들거나 먹어본 경험을 공유한다.
이때 송편이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임을 이야기하고, 송편뿐만 아니라 추석과 관련된 경험도 있다면 함께 나누어본다.
T1: 우리는 지금부터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오는 떡을 만들어볼 거예요. 송편 먹어본 친구 손 들고 어떤 맛이었는지 이야기해줄래요? ○○이가 한 번 이야기해볼까요?
C1: 엄청나게 달고 맛있었어요.
T2: 맞아요. 송편은 쫀득쫀득하고, 달콤해요. 그럼 혹시 송편은 주로 언제 먹는지 알고 있나요? 아는 친구들 다 같이 대답해봐요.
C2: (다 함께) 추석이요.
T3: 우와~ 다들 이미 알고 있었구나. 맞아요. 송편은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랍니다.
4~5명 정도 그룹을 지어 송편을 만든다.
교사는 성장이 빠른 아동뿐만 아니라 아직 소근육 활동이 어려운 아동도 직접 송편 만들기를 시도해볼 수 있도록 앞에서 시범을 보인다.
교사는 발달이 느린 아동이 자신의 결과물을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며 좌절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격려해준다.
T1: 그럼 우리 지금부터 같이 송편을 만들어봐요.
T2: 옆에 있는 밀가루 반죽을 조금 뜯어서, 내가 넣고 싶은 재료를 넣고, 이렇게 조물조물하면 완성!
T3: 우와~ 우리 ○○이 지금 송편을 하트 모양으로 만든 거야? 어떻게 만드는 건지 선생님한테도 알려주라.
송편 만들기가 끝나면 아이들과 함께 뒷정리한다.
아이들이 자신이 한 일에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와 함께 청소한다.
T1: 지금부터는 청소할 거예요. 접시는 이쪽으로 쓰레기는 쓰레기통 안에다
C1: (다 함께) 네네 선생님!
송편을 만들기 전에 송편을 만들거나 먹어본 경험을 공유한다.
이때 송편이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임을 이야기하고, 송편뿐만 아니라 추석과 관련된 경험도 있다면 함께 나누어본다.
T1: 우리는 지금부터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나오는 떡을 만들어볼 거예요. 송편 먹어본 친구 손 들고 어떤 맛이었는지 이야기해줄래요? ○○이가 한 번 이야기해볼까요?
C1: 엄청나게 달고 맛있었어요.
T2: 맞아요. 송편은 쫀득쫀득하고, 달콤해요. 그럼 혹시 송편은 주로 언제 먹는지 알고 있나요? 아는 친구들 다 같이 대답해봐요.
C2: (다 함께) 추석이요.
T3: 우와~ 다들 이미 알고 있었구나. 맞아요. 송편은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랍니다.
4~5명 정도 그룹을 지어 송편을 만든다.
교사는 성장이 빠른 아동뿐만 아니라 아직 소근육 활동이 어려운 아동도 직접 송편 만들기를 시도해볼 수 있도록 앞에서 시범을 보인다.
교사는 발달이 느린 아동이 자신의 결과물을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며 좌절하지 않도록 끊임없이 격려해준다.
T1: 그럼 우리 지금부터 같이 송편을 만들어봐요.
T2: 옆에 있는 밀가루 반죽을 조금 뜯어서, 내가 넣고 싶은 재료를 넣고, 이렇게 조물조물하면 완성!
T3: 우와~ 우리 ○○이 지금 송편을 하트 모양으로 만든 거야? 어떻게 만드는 건지 선생님한테도 알려주라.
송편 만들기가 끝나면 아이들과 함께 뒷정리한다.
아이들이 자신이 한 일에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사와 함께 청소한다.
T1: 지금부터는 청소할 거예요. 접시는 이쪽으로 쓰레기는 쓰레기통 안에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