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가. 베르누이 방정식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예비리포트 ‘4)실험 결과의 정리’ 내용
5) 결론 및 고찰
나. 운동량 원리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예비리포트 ‘4)실험 결과의 정리’ 내용
5) 결론 및 고찰
다. 피토 정압관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실습 2’의 경우 y-v 그래프 첨부
5) 결론 및 고찰
라. 출처 및 참고문헌
가. 베르누이 방정식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예비리포트 ‘4)실험 결과의 정리’ 내용
5) 결론 및 고찰
나. 운동량 원리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예비리포트 ‘4)실험 결과의 정리’ 내용
5) 결론 및 고찰
다. 피토 정압관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4) ‘실습 2’의 경우 y-v 그래프 첨부
5) 결론 및 고찰
라.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과의 정리’ 내용
5) 결론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운동량 원리에 대한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들을 비교하여 보면 실험 1(깃 90도)일 때는 실제 힘 와 거의 비슷한 실험 결과를 보였고, 실험 2(깃 120도)와 실험 3(깃 180도) 두 실험 결과는 서로 비슷한 결과 값을 얻어내었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의 깃을 비교를 해보면 만약 깃을 장착하고 물을 퍼뜨려야 하는 장치를 설계 할 필요가 있을 때, 실험 1의 90도 깃은 설계가 쉬운 측에 속하는 재료 설계가 되지만 운동량 면에서는 많은 운동량을 못 가지는 재료임을 알 수 있고, 실험 2와 실험 3의 두 가지 깃은 90도 깃 보다 높은 운동량을 가지는 재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깃 180도는 내부를 120도 깃보다 더욱 깊숙이 파내어 내야 하는 재료이고, 어떻게 보면 깃 120도보다 더욱 설계가 어려운 재료라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120도를 선택하여 깃을 장착해야하는 장치를 설계하면 가장 효과적인 설계가 될 것이다.
다. 피토 정압관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No.
피토관 높이 (mm)
Q (L/hour)
Q환산값 (10-3m3/s)
ΔP (N/m2)
(정압/ 전압)
V (m/sec)
(정압/ 전압)
A(10-6m2)
(정압/ 전압)
1차 실험
0
1400
0.389
84
96
305
285
784.06
732.65
4
82
96
305
282
784.06
724.94
8
82
95
305
283
784.06
727.51
12
82
94
304
283
781.49
727.51
2차 실험
0
2400
0.667
128
168
303
264
454.27
395.80
4
129
168
303
266
454.27
398.80
8
129
167
302
265
452.77
397.30
12
133
168
298
265
446.78
397.30
3차 실험
0
3400
0.944
175
257
329
272
348.52
288.14
4
175
255
330
273
349.58
289.19
8
177
258
324
268
343.22
283.90
12
180
250
321
272
340.04
288.14
4) ‘실습 2’의 경우 y-v 그래프 첨부
5) 결론 및 고찰
피토 정압관을 이용하여 수두의 차와 유속을 측정함으로써 정압, 전압을 측정하고 위치에 따른 물의 위치에너지 변화에 의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그 수두차를 이용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할 수 있는 실험이다. 이론적인 부분을 근삿값으로 많이 확인할 수 있었던 실험이다. 대신 압력계 관에 물방울이 조금 맺혀 유량 압력의 측정이 애매했다. 조절판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정확히 조절을 하지 못해서 오차가 날 수 있었다. 그리고 액주계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사람의 눈으로 측정하는 것이라 정확히 읽지 못했던 점도 오차의 원인이 될 만하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험장치 자체에서 정확한 값을 판단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야 할 것 같다.
라. 출처 및 참고문헌
항공우주공학실험(유체) 예비레포트
5) 결론 및 고찰
이번 실험은 운동량 원리에 대한 실험이었다. 실험 결과 들을 비교하여 보면 실험 1(깃 90도)일 때는 실제 힘 와 거의 비슷한 실험 결과를 보였고, 실험 2(깃 120도)와 실험 3(깃 180도) 두 실험 결과는 서로 비슷한 결과 값을 얻어내었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의 깃을 비교를 해보면 만약 깃을 장착하고 물을 퍼뜨려야 하는 장치를 설계 할 필요가 있을 때, 실험 1의 90도 깃은 설계가 쉬운 측에 속하는 재료 설계가 되지만 운동량 면에서는 많은 운동량을 못 가지는 재료임을 알 수 있고, 실험 2와 실험 3의 두 가지 깃은 90도 깃 보다 높은 운동량을 가지는 재료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깃 180도는 내부를 120도 깃보다 더욱 깊숙이 파내어 내야 하는 재료이고, 어떻게 보면 깃 120도보다 더욱 설계가 어려운 재료라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120도를 선택하여 깃을 장착해야하는 장치를 설계하면 가장 효과적인 설계가 될 것이다.
다. 피토 정압관에 관한 실험
3) 실험 결과: 실험 측정값, 계산값 표로 첨부
No.
피토관 높이 (mm)
Q (L/hour)
Q환산값 (10-3m3/s)
ΔP (N/m2)
(정압/ 전압)
V (m/sec)
(정압/ 전압)
A(10-6m2)
(정압/ 전압)
1차 실험
0
1400
0.389
84
96
305
285
784.06
732.65
4
82
96
305
282
784.06
724.94
8
82
95
305
283
784.06
727.51
12
82
94
304
283
781.49
727.51
2차 실험
0
2400
0.667
128
168
303
264
454.27
395.80
4
129
168
303
266
454.27
398.80
8
129
167
302
265
452.77
397.30
12
133
168
298
265
446.78
397.30
3차 실험
0
3400
0.944
175
257
329
272
348.52
288.14
4
175
255
330
273
349.58
289.19
8
177
258
324
268
343.22
283.90
12
180
250
321
272
340.04
288.14
4) ‘실습 2’의 경우 y-v 그래프 첨부
5) 결론 및 고찰
피토 정압관을 이용하여 수두의 차와 유속을 측정함으로써 정압, 전압을 측정하고 위치에 따른 물의 위치에너지 변화에 의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그 수두차를 이용한 베르누이 방정식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할 수 있는 실험이다. 이론적인 부분을 근삿값으로 많이 확인할 수 있었던 실험이다. 대신 압력계 관에 물방울이 조금 맺혀 유량 압력의 측정이 애매했다. 조절판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정확히 조절을 하지 못해서 오차가 날 수 있었다. 그리고 액주계의 눈금을 읽는 과정에서 사람의 눈으로 측정하는 것이라 정확히 읽지 못했던 점도 오차의 원인이 될 만하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실험장치 자체에서 정확한 값을 판단 할 수 있도록 설계를 해야 할 것 같다.
라. 출처 및 참고문헌
항공우주공학실험(유체) 예비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