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기의 노인우울증
2. 노인기의 노인우울증 극복을 위한 노력
1) 자기의 개선
2) 상실감 해소
3) 삶의 태도의 변화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노인기의 노인우울증
2. 노인기의 노인우울증 극복을 위한 노력
1) 자기의 개선
2) 상실감 해소
3) 삶의 태도의 변화
3. 나의 의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갖는 스스로 속이는 행위이다. 그것은모든 문제의 책임을 타인에게 돌려 자신의 부족함과 잘못을 타인에게 투사시킴으로써 심리적 억압과 부담에서 벗어나려는 매우 이기적 경향이 된다.
2) 상실감 해소
인간은 다른 인간과 함께 생존하며 인간관계를 의미 있게 맺을 때 보람된 삶을 찾는다고 하여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는 것이다. 노인의 건강과 고독 그리고 상실감으로 주변에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때 노인은 고독해 질 수밖에 없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털어놓고 함께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자기 주변에 아무도 없다라는 느낌의 경험을 사회적 소외 또는 격리(隔離)라고 부른다. 이렇게 소외, 상실감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병에 걸리거나 사망할 확률이 다른 사람에 비해 높다고 한다. 소외감과 상실감으로 인하여 흡연, 고혈압, 고 콜레스테롤, 비만, 운동결핍 등이 심지어는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또한 흡연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높은 정도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사회구조에 의해 유발되는 일련의 심리적 상태인 고독은 학습된 태도, 감정, 신념 등의 마음상태를 의미한다. 고독의 결정인자는 본성적인 것이 아니라 다원적으로 개인의 지위, 교육수준 그리고 한 사회내의 상태와변동 등 특정한 사회적 상황과 불안수준, 자기신뢰 등의 여러 가지 성격특성이 결합되고 상호 작용하여 생기는 것이다. 또한 고독(孤獨)이라는 것은 본래 가지고 있었던 어떠한 것이 상실되거나 낯설게 되는 과정이나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며, 자기가 두 부분으로 분열된 후에도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지배하고 통합이 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고독감으로 인한 상실은 노인에게 더욱 심화된다. 노인은자신의 질병으로 인해 사회적 인간관계가 축소된다. 또한 병듦에 따른 역할의 변화나 상실, 건강의 상실, 자유로운 환경통제의 곤란, 그리고 상실감등으로 인해서 노인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하게 된다.
3) 삶의 태도의 변화
삶의 태도는 긍정에너지의 증가가 요구된다. 긍정에너지는 삶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삶은 항상 변화한다. 우리는 매순간이 끝이 없을 것처럼 살아가고 있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이내 삶의 변화된다는 것을 매순간 우리 역시 변화됨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만약 그렇지 못한다면 나이가 들어감에 우리 주변에 대해서 불평불만(不平不滿)만을 토로하는 심술
2) 상실감 해소
인간은 다른 인간과 함께 생존하며 인간관계를 의미 있게 맺을 때 보람된 삶을 찾는다고 하여 인간을 사회적 동물이라고 하는 것이다. 노인의 건강과 고독 그리고 상실감으로 주변에 사람들과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지 못할 때 노인은 고독해 질 수밖에 없다. 인간이 살아가면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털어놓고 함께 나누고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자기 주변에 아무도 없다라는 느낌의 경험을 사회적 소외 또는 격리(隔離)라고 부른다. 이렇게 소외, 상실감을 자주 느끼는 사람은 병에 걸리거나 사망할 확률이 다른 사람에 비해 높다고 한다. 소외감과 상실감으로 인하여 흡연, 고혈압, 고 콜레스테롤, 비만, 운동결핍 등이 심지어는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또한 흡연이 사망에 미치는 영향보다 더 높은 정도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도 제시되고 있다. 사회구조에 의해 유발되는 일련의 심리적 상태인 고독은 학습된 태도, 감정, 신념 등의 마음상태를 의미한다. 고독의 결정인자는 본성적인 것이 아니라 다원적으로 개인의 지위, 교육수준 그리고 한 사회내의 상태와변동 등 특정한 사회적 상황과 불안수준, 자기신뢰 등의 여러 가지 성격특성이 결합되고 상호 작용하여 생기는 것이다. 또한 고독(孤獨)이라는 것은 본래 가지고 있었던 어떠한 것이 상실되거나 낯설게 되는 과정이나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며, 자기가 두 부분으로 분열된 후에도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지배하고 통합이 되지 못한 상태이다. 이러한 고독감으로 인한 상실은 노인에게 더욱 심화된다. 노인은자신의 질병으로 인해 사회적 인간관계가 축소된다. 또한 병듦에 따른 역할의 변화나 상실, 건강의 상실, 자유로운 환경통제의 곤란, 그리고 상실감등으로 인해서 노인은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하게 된다.
3) 삶의 태도의 변화
삶의 태도는 긍정에너지의 증가가 요구된다. 긍정에너지는 삶에서 새로운 변화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삶은 항상 변화한다. 우리는 매순간이 끝이 없을 것처럼 살아가고 있지만 나이가 들어감에 이내 삶의 변화된다는 것을 매순간 우리 역시 변화됨에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만약 그렇지 못한다면 나이가 들어감에 우리 주변에 대해서 불평불만(不平不滿)만을 토로하는 심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