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스턴버그(R. Ster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과 적용
2) 펙(M. S. Peck)의 참사랑과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스턴버그(R. Sterberg)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과 적용
2) 펙(M. S. Peck)의 참사랑과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기전 문학작품부터 현대의 로맨스 소설이나 영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소재이긴 하지만 이것 또한 드라마 속 이야기일 뿐이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던 드라마 속 커플들이 ‘10년 뒤, 20년 뒤에도 행복하게 살았을까?’ 하는 질문에 ‘그들은 분명 행복하게 살았을 것이다.’라고 단정적으로 말하기는 쉽지 않다. 로맨스 소설과 영화 속 주인공들의 사랑은 대부분 낭만만 있거나 열정만 있는 것으로 시작되어 불타오르는 모습만 보여주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동반자적 사랑이 완전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낭만적 사랑으로 시작하여 결혼이라는 형태로 결실을 맺는다고 해도 결국은 ‘우정’으로 산다는 종류의 말을 흔히 들어왔기 때문인듯하다. 대부분의 낭만적 사랑은 차츰 우애적 사랑으로 변하게 된다고는 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쌍방이 모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또한 완전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완전한 사랑은 세 가지 요소가 모두 고르게 결합된 것으로 아마도 낭만적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종류의 사랑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완전한 모습의 성숙한 사랑은 도달하기도 어렵지만 그것을 지키는 것이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그런 의미에서 펙(Peck)이 말하는 참사랑은 사랑을 통해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성장을 도울 목적으로 자신을 확대시켜 나가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사랑’과는 조금 다른 모습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할 때에 있어서 대부분의 관계는 열정과 헌신, 친밀감에만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다른 어떤 때보다도 열정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스스로 발전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상대방도 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그걸 보는 필자 역시 나아가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능해야 상대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도 하였다.
결국 스턴버그가 말한 사랑의 삼각형에서 삼각형이 어느 한 쪽에만 치우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스스로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나에게 부족한 것을 상대를 통해 메꾸려고 하다보니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진 시소처럼 불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스턴버그가 말하는 ‘완전한 사랑’에 도달하기 위해서도 ‘참사랑’에서 말하는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더 나은 모습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박종환. (2003). 사랑에 대한 Sternberg의 세모꼴 이론과 성인 애착 유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실천신학과 석사학위논문.
하혜숙. (2020). 심리학에게 묻다.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J. Sternberg & S.Grajk (1984). The nature of love., 47, 312-329.
그런 의미에서 동반자적 사랑이 완전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낭만적 사랑으로 시작하여 결혼이라는 형태로 결실을 맺는다고 해도 결국은 ‘우정’으로 산다는 종류의 말을 흔히 들어왔기 때문인듯하다. 대부분의 낭만적 사랑은 차츰 우애적 사랑으로 변하게 된다고는 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쌍방이 모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 또한 완전하다고 말하기는 어렵지 않을까. 완전한 사랑은 세 가지 요소가 모두 고르게 결합된 것으로 아마도 낭만적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하려고 노력하는 종류의 사랑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완전한 모습의 성숙한 사랑은 도달하기도 어렵지만 그것을 지키는 것이 더욱 어렵게 느껴진다.
그런 의미에서 펙(Peck)이 말하는 참사랑은 사랑을 통해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성장을 도울 목적으로 자신을 확대시켜 나가려는 의지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사랑’과는 조금 다른 모습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누군가를 만나고 사랑할 때에 있어서 대부분의 관계는 열정과 헌신, 친밀감에만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다. 그렇지만 다른 어떤 때보다도 열정적인 모습을 보이면서도 스스로 발전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상대방도 이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더 발전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그걸 보는 필자 역시 나아가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능해야 상대도 사랑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도 하였다.
결국 스턴버그가 말한 사랑의 삼각형에서 삼각형이 어느 한 쪽에만 치우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스스로의 결핍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나에게 부족한 것을 상대를 통해 메꾸려고 하다보니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진 시소처럼 불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스턴버그가 말하는 ‘완전한 사랑’에 도달하기 위해서도 ‘참사랑’에서 말하는 먼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더 나은 모습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심리학에게묻다. 하혜숙, 강지현 지음. 출판문화원. 2020
박종환. (2003). 사랑에 대한 Sternberg의 세모꼴 이론과 성인 애착 유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실천신학과 석사학위논문.
하혜숙. (2020). 심리학에게 묻다.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J. Sternberg & S.Grajk (1984). The nature of love.
추천자료
2023년 2학기 방송통신대 심리학에게묻다 중간과제물)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
(심리학에게 묻다, 공통) 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어 한다. ‘심리학에게묻다’ ...
2023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이론 등)
[공통교양과목] 2023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스턴버그의 사랑의 삼각형...
자신의 현재 혹은 이전의 사랑에 대해(꼭 이성적 사랑이 아니어도 됨) 스턴버그(R. Sterberg)...
심리학에게묻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어 한다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165-18...
심리학에게묻다) 사람은 누구나 사랑을 받고 또 주고 싶어 한다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165-18...
심리학에게묻다 교재(p165-183) 내용 및 기타 자료를 개인이 자유롭게 참조하여, 자신의 현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