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지역사회살기_AI가 창작 영역을 정복할 수 있을까 (AI 예술에 대한 논란들과 인간들이 취해야 할 태도에 관하여, 향후 기술발전으로 뒤따르는 장단점 및 문제를 지역사회와도 연관시켜 다루는 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디지털지역사회살기_AI가 창작 영역을 정복할 수 있을까 (AI 예술에 대한 논란들과 인간들이 취해야 할 태도에 관하여, 향후 기술발전으로 뒤따르는 장단점 및 문제를 지역사회와도 연관시켜 다루는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예술계와 인공지능

2) 인공지능의 예술적 한계

3) 인공지능의 창의성

4) 향후 예술에서의 인간과 인공지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프로그램이다. 이는 사물과 사람의 신체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색과 형상을 자율적으로 선택하고 이를 펜드로잉 방식으로 작품을 완성한다. 아론의 작품은 영국의 테이트 갤러리 등 세계 곳곳의 미술관에 전시되었고, 그의 예술성에 대해 증명하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예술가이면서 로봇 기술자 패트릭 트리셋(Patrick Tresset)은 ‘드로잉 로봇 바울(Paul)’과 ‘e다윗(David)’을 개발했다. 오랜 개발기간을 거쳐 만들어졌으며 카메라와 로봇 팔을 이용해 그림을 그린다. 특히 e다윗은 5개의 각기 다른 붓을 사용해서 사람보다 더 섬세한 작업이 가능한 뛰어난 로봇이다. 이들이 그린 그림은 박물관, 갤러리, 아트페어 등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2016년 5월에는 세계 최초로 ‘로봇 아트 콘테스트’가 개최되었다. 다양한 국가에서 참가한 첫 대회에서는 타이완 대학팀의 로봇 예술가 타이다(TAIDA)가 아인슈타인 초상화를 그려 우승했고 또한 미국 출신의 로봇화가 클라우드페인터(CloudPainter)는 사진 ‘보니와 코린(Bibbue and Cornne)’을 그대로 모방해내면서 2등을 거머쥐었다.
2018년 1월, MS사에서 만든 ‘드로잉봇(Drawing Bot)’은 AttnGAN(Atten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문장을 가지고 표현된 단어나 형태를 자신만의 방식으로 이해해 그림으로 표현해주는 놀라운 기술로 관심을 많이 받았다. 가령 ‘보라색 부리를 가진 새와 같은 강아지’처럼 복잡한 텍스트로도 정교하게 그림을 그려내 극찬을 받았다.
2) 인공지능의 예술적 한계
 인공지능이 추구하는 예술은 앞서 소개했던 것처럼 기존의 이미지나 사람의 신체, 색감 등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야만 창작이 가능한 모방성을 보인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입력하기에는 예술창작 분야는 여전히 미 개발된 부분도 많고 인간의 창의성과 창조성을 다 담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인공지능 스스로 작가의 주관을 가지고 세계관을 표명하거나 주장하는 경우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인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경험의 총체이며 정신의 정수라는 점으로 볼 때 기계가 아직 인간이 못하는 부분을 모두 해결했다고 하는 폴라니의 ‘암묵적 영역’에 대한 부분은 해결하지 못했다고 본다.
또한 딥 드림에서 작업한 모나리자의 작품을 보더라도 이미지의 조악함과 우스꽝스러운 모습은 우리의 웃음을 자아낼 정도이다. 컴퓨터의 창작은 역시 모방일 뿐이라는 사실에 힘을 실어주는 일이었고, 작은 패턴의 복사만으로는 기괴한 작품을 낳는다는 한계를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그림을 잘 그렸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도 쉽지 않다. 그리고 기계의 예술창작력이 인간 창작력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아무리 까다로운 기준을 가지고 평가하더라도 증명했다고 보기는 힘들다. 예술은 증명의 대상이 아닌 해석의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간은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서 열정을 다한다면, 늘 작품의 상태가 다르게 나오기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4.10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7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