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분절음과 비분절음
1. 분절음
1) 자음
2) 모음
① 단모음 분류기준
② 이중모음 분류기준
2. 비분절음
1) 장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분절음과 비분절음
1. 분절음
1) 자음
2) 모음
① 단모음 분류기준
② 이중모음 분류기준
2. 비분절음
1) 장단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의미 분화에 관여하는 운율소가 존재한다. 한편 변별적 기능을 지닌 운율소를 초분절 음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초분절적 요소들은 자음보다는 주로 모음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초분절적 요소들이 모음의 여러 가지 자질 중 하나인가 아니면 모음과는 별개로 독자성을 띠는가 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는 낱말의 모음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음의 길이를 장단이라고 하는데 장단은 초분절음에 속하는 것으로 분절음과 달리 표기에 나타나지 않는다. 한국어에서 긴 소리는 낱말의 첫 음절에서만 타나나고 소리의 길이는 의미 구별의 기능이 있다.
1) 장단
장단은 어휘에 따라 실현되는 소리로 길이는 조음 작용이 그대로 지속되는 현상이며, 한 음절의 길이를 1모라 하고 그 보다 길면 장음이다. 표기 방법은 /:/로 한다.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분화되는 어휘들은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모두에게 나타나는데 그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고유어
한자어
ㅖ은 소리
긴 소리
ㅖ은 소리
긴 소리
적다 (이름을~)
적:다 (수량이~)
소식 (消息)
소:식 (小食)
묻다 (땅에~)
묻:다 (길을~)
무력 (無力)
무력: (武力)
걷다 (소매를~)
걷:다 (걸음을~)
거리 (길거리)
거리: (距離)
Ⅲ. 결론
이상에서 자음과 모음처럼 음절을 분리할 수 있는 분절음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았고, 운율 자질들이 분할되지 않고 단독으로 나타날 수 없는 비분절음을 소리의 길이인 장단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요즘 외국 여행을 하다 보면 현지인들이 먼저 다가와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 또는 특정 가수나 한국어에 대해 질문을 하는 분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프랑스 젊은 사람들에게는 한국어를 할 줄 알아야 세련됐다는 말을 듣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그만큼 대한민국과 한국어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요즘 많은 외국인이 배우고 싶어 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학습의 가장 기초인 음운 학습을 시작으로 정확한 한국어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생각 한다.
Ⅳ. 참고문헌
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 박덕유외 9명, 박문사, 2011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허용.김선정, 도서출판 박이정, 2007
3. 한국어음운론, 한울원격평생교육원 교안, 2019
4. https://tip.daum.net/question/105745149, 2018
5. 네이버 지식백과
이와 같은 초분절적 요소들은 자음보다는 주로 모음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러한 초분절적 요소들이 모음의 여러 가지 자질 중 하나인가 아니면 모음과는 별개로 독자성을 띠는가 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어는 낱말의 모음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음의 길이를 장단이라고 하는데 장단은 초분절음에 속하는 것으로 분절음과 달리 표기에 나타나지 않는다. 한국어에서 긴 소리는 낱말의 첫 음절에서만 타나나고 소리의 길이는 의미 구별의 기능이 있다.
1) 장단
장단은 어휘에 따라 실현되는 소리로 길이는 조음 작용이 그대로 지속되는 현상이며, 한 음절의 길이를 1모라 하고 그 보다 길면 장음이다. 표기 방법은 /:/로 한다.
소리의 길이에 따라 의미가 분화되는 어휘들은 고유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모두에게 나타나는데 그 예시들은 다음과 같다.
고유어
한자어
ㅖ은 소리
긴 소리
ㅖ은 소리
긴 소리
적다 (이름을~)
적:다 (수량이~)
소식 (消息)
소:식 (小食)
묻다 (땅에~)
묻:다 (길을~)
무력 (無力)
무력: (武力)
걷다 (소매를~)
걷:다 (걸음을~)
거리 (길거리)
거리: (距離)
Ⅲ. 결론
이상에서 자음과 모음처럼 음절을 분리할 수 있는 분절음을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았고, 운율 자질들이 분할되지 않고 단독으로 나타날 수 없는 비분절음을 소리의 길이인 장단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요즘 외국 여행을 하다 보면 현지인들이 먼저 다가와 어느 나라에서 왔는지 또는 특정 가수나 한국어에 대해 질문을 하는 분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프랑스 젊은 사람들에게는 한국어를 할 줄 알아야 세련됐다는 말을 듣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그만큼 대한민국과 한국어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요즘 많은 외국인이 배우고 싶어 하는 언어인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학습의 가장 기초인 음운 학습을 시작으로 정확한 한국어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고 생각 한다.
Ⅳ. 참고문헌
1.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교육 연구, 박덕유외 9명, 박문사, 2011
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허용.김선정, 도서출판 박이정, 2007
3. 한국어음운론, 한울원격평생교육원 교안, 2019
4. https://tip.daum.net/question/105745149, 2018
5. 네이버 지식백과
추천자료
한국어음운론 ) 어문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
한국어 음운론)훈민정음해례본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를 비교 설명하시오
한국어의 기본자음(단자음)에 경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에 대하여 포함되어 있지 않는것...
한국어 음운론 레포트(현대 한국어의 분절음과 비분절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 제시 순서를 정리 하고 본인이 생각하...
한국어음운론 ) 한국어의 모음 체계에서 단모음의 음소 수에 대해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한국어음운론 ) 한국어의 초분절음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초분절음 교육 방안에...
한국어음운론) 말소리의 산출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한국어음운론) 주차, 차시 강의주제에 대한 본인의견 작성
[15/15]한국어 모음 체계의 특징과 한국어 교육에서 모음 음소를 효율적으로 교육하는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