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음운론>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 문법 <음운론>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의 음운 체계
1) 음운(음소): 사람이 구별해서 인식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의 개념
2) 모음
3) 자음-목이나 입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좁혀져서 障碍를 받고 나는 소리
4) 비분절 음운

2. 음운의 변동
1) 음절의 끝소리 규칙
2) 음운의 동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사잇소리 현상(합성명사 생성에 한해서 고유어와 한자어에 두루 일어난다.)

본문내용

아쉽다)도 있으나, 이중 모음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아 표준어 규정의 표준 발음법에서는 이중모음으로의 발음도 허용
3.중부 방언의 경우, 2음절 이하에 오는ㅗ[o]를ㅜ[u]로 잘못 발음하는 경향도 있다.
→어미-고, -고요를 [-구, -구요]로 발음
2.이중 모음(ㅢ)의 발음
1.자음을 첫소리로 가지고 있는 음절의 ㅢ는 [ㅣ]로 발음한다. 예>늴리리, 무늬, 띄어쓰기
2.단어의 첫 음절 이외의 ㅢ는 [ㅣ]로, 조사 ㅢ는 [에]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예>주의[주의/주이]
3.★이중 모음(ㅢ)7차 학교 문법에서는 이중모음에 대하여반모음과 단모음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혀가ㅣ의 자리에서 다음 자리로 옮겨갈 때 발음되는 반모음이ㅣ[j]이고ㅗ/ㅜ의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옮겨갈 때 발음되는 반모음이ㅗ/ㅜ[w]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설정시 문제점
①수평 모음으로 보는 입장-단모음ㅡ로 시작되어 단모음ㅣ로 끝난다.
-현행 학교 문법의 이중모음(반모음+단모음)의 정의에 어긋난다.
②ㅑ, ㅚ와 마찬가지로 상향 모음으로 보는 방법→ㅡ를 반모음으로 보는 입장
-ㅣ나ㅗ/ㅜ외에 또 다른 반모음ш을 설정해야 하는 부담감이 있다.
③하향 모음으로 보는 입장→ㅣ를 반모음으로 보는 입장
-다른 것들은 모두 상향 이중 모음인데ㅢ만 하향 이중 모음이라는 부담감이 있게 된다.
1.★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에 대하여 다음에 따라 약술하시오.
(1)학교 문법에서 설정하고 있는 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를 도표화하여 제시하시오.
(2)현대 국어의 단모음 체계 설정시에 제기 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
3>자음-목이나 입안의 어떤 자리가 완전히 막히거나 좁혀져서 障碍를 받고 나는 소리
조음 위치에 따라
조음 방식에 따라
두 입술소리
혀끝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목청소리
양순음
윗잇몸
혓바닥
혀 뒤
목청 사이
안울림소리
파열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파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마찰음
예사소리



된소리
울림소리
비음



유음

4>비분절 음운
①소리의 길이-국어에서는 모음은 길이가 길게도 짧게도 발음됨에[밤(夜), 밤:(栗)] 따라 뜻이 차이 난다.
※긴소리의 규칙
㉠긴소리는 단어의 첫째 음절에서만 나타나며, 이때 그 첫 음절의 소리의 길이는 의미 구별의 기능이 있다.
-눈(眼): 눈;(雪)
㉡긴소리 음절이 파생법, 또는 합성법에 의해서 제2음절 이하가 되면 긴소리를 잃고 짧은소리가 된다.
-옷+솔;→옷솔, 한국+말;(言)→한국말
㉢긴소리 음운을 가진 용언의 어간에 강세 접미사 같은 말이 오면 긴소리로 나지 않는다. 덥; 다→무덥다.
㉣한 단어 안에서는 긴소리가 연달아 나지 않는다. -굴;속;→굴;속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현대 국어에서음소의 갯수에 관한 내용을탐구 활동의 수업으로 전개하고자 한다.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탐구 수업시 단계별로 포함될 내용을 설명하시오.
(1)굴, 꿀, 둘, 물 (2)발, 벌, 볼, 불 (3)박, 밖, 반, 발, 밤
문제의 확인
위 보기에서 한 개의 음운을 제외한 나머지 음연계는 똑같다. 즉 한 개의 음운에 의해 의미가 변별되고 있다. 이처럼 뜻을 변별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며 어떤 종류가 있고 몇 개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가설 설정
가설 검증
결론 도출
초성: 중성: 종성:
cf> 중세 국어의 음운 체계
1>제자 원리
①초성(初聲, 첫소리): 17자-발음 기관 象形)
오음 제자
상형
기본자
加劃자
異體자
비교
엄쏘리
아음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象舌根閉喉之形)



ㆆ은 국어에 쓰인 실질적인 음가가 아니었으며 東國正韻식 한자음과 사잇소리 및 된소리 부호로 쓰였음
혀쏘리
설음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
(象舌附上악之形)

ㄷ→ㅌ
입시울쏘리
순음
입의 모양(象口形)

ㅂ→ㅍ
니쏘리
치음
이의 모양(象齒形)

ㅈ→ㅊ
목소리
후음
목구멍의 모양(象喉形)

ㆆ→ㅎ
반혀쏘리
반설음

반니쏘리
반치음

②중성(中聲, 가운뎃 소리)-11자로 天(하늘), 地(땅), 人(사람)의 三才의 상형
양성모음
음성 모음
중성 모음
基本자
ㆍ(天)-하늘을 본뜸
(舌縮而聲深)
ㅡ(地)-땅을 본뜸
(舌小縮而聲不深不淺)
ㅣ(人)-사람을 본뜸
(舌不縮而聲淺)
③종성(終聲, 끝소리)-따로 만들지 않고, 終聲復用初聲-종성은 다시 초성을 사용한다.
2>음운 체계
①초성 체계(자모 23자)①全濁자는 자음17자에 들지 않았다.
②훈민정음의 초성 체계는 동국정운의 초성 체계와 같다.
③ㆆ, ㆁ은 실질적인 음가가 없는 형식적인 자음이다.
④ㅸ은 실질적인 음가를 가지지만 동국정운의 한자음 초성 체계에 순경음이 채택되지 않았기 때문에 훈민정음 초성 체계에 빠졌다.
전청(예사소리)
차청(거센소리)
불청불탁(유성음)
전탁(된소리)
아음(엄쏘리)
연구개음




설음(혀쏘리)
설단음




순음(입시울쏘리)
양순음




치음(니쏘리)
경구개음
ㅈ, ㅅ

ㅉ, ㅆ
후음(목구멍쏘리)
후두음




반설음(반혀쏘리)
유음

반치음(반니쏘리)
齒槽 마찰음

▶특이한 자음

현대의 받침의ㅇ소리와 같은데, 현대와 달리 음절의 첫머리에도 나타났다. 예>바올, 그에

①고유어 표기에 쓰인 된소리 부호일 뿐 음소가 아니다. 용언의 관형사형 ‘ㄹ’ 뒤 ‘’
예>배(=홀빼), 길(갈낄), 도라오싫제(도라오실 쩨)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는 명사(표제명사)가 울림소리(모음,ㄴㅁ,ㄹ)로 시작할 때는 된소리가 될 수 없다. 이것을 근거로 절음부호라고 하는데 이는 잘못이다. 관형사형의 본래적인 모습이‘ ’일 뿐이다. 참고로 현대 관형사형의 표기는 ‘-ㄹ’이나 발음은 ‘ ’[|]이다. 갈 길이 멀다.[갈 끼리 멀다]
②사잇소리 : 고유어 표기에는 ‘ㄹ’과‘’의 사이 하
☞하’의 ‘’은 관형사형‘ ’의 표기에 유추된 것인 듯한 예외적 존재 한자어 표기에는 음가 없는 ‘ㅇ’(현대발음으로 모음) 뒤 快字
③한자음의 초성 : 동국정운식 한자음에만 사용 音, 安, 於, 一
④이영보래(以影補來) : ‘ㄹ’종성을 가진 모든 한자의 중국음은 ‘ㄷ’이었기
  • 가격2,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4.01.13
  • 저작시기2024.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362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