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사례 적용
강의에서의 ‘성철씨’와 ‘현숙씨’가 겪고 있는 가족 문제에 경험적 가족치료를 적용해볼 수 있따. 우선 가족조각 치료기법을 위 문제에 적용해보았을 때, 우선 상담자는 현숙씨를 ‘조각가’로 지정할 수 있다. 현숙씨는 과거에 겪었던 갈등 상황- 본 사례에서는 시어머니 문제로 인한 갈등 상황-을 회상하고, 그 상황에서의 남편의 모습을 조각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숙씨는 자신의 남편이 자신에게 손가락질하며 화난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을 조각한다. 상담자는 현숙씨에게 남편의 그러한 모습을 얼마나 자주 볼 수 있는지, 그럴 때 어떤 느낌을 느꼈는지, 그 상황에서 남편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었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현숙 씨는 대답한다. 이를 통해 성철 씨는 과거 자신의 행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빙산 탐색을 본 사례에 적용해본다면, 성철씨와 현숙씨는 그들의 행동 이면에 놓인 감정, 기대를 진정으로 느끼고 표현해야 한다. 예시로서 성철 씨의 경우를 살펴보자면, 성철씨는 아내가 어머니와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추구하며, ‘분노’라는 감정을 느꼈다고 대답할 수 있다. ‘감정에 대한 감정’ 부분에서 성철씨는 ‘실망’이라는 감정을 경험하였으며, ‘기대’ 부분에서는 아내가 어머니에게 잘 하고, 이를 통해 두 사람이 사이좋게 지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철 씨의 ‘자기본질’의 경우 사이좋은 고부관계 곁에서 행복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가족 삼인군 치료방식을 사례에 적용하면, 성철씨와 현숙씨는 서로 의논하여 ‘원가족 도표’를 작성한다. 이를 작성하고 설명하며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두 사람은 가족 구성원과 관계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게 되고, 자신의 역할 및 다른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원가족 도표를 근거로 하여 가족조각이나 역할극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두 사람은 보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볼 수 있게 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III. 결론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에서 ‘상호작용’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자기표현을 강화하고 가족 체계의 힘을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족이라는 체계 내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개인의 정서적 경험은 이 과정에서 큰 역할을 수행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경험’을 중요시하기
사례 적용
강의에서의 ‘성철씨’와 ‘현숙씨’가 겪고 있는 가족 문제에 경험적 가족치료를 적용해볼 수 있따. 우선 가족조각 치료기법을 위 문제에 적용해보았을 때, 우선 상담자는 현숙씨를 ‘조각가’로 지정할 수 있다. 현숙씨는 과거에 겪었던 갈등 상황- 본 사례에서는 시어머니 문제로 인한 갈등 상황-을 회상하고, 그 상황에서의 남편의 모습을 조각하게 된다. 예를 들어, 현숙씨는 자신의 남편이 자신에게 손가락질하며 화난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을 조각한다. 상담자는 현숙씨에게 남편의 그러한 모습을 얼마나 자주 볼 수 있는지, 그럴 때 어떤 느낌을 느꼈는지, 그 상황에서 남편에게 어떤 말을 하고 싶었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현숙 씨는 대답한다. 이를 통해 성철 씨는 과거 자신의 행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빙산 탐색을 본 사례에 적용해본다면, 성철씨와 현숙씨는 그들의 행동 이면에 놓인 감정, 기대를 진정으로 느끼고 표현해야 한다. 예시로서 성철 씨의 경우를 살펴보자면, 성철씨는 아내가 어머니와 사이좋게 지내는 것을 추구하며, ‘분노’라는 감정을 느꼈다고 대답할 수 있다. ‘감정에 대한 감정’ 부분에서 성철씨는 ‘실망’이라는 감정을 경험하였으며, ‘기대’ 부분에서는 아내가 어머니에게 잘 하고, 이를 통해 두 사람이 사이좋게 지냈으면 좋겠다는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철 씨의 ‘자기본질’의 경우 사이좋은 고부관계 곁에서 행복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가족 삼인군 치료방식을 사례에 적용하면, 성철씨와 현숙씨는 서로 의논하여 ‘원가족 도표’를 작성한다. 이를 작성하고 설명하며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두 사람은 가족 구성원과 관계에 대한 이해를 획득하게 되고, 자신의 역할 및 다른 가족의 의사소통 유형 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마지막으로 원가족 도표를 근거로 하여 가족조각이나 역할극 등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두 사람은 보다 객관적으로 자신을 볼 수 있게 되고, 서로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III. 결론
경험적 가족치료는 가족 내에서 ‘상호작용’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자기표현을 강화하고 가족 체계의 힘을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족이라는 체계 내에 존재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개인의 정서적 경험은 이 과정에서 큰 역할을 수행한다. 경험적 가족치료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경험’을 중요시하기
추천자료
사티어 경험주의 가족상담-정리 및 의견
경험적 가족치료 정리 리포트
[2021 가족상담및치료 4공통]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중 1개를 선택하여 요약하고 현숙씨와 성철씨 가족에게 사티어의 치료...
가족상담및치료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치료, 이야기치료...
2023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개념, 치료기법)
2023년 2학기 가족상담및치료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험적 가족치료 이론 개념, 치료기법)
[2023 가족상담및치료][출처표기]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 중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
가족상담및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 중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치료기법(...
가족상담및치료) 가족상담 및 치료의 이론 중 경험적 가족치료 이론의 주요개념 및 치료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