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성을 통해 인간이 자연적 소질을 계발시킬 수 있는가?
2. 반사회성을 조절하는 사회성
2-1. 전쟁은 과연 적절한 수단인가?
2-2. 사회성을 통한 세계 시민적 상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사회성을 통해 인간이 자연적 소질을 계발시킬 수 있는가?
2. 반사회성을 조절하는 사회성
2-1. 전쟁은 과연 적절한 수단인가?
2-2. 사회성을 통한 세계 시민적 상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성이 소질 계발을 가능케 함과 협력을 통한 가치 창출을 서술했다. 그리고 국가 체계의 확립과 세계 시민적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반사회성을 표출하는 전쟁이라는 수단을 주장하는 칸트의 명제를 보고 과연 전쟁이라는 수단이 적절한가에 대해 의문을 표했다. 190개국의 GDP 추정치를 분석한 기사를 통해 전쟁으로 인한 손실이 전쟁으로 얻을 이익보다 더 크다고 생각하여 사회성의 역할을 적용하는 것이 반사회성의 표출보다 더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사회성을 통한 세계 시민적 상태 달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각 국가가 ‘지구촌’을 형성하여 공적 안전을 위해 협력하는 ‘유엔세계식량계획’의 제로 헝거 정책 시행을 조사하고 국가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연맹의 정책을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사회성이 세계 시민적 상태로의 달성을 가능케 함으로 사회성의 역할을 행하는 것이 더 온전한 방법이라고 결론 내렸다. 기후 변화, 지구 온난화 등의 전 세계적 인류 멸종 위기에 처한 지금, 각 국가가 이득을 쟁취하기 위해 서로 갈등하는 방식은 결코 옳은 방법이 아닐 것이다. 모두가 협력하고 공적 안전을 위해 나아간다면, 인류는 거대한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개인을 넘어서 국가 또한 존속할 수 있게 되는 세계 시민적 상태에 도달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임마누엘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중 「세계 시민적 보편사의 이념」, 이한구 역, 서광사, 2009, pp.29-41
에이브러햄 매슬로, 『Motivation and Personality』 중 「Hierarchy of needs」, 1943.
(한은혜,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기사, 여기에뉴스, 2017에서 재인용/
주소: http://yeogienews.com/today/207603)
김정미정은주,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1), 2015, pp.81-99.
de Groot, O. J., Bozzoli, C., Alamir, A., & Bruck, T., ‘폭력적인 분쟁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적 부담’, 평화연구저널, 59(2), 2022, pp.259~276.
(주소: https://doi.org/10.1177/00223433211046823)
유엔세계식량계획, 「전 세계 식량 위기 보고서」, 홈페이지 발췌,
(주소: https://ko.wfp.org/zero-hunger)
Ⅳ. 참고문헌
임마누엘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중 「세계 시민적 보편사의 이념」, 이한구 역, 서광사, 2009, pp.29-41
에이브러햄 매슬로, 『Motivation and Personality』 중 「Hierarchy of needs」, 1943.
(한은혜, ‘매슬로의 욕구단계이론’ 기사, 여기에뉴스, 2017에서 재인용/
주소: http://yeogienews.com/today/207603)
김정미정은주,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이 아동의 중심축 행동과 지능 및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1), 2015, pp.81-99.
de Groot, O. J., Bozzoli, C., Alamir, A., & Bruck, T., ‘폭력적인 분쟁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적 부담’, 평화연구저널, 59(2), 2022, pp.259~276.
(주소: https://doi.org/10.1177/00223433211046823)
유엔세계식량계획, 「전 세계 식량 위기 보고서」, 홈페이지 발췌,
(주소: https://ko.wfp.org/zero-hung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