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회적 배척을 받을 수 있는 위험에 놓이기도 한다. 따라서 사회적 결속력과 개인의 자율성 사이에 적절한 균형을 찾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정체성을 중시하는 풍조는 민족주의를 촉진하는 결과를 만들어 해당 국가와 이해관계에 얽힌 다른 국가와의 관계에 여러모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점을 인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는 내부 집단과 외부 집단 간의 인식 차이에 기반한 다양한 고정관념이나 고착된 편견 및 갈등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정체성이 갖는 의미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간관계를 원활히 구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필수적 요소이며 개인의 안정과 성장에 도움을 주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편향적 정체성으로 말미암아 지역 간 경제적, 교육적 격차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유발하고 계층 구분과 세대 간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적 문제 들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전제로 한 사회통합의 저해 요소가 되므로 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여 상호 존중과 협력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3) 의사결정에서 중심 경로로 해야 할 때와 주변경로를 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하나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사례를 들고 이때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를 어떻게 사용해가면서 의사결정을 하는지 설명하세요. (하나의 의사 결정에 대한 사례에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가 다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A4 한 장에 설명하세요
특정한 의사결정과정에 사용되는 태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종합하여 설득하는 이론으로 미국의 저명한 사회 심리학자인 리처드 페티와 존 카치오포는 설득의 정교화 가능성의 모형(Elaboration Likelihood Model)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사람들이 정보를 처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두 가지의 다른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중심 경로는 논리와 이성에 의존하여 정보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을 말하며 주변경로는 정보의 매력이나 출처의 신뢰도와 같은 비교적 피상적인 단서를 참고하여 고려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를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지를 새로운 스마트폰 구매상황의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고자 한다.
중심 경로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하려고 할 때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의 사양 과 기능 및 성능을 철저히 조사하여 리뷰를 점검하고 기술적인 세부 사항을 비교하며 해당 옵션이 구매자의 특정한 요구와 선호도와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중심 경로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정보를 신중하게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주변경로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할 때는 구입하려고 하는 스마트폰의 본질적인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 브랜드의 이미지, 외관 디자인이나 특정 스마트폰을 광고하는 연예인의 영향력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 자체에 대한 심층적이며 체계적인 분석보다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단서에 의해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의사결정과정에는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가 적절히 혼합되어 결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스마트폰에 관한 기술 사양을 조사하는 것으로, 중심 경로로서의 의사결정 과정이 시작되지만 특정 브랜드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긍정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아 주변경로를 통해 의사결정이 변동되기도 한다. 또는 주변경로인 세련되고 멋진 디자인에 이끌려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한 후 중심 경로인 제품 구입 후기 등을 통해 자세한 성능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상황을 예로 들어보고자 한다. 부모님으로부터 생일선물로 스마트폰을 선물 받기로 한 여고생이 서로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폰 두 대를 물망에 올려놓고 고려 중인 상황이다. 여고생은 처음에는 주변경로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의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본인이 좋아하는 연예인이 광고하는 모델이라는 사실로 인해 A 스마트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하지만 경쟁 브랜드인 B 스마트폰 또한 뛰어난 기능을 자랑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두 스마트폰의 중심 경로에 해당하는 기술 사양, 사용자의 리뷰 및 전반적인 성능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전까지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이렇듯이 의사결정의 과정은 특정 경로 한쪽만을 일방적으로 고려하기보다는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의 모든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며 보편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개인의 신중한 분석과 외부 단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이 처한 고유의 상황과 더불어 의사결정과 관련된 특정 요인에 따라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최적의 선택을 위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출처 및 참고문헌
조긍호. \"문화유형과 정서의 차이.\" 心理科學 6.2 (1997): 1-43. 한국인의 정서 이해를 위한 시론.
최명민(Myung Min Choi). \"한국인의 정(情)을 고려한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방법 모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2008): 356-384.
서리빈(Ribin Seo). \"공동내집단 정체성 재범주화 개입을 통한 NIH(Not-Invented-Here) 신드롬 해소 전략.\" 전략경영연구 24.2 (2021): 47-74.
배병룡. \"참여적 의사 결정의 경로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7.4 (2013): 1-20.
신홍임. \"심리적 거리와 의사결정: 집단규범에의 동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4 (2017): 103-123.
지은희,홍인재,and 김민식. \"권력 관계에서의 사회적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3 (2019): 443-457.
정교화 가능성 모델, 심리학 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약의 메시지는 뇌에서 어떻게 처리될까, 데일리팜, 모연화, 2022.10.05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2207&REFERER=NP
전통적으로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정체성이 갖는 의미는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간관계를 원활히 구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필수적 요소이며 개인의 안정과 성장에 도움을 주어 사회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에 편향적 정체성으로 말미암아 지역 간 경제적, 교육적 격차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유발하고 계층 구분과 세대 간 갈등으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적 문제 들은 다양성과 포용성을 전제로 한 사회통합의 저해 요소가 되므로 이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높여 상호 존중과 협력을 촉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3) 의사결정에서 중심 경로로 해야 할 때와 주변경로를 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하나의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사례를 들고 이때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를 어떻게 사용해가면서 의사결정을 하는지 설명하세요. (하나의 의사 결정에 대한 사례에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가 다 들어가 있어야 합니다). A4 한 장에 설명하세요
특정한 의사결정과정에 사용되는 태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종합하여 설득하는 이론으로 미국의 저명한 사회 심리학자인 리처드 페티와 존 카치오포는 설득의 정교화 가능성의 모형(Elaboration Likelihood Model)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사람들이 정보를 처리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두 가지의 다른 방식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중심 경로는 논리와 이성에 의존하여 정보를 신중하게 고려하는 것을 말하며 주변경로는 정보의 매력이나 출처의 신뢰도와 같은 비교적 피상적인 단서를 참고하여 고려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를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지를 새로운 스마트폰 구매상황의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고자 한다.
중심 경로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하려고 할 때에는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폰의 사양 과 기능 및 성능을 철저히 조사하여 리뷰를 점검하고 기술적인 세부 사항을 비교하며 해당 옵션이 구매자의 특정한 요구와 선호도와 부합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여 결정한다. 이 경우 중심 경로는 스마트폰과 관련된 정보를 신중하게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주변경로를 통해서 의사결정을 할 때는 구입하려고 하는 스마트폰의 본질적인 특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스마트폰 브랜드의 이미지, 외관 디자인이나 특정 스마트폰을 광고하는 연예인의 영향력 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품 자체에 대한 심층적이며 체계적인 분석보다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단서에 의해 의사결정에 대한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자의 의사결정과정에는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가 적절히 혼합되어 결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스마트폰에 관한 기술 사양을 조사하는 것으로, 중심 경로로서의 의사결정 과정이 시작되지만 특정 브랜드에 대한 주변 사용자의 긍정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아 주변경로를 통해 의사결정이 변동되기도 한다. 또는 주변경로인 세련되고 멋진 디자인에 이끌려 새로운 스마트폰을 구입한 후 중심 경로인 제품 구입 후기 등을 통해 자세한 성능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상황을 예로 들어보고자 한다. 부모님으로부터 생일선물로 스마트폰을 선물 받기로 한 여고생이 서로 다른 브랜드의 스마트폰 두 대를 물망에 올려놓고 고려 중인 상황이다. 여고생은 처음에는 주변경로에 해당하는 스마트폰의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본인이 좋아하는 연예인이 광고하는 모델이라는 사실로 인해 A 스마트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하지만 경쟁 브랜드인 B 스마트폰 또한 뛰어난 기능을 자랑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두 스마트폰의 중심 경로에 해당하는 기술 사양, 사용자의 리뷰 및 전반적인 성능을 구체적으로 비교하기 전까지는 최종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 이렇듯이 의사결정의 과정은 특정 경로 한쪽만을 일방적으로 고려하기보다는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의 모든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결론에 도달하는 방식이 가장 이상적이며 보편적인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개인의 신중한 분석과 외부 단서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으며 개인이 처한 고유의 상황과 더불어 의사결정과 관련된 특정 요인에 따라서 중심 경로와 주변경로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최적의 선택을 위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출처 및 참고문헌
조긍호. \"문화유형과 정서의 차이.\" 心理科學 6.2 (1997): 1-43. 한국인의 정서 이해를 위한 시론.
최명민(Myung Min Choi). \"한국인의 정(情)을 고려한 정신보건사회복지 실천방법 모색.\"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2008): 356-384.
서리빈(Ribin Seo). \"공동내집단 정체성 재범주화 개입을 통한 NIH(Not-Invented-Here) 신드롬 해소 전략.\" 전략경영연구 24.2 (2021): 47-74.
배병룡. \"참여적 의사 결정의 경로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27.4 (2013): 1-20.
신홍임. \"심리적 거리와 의사결정: 집단규범에의 동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4 (2017): 103-123.
지은희,홍인재,and 김민식. \"권력 관계에서의 사회적 의사결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3 (2019): 443-457.
정교화 가능성 모델, 심리학 용어사전, 한국심리학회
약의 메시지는 뇌에서 어떻게 처리될까, 데일리팜, 모연화, 2022.10.05
https://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92207&REFERER=N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