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과제] 보건학개론 - 감염병 2개 조사하기 (콜레라 / SARS)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과제] 보건학개론 - 감염병 2개 조사하기 (콜레라 / SAR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감염병 ‘콜레라’의 임상적 특징과 예방·관리방법
1. 개요 - ‘콜레라’의 정의와 역사
2. 임상적 특징

Ⅱ. 감염병 ‘중증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의 임상적 특징과 예방·관리방법
1. 개요 - ‘중증급성 호흡기 증후군’의 정의와 역사
2. 임상적 특징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치사율 약 9.2%의 감염병이다. 사스는 중국과 대만에서만(홍콩 포함) 7428명의 감염자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약 550여명의 감염자는 캐나다, 싱가포르, 베트남에서 주로 나타났다. 발견 시기는 좀 늦은 2003년 2월이었는데, 발생 초기에는 병원보유체로 사향고양이를 지정했으나 이후 유전고리 분석의 과정을 거치면서 박쥐에서 비롯된 이종감염임이 확인되었다. 백신 같은 경우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까지 이어지지는 않아 개발되던 중 중단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중국의 확산에는 초동대치의 부족한 관심이 원인으로 보여진다. 특히 前 군의관 ‘장옌융(蔣彦永)’ 박사는 2003년 4월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에서 사스의 위험성과 미흡한 대처를 폭로해 알렸는데, 중국 당국은 이를 은폐하고자 부당한 구금과 제한조치를 내렸다. 얼마 뒤, 중국 위생부는 경질을 당했고 본격적으로 대응하며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했는데, 37명이었던 베이징의 감염자 수가 예상을 넘어 340명으로 폭증했다. 2003년 여름 이후에는 중국의 행정적 노력이 총 동원되면서 사스 환자수가 급감했고 2004년 7월부로 감염병 유행이 종료되었다.
2. 임상적 특징
①전파경로
사스는 1차적으로 박쥐나 그 배설물에 접촉함으로써 혹은 감염된 동물들(쥐, 뱀 등)과의 접촉을 통해서 감염될 수 있다. 이로서 발생하는 감염병는 2차적으로 주로 비말을 통해 확산된다.
사스의 주요 확산 원인은 2차적인 전파이다. 먼저 가장 주의해야할 것은 밀접한 접촉이다. 환자의 침방울은 직접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 호흡기 분비물이 주변의 것들을 오염시키면서 이들을 감염확산의 매개로 만들 수 있다. WHO 협력센터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 바이러스는 플라스틱 표면에서 건조된 후에도 48시간 생존이 가능하다고 한다.
사스는 에어로졸의 형태로 전파되기도 한다. 에어로졸이란 바이러스가 1μm이하의 연무질에 포함 되서 공기 중에 머무르다가 흡입되어 퍼지는 감염확산을 말한다. 사스의 바이러스는 약 3시간 넘게 생존하면서 감염력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밝혀졌는데, 주로 의료기관 내의 의료진 감염에 영향을 준 전파경로로 보고 있다.
사스의 바이러스는 분변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는 당시 홍콩 ‘아모이 가든 아파트’ 사례를 들 수 있다. 이 사건은 300명 이상의 대규모 집단 감염이었는데, 연구자들은 슈퍼전파자의 배변에서 나온 고농도의 바이러스가 에어로졸의 형태로 배관을 타면서 확산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②잠복기
사스는 보통 감염된 직후 4~6일의 시간이 경과된 뒤에 증상이 발현되는 양상을 보인다.(최대 10일)
사스는 잠복기 기간 동안은 대체로 전염력이 약한 양상을 띈다. 이는 사스의 바이러스 수치가 점점 증가하다가 본격적인 호흡기 증상이 발현되었을 때, 최대치로 높아지는 특징 때문이다.(보통 48시간 이내에 10~20배의 자기 복제를 진행한다.) 즉, 초기에는 전염력이 약하고 후반부로 갈수록 위험해지니 조기에 격리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미국 「사이언스」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감염자가 초기상태에 사람들과 접촉했을 때는 인원의 3%만이 감염되었는데, 수개월 뒤에 접촉했을 때는 인원의 70%가 감염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사스 바이러스가 갖는 ‘스파이크 단백질(Spike Protein)’의 잦은 돌연변이가 지적받는다. 이 단백질은 우리 세포로의 침투·증식을 위해 끊임없이 돌연변이를 시도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세포 침투에 더욱 적합한 상태를 갖춰 감염 성공률이 높아진다.
③임상증상
하다.
④예후
하다.
⑤예방 및 관리방법
③임상증상
사스의 바이러스(SARS-CoV-01)는 우리 몸에 침투한 다음 숙주세포를 통해 복제과정을 거치고 어느 정도 바이러스가 많아졌을 때 잠복기가 끝나면서 초기증상으로 유행성감기 증상이 나타난다.
이때 잠복기에 일어나는 바이러스의 침투·복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코로나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접근한다. 이때 표면돌기 스파이크 단백질, S 단백질이라고도 불리는 막 관통 단백질이다. 모든 CoV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엑토 도메인은 수용체 결합을 담당하는 S1 도메인과 융합을 담당하는 S2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출처: Sino Biological 「Spike Protein/S protein」]
(S)의 S1 도메인은 숙주세포 겉쪽의
수용체와 결합하고 S2도메인은 막 융합을 담당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한다.
2) 바이러스의 숙주세포 침투 이후에는 탈피(uncoating)가 일어난다. 바이러스의 RNA는 유전체 번역 RNA의 유전 정보를 해독하고, 암호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을 차례로 결합해 단백질을 형성하는 과정.

복제를 위해 세포질로 방출된다. 숙주세포의 대사기구와 기능은 바이러스 중심으로 변환된다.
3) 바이러스는 기생하여 숙주의 것을 이용하고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한다. 이로서
바이러스 복제 복합체(Viral replication complex)가 형성된다.
4) 바이러스 복제 복합체는 전장 서열의 음성가닥 RNA를 합성한다. 이는 양성 가닥 mRNA 합성
을 위한 주형으로 작용한다. 생성된 양성가닥은 mRNA의 역할을 한다.
5) 이후 세포질에서는 뉴클레오캡시드(N) 단백질과 유전체 RNA가 합체해서 나선형의 뉴클레오캡시드가
만들어진다. 이는 내형질세망(endoplamic reticulum, 단백질 합성과 지방 대사를 함.)과 골지(Golgi.
세포 대사기능을 돕는 효소 시스템 보유.)를 거치면서 막(M), 외피(E), 표면돌기(S) 단백질과 합체한다.
6) 출아(Budding)을 위해 이동한다. 바이러스입자(Virion)를 함유하는 소포(Vesicle. 세포내 분자를 이동
시킴)가 세포막에 융합하고 세포외 반출(exoctosis)을 통해 숙주 세포로부터 바이러스가 방출된다.
사스는 잠복기가 끝난 뒤 첫째 주에는 먼저 발열(38℃ 이상), 권태감, 근육통, 두통, 오한 등의 인플루엔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아직 기관지 점막에 염증이 많지 않아 폐의 방어기전으로 마른기침이 나타난다.
감염 된지 둘째 주가 되면 폐렴 폐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 바이러스, 세균, 기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4.02.04
  • 저작시기2020.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0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