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개인정보란
2) 개인정보 종류
3) 개인정보 침해
2. 본론
1) 정보보호 사고 스크랩(기사)
2) 해당 사고의 대상이 되는 자산, 공격, 취약점, 위협
3) 해당 사고의 대책
3. 결론
4. 참고자료 및 문헌
1) 개인정보란
2) 개인정보 종류
3) 개인정보 침해
2. 본론
1) 정보보호 사고 스크랩(기사)
2) 해당 사고의 대상이 되는 자산, 공격, 취약점, 위협
3) 해당 사고의 대책
3. 결론
4. 참고자료 및 문헌
본문내용
스템, 장비 외에도 정보보안의 중요성에 대해 정기적인 교육을 통해 인식을 높이고, 실무 등을 반영한 보안매뉴얼도 작성하여 관리해야 한다.
개인정보 유출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유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피해의 최소화와 당장 할 수 있는 긴급 조치를 해야 하며, 유출통지 및 신고를 한다. 또한 피해자들의 구제를 돕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LG 유플러스의 경우 이 모든 대책 등을 회사의 운영방법에 맞게 수행하여 고객들에게서 잃었던 신뢰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고객들에게 있어 더 깊은 신뢰와 정보보안 품질에 있어 가장 안전한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결론
현재 전 세계가 디지털의 발전과 발달로 디지털 활동이 많아지고, 활동 범위가 광범위해지면서 인터넷 웹사이트 가입, 각종 SNS, 미디어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가입을 해야 한다.
가입을 할 때 선택사항 또는 필수사항으로 개인정보 수집을 한다.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는 관리가 잘 되지 않고, 탈퇴를 했어도 개인정보는 남아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 보관이 된다.
이렇게 개인정보 수집과 보관 등은 여러 가지 문제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사람들의 인식 또한 변하고 있다.
정보보호가 되지 않아 개인정보가 한 번 유출하게 되면 삭제나 다시 돌려놓기가 어렵다.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었다고 해서 쉽게 주민등록번호를 변경할 수는 없다. 변경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절차가 복잡하고 번거롭다.
이처럼 디지털 문명의 발달로 인한 장점들도 많지만 정보보안 등의 문제점도 두드러지고 있다. 정보보안이란 게 해커들의 디도스 공격, 개인정보 유출 등을 막는다고 해서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분명 어느 부분에서 정보는 유출되고, 불법으로 수집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의 문명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편리한 디지털을 사용하면서 최대한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활용하면 된다.
우선 정보보안 사고로 인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때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를 하여 구제를 받아야 한다.
웹사이트 및 각종 SNS 가입 시 개인정보처리 방침 및 이용약관을 꼼꼼히 확인하고, 비밀번호 등은 대문자, 소문자, 특수기호 등을 혼합하여 8자리 이상으로 설정한다.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을 하고 변경 시 생일, 출생연도 등 쉽게 개인정보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조합은 피해야 한다. 요즘은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아이핀 사용을 통해 가입을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불필요한 개인정보인 주민등록번호를 대신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명의도용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다. 유료이긴 하지만 다른 사람이 내 정보로 가입 시 즉각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나에게도 통지가 오기 때문에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당연한 일이지만 개인정보 등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지 않고, 공유폴더 등에 개인정보가 담겨있는 파일을 저장하지 않는다.
금융거래 등은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나 PC방을 이용하지 않는다. 자동완성의 기능이 있어 한번 입력을 하면 자동으로 아이디나 비번 등이 입력이 되는 경우가 있다.
출처가 불확실한 자료는 다운을 받지 않고, 문자 또한 링크를 열어 보거나 모르는 번호나 이상한 번호로 오는 전화 또한 받지 않는 것이 좋다.
디지털의 편리한 이면에 위험성도 함께 존재하지만 정확하게 잘 활용하여 이용한다면 정보보안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자료 및 문헌
- 두산백과 두피디아/검색어: 개인정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1119001596128
- 개인정보위원회 개인정보 포털
/https://www.privacy.go.kr/front/contents/cntntsView.do?contsNo=35
- 개인정보위원회 개인정보 포털/개인정보 유출 대응 매뉴얼(PDF파일)/
file:///C:/Users/user/Desktop/%EB%AC%B8%EC%84%9C%EC%9E%91%EC%84%B1/15.%EC%A0%95%EB%B3%B4%EB%B3%B4%ED%98%B8%EA%B0%9C%EB%A1%A0/%EA%B0%9C%EC%9D%B8%EC%A0%95%EB%B3%B4_%EC%9C%A0%EC%B6%9C_%EB%8C%80%EC%9D%91_%EB%A9%94%EB%89%B4%EC%96%BC(2020.12%EC%9B%94).pdf
- 6.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방안(PDF파일)/
계명대학교/https://www.kmu.ac.kr/upload/down/06/privacy/2020_privacy_3.pdf
- NEWSIS(뉴시스)/개인정보위 \"LGU+ 정보유출 8만건 추가 확인\"…총 피해 규모 29만명/2023.02.06./송헤리 기자/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206_0002182798
- 비즈워치/\"LG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부재서 비롯\"/2023.04.27./이혜선 기자/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3/04/27/0041
- 보안뉴스/LG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되짚어본 LG그룹 해킹사건 일지/2023.02.16./
김영명 기자/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3879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검색어: 라우터/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448
- 한국정보통신협회/개인정보 유노출 사고 사례 및 대응방안(프리젠테이션/PDF파일)/
file:///C:/Users/user/Desktop/%EB%AC%B8%EC%84%9C%EC%9E%91%EC%84%B1/15.%EC%A0%95%EB%B3%B4%EB%B3%B4%ED%98%B8%EA%B0%9C%EB%A1%A0/%EA%B0%9C%EC%9D%B8%EC%A0%95%EB%B3%B4%EB%B3%B4%ED%98%B8%EA%B5%90%EC%9C%A1%EC%9E%90%EB%A3%8C.pdf
개인정보 유출 대응 매뉴얼을 토대로 유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피해의 최소화와 당장 할 수 있는 긴급 조치를 해야 하며, 유출통지 및 신고를 한다. 또한 피해자들의 구제를 돕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LG 유플러스의 경우 이 모든 대책 등을 회사의 운영방법에 맞게 수행하여 고객들에게서 잃었던 신뢰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 고객들에게 있어 더 깊은 신뢰와 정보보안 품질에 있어 가장 안전한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결론
현재 전 세계가 디지털의 발전과 발달로 디지털 활동이 많아지고, 활동 범위가 광범위해지면서 인터넷 웹사이트 가입, 각종 SNS, 미디어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가입을 해야 한다.
가입을 할 때 선택사항 또는 필수사항으로 개인정보 수집을 한다.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는 관리가 잘 되지 않고, 탈퇴를 했어도 개인정보는 남아있으며, 일정 기간 동안 보관이 된다.
이렇게 개인정보 수집과 보관 등은 여러 가지 문제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고, 사람들의 인식 또한 변하고 있다.
정보보호가 되지 않아 개인정보가 한 번 유출하게 되면 삭제나 다시 돌려놓기가 어렵다.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었다고 해서 쉽게 주민등록번호를 변경할 수는 없다. 변경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절차가 복잡하고 번거롭다.
이처럼 디지털 문명의 발달로 인한 장점들도 많지만 정보보안 등의 문제점도 두드러지고 있다. 정보보안이란 게 해커들의 디도스 공격, 개인정보 유출 등을 막는다고 해서 완벽하게 막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분명 어느 부분에서 정보는 유출되고, 불법으로 수집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의 문명을 사용하지 않을 수는 없다.
편리한 디지털을 사용하면서 최대한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활용하면 된다.
우선 정보보안 사고로 인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을 때 신고센터를 통해 신고를 하여 구제를 받아야 한다.
웹사이트 및 각종 SNS 가입 시 개인정보처리 방침 및 이용약관을 꼼꼼히 확인하고, 비밀번호 등은 대문자, 소문자, 특수기호 등을 혼합하여 8자리 이상으로 설정한다.
비밀번호는 주기적으로 변경을 하고 변경 시 생일, 출생연도 등 쉽게 개인정보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조합은 피해야 한다. 요즘은 회원가입 시 주민등록번호 대신 아이핀 사용을 통해 가입을 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불필요한 개인정보인 주민등록번호를 대신 대체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명의도용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다. 유료이긴 하지만 다른 사람이 내 정보로 가입 시 즉각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있고, 나에게도 통지가 오기 때문에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당연한 일이지만 개인정보 등은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지 않고, 공유폴더 등에 개인정보가 담겨있는 파일을 저장하지 않는다.
금융거래 등은 공용으로 사용하는 컴퓨터나 PC방을 이용하지 않는다. 자동완성의 기능이 있어 한번 입력을 하면 자동으로 아이디나 비번 등이 입력이 되는 경우가 있다.
출처가 불확실한 자료는 다운을 받지 않고, 문자 또한 링크를 열어 보거나 모르는 번호나 이상한 번호로 오는 전화 또한 받지 않는 것이 좋다.
디지털의 편리한 이면에 위험성도 함께 존재하지만 정확하게 잘 활용하여 이용한다면 정보보안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자료 및 문헌
- 두산백과 두피디아/검색어: 개인정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81119001596128
- 개인정보위원회 개인정보 포털
/https://www.privacy.go.kr/front/contents/cntntsView.do?contsNo=35
- 개인정보위원회 개인정보 포털/개인정보 유출 대응 매뉴얼(PDF파일)/
file:///C:/Users/user/Desktop/%EB%AC%B8%EC%84%9C%EC%9E%91%EC%84%B1/15.%EC%A0%95%EB%B3%B4%EB%B3%B4%ED%98%B8%EA%B0%9C%EB%A1%A0/%EA%B0%9C%EC%9D%B8%EC%A0%95%EB%B3%B4_%EC%9C%A0%EC%B6%9C_%EB%8C%80%EC%9D%91_%EB%A9%94%EB%89%B4%EC%96%BC(2020.12%EC%9B%94).pdf
- 6. 개인정보 침해사고 대응방안(PDF파일)/
계명대학교/https://www.kmu.ac.kr/upload/down/06/privacy/2020_privacy_3.pdf
- NEWSIS(뉴시스)/개인정보위 \"LGU+ 정보유출 8만건 추가 확인\"…총 피해 규모 29만명/2023.02.06./송헤리 기자/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206_0002182798
- 비즈워치/\"LG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 시스템 부재서 비롯\"/2023.04.27./이혜선 기자/
http://news.bizwatch.co.kr/article/mobile/2023/04/27/0041
- 보안뉴스/LG유플러스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되짚어본 LG그룹 해킹사건 일지/2023.02.16./
김영명 기자/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3879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검색어: 라우터/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448
- 한국정보통신협회/개인정보 유노출 사고 사례 및 대응방안(프리젠테이션/PDF파일)/
file:///C:/Users/user/Desktop/%EB%AC%B8%EC%84%9C%EC%9E%91%EC%84%B1/15.%EC%A0%95%EB%B3%B4%EB%B3%B4%ED%98%B8%EA%B0%9C%EB%A1%A0/%EA%B0%9C%EC%9D%B8%EC%A0%95%EB%B3%B4%EB%B3%B4%ED%98%B8%EA%B5%90%EC%9C%A1%EC%9E%90%EB%A3%8C.pdf
추천자료
[A+]아동학대의 현황과 사례, 문제점 및 해결방안(아동복지)
[소방관][화재][화재발생][화재진압][소방][소방안전관리]소방관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
아동 안전사고의 원인과 예방대책
[정보보안과 해킹] 정보보안의 정의와 다양한 해킹사례 및 사회적 해킹에 대한 대응 방안
영유아 안전의 정의와 개념을 요약하여 정리하고(10점), 가정이나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발생한...
전자정부에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을 논하라.
영유아 안전사고사례(학습자 자유선택 1건)를 보도자료 등을 통해 찾아보고, 그 사고가 발생...
아동안전관리3공통) 영유아 안전의 정의와 개념을 요약하여 정리, 가정이나 영유아교육기관에...
[사회복지개론 공통]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 재난(세월호, 가습기 ...
[보건교육D형] 노인의 안전과 사고예방에 대한 교육 - 「그린의 프리시드-프로시드 PRECEDE-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