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로 구조적 전환을 하였다. Parse의 이론적 수준에서 인간되어감 이론의 첫 번째 원리의 개념인 ‘상상화’로 개념적 통합을 이루었다. 두 번째 핵심개념은 ‘약함을 인정하는 유대관계’로 드러났으며 ‘한계를 수용하는 공존’으로 구조적 전환을 하였다. Parse의 이론적 수준에서 두 번째 핵심개념은 인간되어감 이론의 두 번째 원리의 개념인 ‘가능-제한’과 ‘연결-분리’로 개념적 통합을 이루었다. 세 번째 핵심개념은 ‘가능성을 향한 도전’으로 드러났으며 ‘존재가치의 회복을 위한 분투’로 구조적 전환을 하였다. Parse의 이론적 수준에서 세 번째 핵심개념은 인간되어감 이론의 세 번째 원리 개념인 ‘강화성’으로 개념적 통합을 이루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정신질환을 가진 동료지원가의 희망 경험의 구조는 ‘절망 속의 자부심이며 약함을 인정하는 유대관계로 가능성을 향해 도전해가는 것이다’로 밝혀졌다. 정신건강간호사는 진정으로 그들과 함께하면서 정신질환을 가진 동료지원가의 관점에서 희망을 이해하고 희망을 증진시켜나가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숙(2020). 정신질환을 가진 동료지원가의 희망 경험. 한국간호연구학회지, 4(2), 77-90.
참고문헌
김상숙(2020). 정신질환을 가진 동료지원가의 희망 경험. 한국간호연구학회지, 4(2), 77-9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