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외국인을 위한 한국문화교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머리말

Ⅱ. 한국인의 생활문화

1. 한국인의 의생활 문화
2. 한국인의 식생활 문화
3. 한국인의 주생활 문화

Ⅲ. 의생활의 문화수업 구성


Ⅳ. 맺음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요?
한복의 좋은 점이 무엇인가요?
수업의 제시 : 한복이 주로 설날과 집의 중요 행사에 입습니다. 또한 격식 있는 행사에도
한복을 입기도 합니다. 결혼식에 신랑 신부가 한복을 입고 부모님에게 폐백을
드리거나 설날에 웃어른에게 세배를 드릴 때도 한복을 입습니다.
1) 한복 만들기 영상을 통해 본 한복을 직접 그려본다.
- 반접은 도화지에 한복을 스케치하고 색칠을 한다.
- 그려진 한복을 가위로 오려서 책상위에 모두 세워 전시한다.
- 학습자들과 공유하면서 한복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2) 학자들의 전통의상도 그려보고 서로 자국 의상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연습과 활용 : - 한복을 그려보고 어떠했는지 질문을 해본다.
- 자국의 의상과 어떤 부분에서 큰 차이가 있는지 이야기 해 본다.
- 한복에 대해 질문을 받고 추가 설명을 해준다.
- 현장 문화수업 시 한복을 직접 착용해 본다. (이미 수업을 통해 한복에 대해
공부를 했고 직접 그려보았기 때문에 한복에 대한 의미가 크게 다가올 수 있다.)
Ⅳ. 맺음말
이상에서 한국인의 대표적인 의식주 생활문화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중 한복 만들기의 문화 수업을 통해서 한국인의 전통 옷인 한복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복을 입고 생활하는 영상을 통해 접해 본 다양한 한복을 직접 색칠하고 만들어 보면서 전통 한복이 한국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알아보았고 한복의 아름다움과 디자인의 세련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실제 수업 밖에서 한복을 입어 보았을 때 한복의 의미가 좀 더 색다르게 다가 올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런 문화수업은 한국인의 생활상을 직접 배우고 느끼고 체험하게 되기 때문에 한국어를 공부할 때 문화와 접목을 시키게 되면 흥미로운 수업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요즘 프랑스 젊은 사람들에게는 한국어를 할 줄 알아야 세련됐다는 말을 듣는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는데 그만큼 21세기의 대한민국은 세계에서도 누구나 알고 있는 나라로 그 위상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데 자부심이 있다. 우리 스스로가 아끼고 사랑하는 한국적인 문화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좋은 시기라 생각이 된다.
Ⅴ. 참고문헌
1. 외국인을 이한 한국문화교육론, 한울원격평생교육원 교안, 2019
2.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박영순, 한국문화사, 2002
3.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coolchacha/20206156729, Grace, 2014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4.09
  • 저작시기2020.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69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