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옥천·영동 개관
Ⅱ. 시인 정지용의 고향
Ⅲ. 백제 성왕의 전사지로 추정되는 구진벼루
Ⅳ. 용암사(龍巖寺)
Ⅴ. 탑신제당과 십이장신당
Ⅵ. 난계사(蘭溪祠)와 가학루(駕鶴樓)
Ⅶ. 영국사(寧國寺)
Ⅱ. 시인 정지용의 고향
Ⅲ. 백제 성왕의 전사지로 추정되는 구진벼루
Ⅳ. 용암사(龍巖寺)
Ⅴ. 탑신제당과 십이장신당
Ⅵ. 난계사(蘭溪祠)와 가학루(駕鶴樓)
Ⅶ. 영국사(寧國寺)
본문내용
리마다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겨 놓았으며, 1층 몸돌 정면에는 자물쇠와 문고리까지 있는 문짝 모양이 새겨져 있다.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완만하고 네 귀퉁이는 바짝 치켜올려진 상태이며, 지붕돌 밑면의 받침은 각 4단씩이다. 이 탑은 기단과 탑신부가 간결하여, 조형 미술품의 규모가 작아지고 양식도 간략화되던 통일신라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3-2. 대웅전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었다.668년(문무왕 8)에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고려 문종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국청사(國淸寺)라 일컬었고, 고려 고종 때는 금당(金堂)을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서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였다고 하여 이름을 영국사로 고쳤다고 한다. 1980년에 해체, 복원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으로 3출목(三出目) 7포작(七包作)집으로 공포는 내외 삼출목(三出目)으로 쇠서[牛舌] 위에 연화(蓮華)를 조각한 조선 후기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창방(昌枋) 위에 놓이는 평방(平枋)은 건물의 측면 앞쪽으로만 짧게 놓여 이 지방의 특징인 다포계 맞배지붕을 꾸미는 데 흔히 보이는 형식을 취하였다. 전내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삼존불상이 안치되어 있고, 삼존불상의 뒷벽에는 1709년(숙종 35) 작품인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걸려 있다.
3-3. 원각국사비(圓覺國師碑) : 보물 534호
영국사 경내에 있는 비로, 고려시대 중기의 승려 원각국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원각국사는 어려서 출가하여 선사·대선사가 되었던 명승으로, 명종 4년(1174)에 입적하자 왕은 그의 유해를 영국사에 안치하였다. 비의 형태는 거북 모양의 비 받침인 귀부(龜趺) 위에 비몸을 세우고, 비 머릿돌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귀부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을 보인다.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북 머리는 퇴화되었고, 거북등의 6각형 무늬와 비를 끼워두는 곳의 덩굴무늬는 생략되었다. 비몸은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있으며 훼손이 심하다. 비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중앙에는 ‘원각국사비명(圓覺國師碑銘)’이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주는데 이는 시대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몸에 비하여 비 받침이 커서 안정감을 주는 반면, 비 머릿돌이 지나치게 커서 중압감을 주고 있다.『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의하면 비문을 지은 이는 한문준이고, 건립연대는 고려 명종 10년(1180)이다.
3-4. 영국사 원구형 승탑
1996년 1월 5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5호로 지정되었다. 영국사 원각국사비(보물 534) 뒤편으로 약 8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원구형 승탑으로 누구의 것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모양과 양식, 문양장식 등이 다른 승탑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상하 연판(蓮瓣)이 단판인 점으로 보아 고려말·조선초의 것으로 추정되며, 원각국사비 바로 뒤에 있는 점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고승 덕소(德素)와 관련이 깊다고 추정된다. 사각지대석 윗면에 중대 받침을 조출하고 사각형 중대석 각면에는 안상이 조각되었다. 앞면의 상대석은 원단형이다. 탑신은 원구형이며 옥개석은 팔작지붕으로 기와골 등은 생략되었고, 옥개석(屋蓋石) 위로 정선된 보주(寶珠)가 열린 완전한 승탑이다.이 절에는 이 외에 2기의승탑이 있는데 하나는 영국사 승탑(보물 532)이고, 또 하나는 영동 영국사 석종형 승탑(충북유형문화재 184)이다.
3-5. 영국사 승탑 : 보물 532호
승탑은 영국사 안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기단부·탑신부·머리장식부로 나뉘어지며 전체적으로 8각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 기단의 아래받침돌은 바닥돌과 한 돌이고 가운데받침돌은 8각의 면마다 무늬를 조각하여 넣었다. 윗받침돌 옆면에는 한 겹의 연꽃잎을 위아래로 장식하였다. 탑신에는 한 면에 직사각형의 문짝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 모양을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의 각 면에는 기왓골을 본떠 새겼는데 처마의 곡선과 잘 어울려서 경쾌한 인상을 준다. 머리장식으로는 복발(覆鉢)과 보주(寶珠)가 남아있다. 이 승탑이 세워진 연도는 절 안의 원각국사비와 연관지어볼 때 고려 명종 10년(1180)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3-6. 석종형 승탑
높이 2.3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3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 상면에 평면 8각형의 기단을 놓았는데, 하대석·중대석·상대석으로 구성되어있다.
하대석에는 단엽(單葉) 16판의 복련(伏蓮)을 조식하고, 상면에는 낮은 각형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중대석의 각 면에는 장방형의 액(額)을 마련한 후 내부에 안상(眼象)을 1구씩 조식하였다. 상대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괴임을 조출하였고, 축면에는 단엽 14판의 앙련(仰蓮)을 조식하였다.
탑신부는 석종형(石鐘型)으로, 상면에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마련하였는데 중앙에는 일변 14㎝, 깊이 5㎝의 방형 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상륜부는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다른 조형물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며, 사면에 장방형의 감실(龕室)이 조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7.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1.4m, 가슴높이 둘레 11.54m 정도로 영국사 정문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있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졌으며, 서쪽으로 뻗은 가지 가운데 한 개는 땅에 닿아 뿌리를 내리고 독립된 나무처럼 자라고 있다.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큰 나무로 문화적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3-2. 대웅전
1980년 1월 9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61호로 지정되었다.668년(문무왕 8)에 창건하였다고 하지만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고려 문종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국청사(國淸寺)라 일컬었고, 고려 고종 때는 금당(金堂)을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고려 공민왕 때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이곳에서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였다고 하여 이름을 영국사로 고쳤다고 한다. 1980년에 해체, 복원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포계(多包系) 맞배지붕으로 3출목(三出目) 7포작(七包作)집으로 공포는 내외 삼출목(三出目)으로 쇠서[牛舌] 위에 연화(蓮華)를 조각한 조선 후기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창방(昌枋) 위에 놓이는 평방(平枋)은 건물의 측면 앞쪽으로만 짧게 놓여 이 지방의 특징인 다포계 맞배지붕을 꾸미는 데 흔히 보이는 형식을 취하였다. 전내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삼존불상이 안치되어 있고, 삼존불상의 뒷벽에는 1709년(숙종 35) 작품인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가 걸려 있다.
3-3. 원각국사비(圓覺國師碑) : 보물 534호
영국사 경내에 있는 비로, 고려시대 중기의 승려 원각국사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원각국사는 어려서 출가하여 선사·대선사가 되었던 명승으로, 명종 4년(1174)에 입적하자 왕은 그의 유해를 영국사에 안치하였다. 비의 형태는 거북 모양의 비 받침인 귀부(龜趺) 위에 비몸을 세우고, 비 머릿돌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귀부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을 보인다.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북 머리는 퇴화되었고, 거북등의 6각형 무늬와 비를 끼워두는 곳의 덩굴무늬는 생략되었다. 비몸은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있으며 훼손이 심하다. 비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중앙에는 ‘원각국사비명(圓覺國師碑銘)’이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주는데 이는 시대적 특징을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비몸에 비하여 비 받침이 커서 안정감을 주는 반면, 비 머릿돌이 지나치게 커서 중압감을 주고 있다.『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의하면 비문을 지은 이는 한문준이고, 건립연대는 고려 명종 10년(1180)이다.
3-4. 영국사 원구형 승탑
1996년 1월 5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85호로 지정되었다. 영국사 원각국사비(보물 534) 뒤편으로 약 8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원구형 승탑으로 누구의 것인지 밝혀지지 않았다. 모양과 양식, 문양장식 등이 다른 승탑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상하 연판(蓮瓣)이 단판인 점으로 보아 고려말·조선초의 것으로 추정되며, 원각국사비 바로 뒤에 있는 점으로 미루어 고려시대의 고승 덕소(德素)와 관련이 깊다고 추정된다. 사각지대석 윗면에 중대 받침을 조출하고 사각형 중대석 각면에는 안상이 조각되었다. 앞면의 상대석은 원단형이다. 탑신은 원구형이며 옥개석은 팔작지붕으로 기와골 등은 생략되었고, 옥개석(屋蓋石) 위로 정선된 보주(寶珠)가 열린 완전한 승탑이다.이 절에는 이 외에 2기의승탑이 있는데 하나는 영국사 승탑(보물 532)이고, 또 하나는 영동 영국사 석종형 승탑(충북유형문화재 184)이다.
3-5. 영국사 승탑 : 보물 532호
승탑은 영국사 안에서 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기단부·탑신부·머리장식부로 나뉘어지며 전체적으로 8각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 기단의 아래받침돌은 바닥돌과 한 돌이고 가운데받침돌은 8각의 면마다 무늬를 조각하여 넣었다. 윗받침돌 옆면에는 한 겹의 연꽃잎을 위아래로 장식하였다. 탑신에는 한 면에 직사각형의 문짝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 모양을 돋을새김하였다. 지붕돌의 각 면에는 기왓골을 본떠 새겼는데 처마의 곡선과 잘 어울려서 경쾌한 인상을 준다. 머리장식으로는 복발(覆鉢)과 보주(寶珠)가 남아있다. 이 승탑이 세워진 연도는 절 안의 원각국사비와 연관지어볼 때 고려 명종 10년(1180)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3-6. 석종형 승탑
높이 2.3m.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84호. 3매의 판석으로 구성된 지대석 상면에 평면 8각형의 기단을 놓았는데, 하대석·중대석·상대석으로 구성되어있다.
하대석에는 단엽(單葉) 16판의 복련(伏蓮)을 조식하고, 상면에는 낮은 각형 2단의 받침을 두었다. 중대석의 각 면에는 장방형의 액(額)을 마련한 후 내부에 안상(眼象)을 1구씩 조식하였다. 상대석의 하면에는 각형 1단의 괴임을 조출하였고, 축면에는 단엽 14판의 앙련(仰蓮)을 조식하였다.
탑신부는 석종형(石鐘型)으로, 상면에 낮은 각형 1단의 받침을 마련하였는데 중앙에는 일변 14㎝, 깊이 5㎝의 방형 구멍이 개설되어 있다. 상륜부는 1석으로 조성되었는데, 다른 조형물의 것을 옮겨온 것으로 추정되며, 사면에 장방형의 감실(龕室)이 조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양식으로 보아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7.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는 가로수로도 많이 심는다.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0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31.4m, 가슴높이 둘레 11.54m 정도로 영국사 정문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있다. 가지는 사방으로 퍼졌으며, 서쪽으로 뻗은 가지 가운데 한 개는 땅에 닿아 뿌리를 내리고 독립된 나무처럼 자라고 있다. 영동 영국사의 은행나무는 오랜 세월동안 조상들의 관심과 보살핌 가운데 살아온 큰 나무로 문화적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보존가치가 높아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수업 연구발표 계획서 (수업계획서)
웹 민원정보시스템 구축 연구
인천광역시 시립박물관에 대하여
우리의 선사문화 : 중원지역의 선사문화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정의와 필요성 및 운영 목적과 기능 (동대문구사회복지협의회)
[재량활동]재량활동의 의의, 재량활동의 기본방향, 재량활동의 분위기 조성, 재량활동의 실태...
내고장 탐구(우리고장 탐구)와 문화유적(효자비), 문화유적(옥룡사지), 내고장 탐구(우리고장...
[행정기준개편] 행정기준개편의 설정기준 및 개편방안
청소년 비행 (비행청소년, 비행의 유형, 비행의 원인, 이론, 현황, 교정사업, 교정기관방문)
(전통사회와 생활문화 공통) 아래 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직접 답사하고 답사 후 느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