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건강
2) 인종/민족적 불평등과 건강
3) 건강 격차 감소를 위한 정책과 개입
3. 결론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건강
2) 인종/민족적 불평등과 건강
3) 건강 격차 감소를 위한 정책과 개입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더 나은 연구 방법과 미래 연구의 지향성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발전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고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연구 결과를 실제 정책 개발과 실천에 반영하여 사회적 차별을 해소하고 건강 격차를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와 실천의 조화적인 발전을 통해 사회적 공정과 건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Braveman, P., & Gottlieb, L. (2014).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t\'s time to consider the causes of the causes. Public health reports, 129(Supplement 2), 19-31.
Mackenbach, J. P. (2012). The persistence of health inequalities in modern welfare states: The explanation of a paradox. Social Science & Medicine, 75(4), 761-769.
Marmot, Michael. (2017). The Health Gap: The Challenge of an Unequal World: The arg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6. 1312-1318. Montez, J. K., Hummer, R. A., Hayward, M. D., Woo, H., & Rogers, R. G. (2011). Trends in the educational gradient of US adult mortality from 1986 through 2006 by race, gender, and age group. Research on Aging, 33(2), 145-171.
Pampel, F. C., Krueger, P. M., & Denney, J. T. (2010).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behavior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6, 349-370.
Phelan, J. C., Link, B. G., & Tehranifar, P. (2010). Social conditions as fundamental causes of health inequalities: Theory, evidence,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1(1_suppl), S28-S40.
Phelan, J. C., & Link, B. G. (2015). Is racism a fundamental cause of inequalities in health?. Annual Review of Sociology, 41, 311-330.
Pickett, K. E., & Wilkinson, R. G. (2015).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A causal re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128, 316-326.
안진상(An Jinsang),and 김희정(Kim Heejung). \"아동 ·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2 (2013): 205-231.
유창민 ( Yoo Chang Min ).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保健社會硏究 36.1 (2016): 440-472.
이주희 ( Joo Hee Lee ),and 김명희 ( Myoung Hee Kim ). \"일자리에서의 불평등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1.3 (2015): 147-180.
이진희 ( Lee Jin Hui ).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保健社會硏究 36.2 (2016): 345-384.
이훈희(李勳熙). \"한국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0.1 (2016): 85-110.
정혜주(Hae Joo Chung),and Carles Muntaner.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한국사회정책 18.2 (2011): 245-287.
황선재 ( Hwang Sun-jae ).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 건강·사회문제지수를 중심으로.\" 保健社會硏究 35.1 (2015): 5-25.
참고문헌
Braveman, P., & Gottlieb, L. (2014).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It\'s time to consider the causes of the causes. Public health reports, 129(Supplement 2), 19-31.
Mackenbach, J. P. (2012). The persistence of health inequalities in modern welfare states: The explanation of a paradox. Social Science & Medicine, 75(4), 761-769.
Marmot, Michael. (2017). The Health Gap: The Challenge of an Unequal World: The arg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6. 1312-1318. Montez, J. K., Hummer, R. A., Hayward, M. D., Woo, H., & Rogers, R. G. (2011). Trends in the educational gradient of US adult mortality from 1986 through 2006 by race, gender, and age group. Research on Aging, 33(2), 145-171.
Pampel, F. C., Krueger, P. M., & Denney, J. T. (2010).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health behaviors. Annual review of sociology, 36, 349-370.
Phelan, J. C., Link, B. G., & Tehranifar, P. (2010). Social conditions as fundamental causes of health inequalities: Theory, evidence,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51(1_suppl), S28-S40.
Phelan, J. C., & Link, B. G. (2015). Is racism a fundamental cause of inequalities in health?. Annual Review of Sociology, 41, 311-330.
Pickett, K. E., & Wilkinson, R. G. (2015).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A causal re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128, 316-326.
안진상(An Jinsang),and 김희정(Kim Heejung). \"아동 ·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2 (2013): 205-231.
유창민 ( Yoo Chang Min ).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保健社會硏究 36.1 (2016): 440-472.
이주희 ( Joo Hee Lee ),and 김명희 ( Myoung Hee Kim ). \"일자리에서의 불평등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21.3 (2015): 147-180.
이진희 ( Lee Jin Hui ). \"지역적 건강불평등과 개인 및 지역수준의 건강결정요인.\" 保健社會硏究 36.2 (2016): 345-384.
이훈희(李勳熙). \"한국 건강불평등의 구조분석.\" 한국공공관리학보 30.1 (2016): 85-110.
정혜주(Hae Joo Chung),and Carles Muntaner. \"고용관계와 건강불평등.\" 한국사회정책 18.2 (2011): 245-287.
황선재 ( Hwang Sun-jae ).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 건강·사회문제지수를 중심으로.\" 保健社會硏究 35.1 (2015): 5-25.
추천자료
[조직이론] 외모지상주의사회에서 여자고등학생(청소년)의 임파워먼트
[여성복지론] 외모지상주의사회에서 여자청소년의 임파워먼트 (클라이언트의 상황·특성과 임...
세상읽기와논술2A)우리 사회의 사회적 양극화 현상을 보여주는 여러 가지 통계들 조사, 정리...
영유아보육학3) 2004년 전면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의 주요 특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특...
사회복지정책론 부자증세 찬성 토론자료
코로나 시기 학교교육과 코로나 이후 학교교육의 과제와 교육격차 및 교육 불평등 해소방안
사회문제론 ) 사회문제로서 이러한 건강불평등을 앞으로 어떻게 해결해가는 것이 좋을지에 대...
[인간과사회] 2022년 기말시험 2학기 과제물, 근래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사회문제 중 1) 하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