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목차
제 01 장 원예학 서설
제 02 장 원예식물의 분류
제 03 장 생장과 발육
제 04 장 생육과 환경
제 05 장 번식과 육묘
제 06 장 시비와 관수
제 07 장 생육의 조절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제 02 장 원예식물의 분류
제 03 장 생장과 발육
제 04 장 생육과 환경
제 05 장 번식과 육묘
제 06 장 시비와 관수
제 07 장 생육의 조절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해설포함 *
본문내용
제1장 원예학 서설
1. 원예의 의미와 역사
1) 원예의 의미와 정의
① 원예의 문자적ㆍ어원적 의미
- 원예(園藝)는 울타리로 밭을 에워싸고 있는 모습에 뜰, 밭, 담, 울타리를 의미하는 ‘동산 원(園)’과 나무를 심는 모습에 재주ㆍ심다를 의미하는 ‘재주/심을 예(藝)’를 의미함
- 영어의 horticulture는 17세기부터 사용되었는데 그 어원은 라틴어 Horus(정원, 에워싸다)와 culture(가꾸다)의 합성어임
- 즉, 전통적인 원예의 의미는 한자든 영어든 ‘울타리를 친 밭에서 작물을 재배한다’를 뜻함
② 원예의 특징과 정의
- 원예는 집 안팎이나 근처에서 이루어짐 (장소)
- 원예는 소규모의 밭이나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짐 (규모)
- 원예는 상대적으로 값비싼 작물을 대상으로 함 (대상)
- 원예는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임 (방식)
③ 유전자원의 정의
유전자원은 진화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자연적, 인위적 선택을 통해 오랫동안 축적되어 온 우량유전자의 집적체이며, 작물의 품종개량을 위한 육종의 소재로서의 이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식물 종을 의미함
2) 원예의 역사
① 고대의 한국원예
- 우리나라의 기원전 원예 활동에 관한 기록이나 유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주로 삼국시대 이후부터 역사서, 고분벽화, 유물 등에 등장하는 원예작물과 원예 활동을 근거로 추정해 볼 수 있음
- 그 예로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중 ‘가포육영’은 가지, 파, 순무, 아욱, 박 등 여섯 가지 채소를 주제로 지은 시이며, 고려청자에는 연꽃이나 참외 모양을 한 문양이 관찰되고 그 외 청자문양에서도 다양한 원예식물을 찾아볼 수 있음
- 조선 시대의 태조는 장원서를 설치하여 화초와 과수 재배를 하였으며, 세종 때 강희안은 ‘양화소록’을 지어 다양한 화목류의 재배기술을, 전순의는 ‘산가요록’을 편찬하여 겨울철 채소를 재배하는 온실 건축방법을 소개하였음
② 근대의 한국원예
- 한국정부는 1906년 뚝섬에 원예 연구기관인 원예모범장을 설립한 것을 근대 한국원예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으며, 조직 및 기구개편과 함께 권업모범장 뚝섬원예지장, 농시험장 종예부 원예과, 중앙원예기술원, 농사원 원예시험장,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을 거쳐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명칭과 기능을 바꿔옴
- 특별히 도별로 농업기술원과 산하 특화작목시험장을 설립하여 지역특산물을 중심으로 한 원예의 과학적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
- 근대식 원예교육은 농상공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장지연의 ‘채소재배전서’를 최초로 원예 기술서를 발간하였음
- 초기 원예교육은 농학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원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원예고등학교, 원예전문대학이 등장하고 대학에서는 원예학과가 분리되었음
- 이외에 1963년 창립된 한국원예학회가 있으며, 분과별 연구회로 시설원예연구회, 고추연구회, 잔디연구회, 배추과제소연구회, 도시농업연구회 등이 있음
- 중략 -
1. 원예의 의미와 역사
1) 원예의 의미와 정의
① 원예의 문자적ㆍ어원적 의미
- 원예(園藝)는 울타리로 밭을 에워싸고 있는 모습에 뜰, 밭, 담, 울타리를 의미하는 ‘동산 원(園)’과 나무를 심는 모습에 재주ㆍ심다를 의미하는 ‘재주/심을 예(藝)’를 의미함
- 영어의 horticulture는 17세기부터 사용되었는데 그 어원은 라틴어 Horus(정원, 에워싸다)와 culture(가꾸다)의 합성어임
- 즉, 전통적인 원예의 의미는 한자든 영어든 ‘울타리를 친 밭에서 작물을 재배한다’를 뜻함
② 원예의 특징과 정의
- 원예는 집 안팎이나 근처에서 이루어짐 (장소)
- 원예는 소규모의 밭이나 제한된 공간에서 이루어짐 (규모)
- 원예는 상대적으로 값비싼 작물을 대상으로 함 (대상)
- 원예는 집약적으로 이루어지는 농업임 (방식)
③ 유전자원의 정의
유전자원은 진화의 과정을 거쳐 오면서 자연적, 인위적 선택을 통해 오랫동안 축적되어 온 우량유전자의 집적체이며, 작물의 품종개량을 위한 육종의 소재로서의 이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식물 종을 의미함
2) 원예의 역사
① 고대의 한국원예
- 우리나라의 기원전 원예 활동에 관한 기록이나 유적은 찾아볼 수 없으나 주로 삼국시대 이후부터 역사서, 고분벽화, 유물 등에 등장하는 원예작물과 원예 활동을 근거로 추정해 볼 수 있음
- 그 예로 고려 시대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 중 ‘가포육영’은 가지, 파, 순무, 아욱, 박 등 여섯 가지 채소를 주제로 지은 시이며, 고려청자에는 연꽃이나 참외 모양을 한 문양이 관찰되고 그 외 청자문양에서도 다양한 원예식물을 찾아볼 수 있음
- 조선 시대의 태조는 장원서를 설치하여 화초와 과수 재배를 하였으며, 세종 때 강희안은 ‘양화소록’을 지어 다양한 화목류의 재배기술을, 전순의는 ‘산가요록’을 편찬하여 겨울철 채소를 재배하는 온실 건축방법을 소개하였음
② 근대의 한국원예
- 한국정부는 1906년 뚝섬에 원예 연구기관인 원예모범장을 설립한 것을 근대 한국원예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으며, 조직 및 기구개편과 함께 권업모범장 뚝섬원예지장, 농시험장 종예부 원예과, 중앙원예기술원, 농사원 원예시험장, 농촌진흥청 원예시험장을 거쳐 현재 국립원예특작과학원으로 명칭과 기능을 바꿔옴
- 특별히 도별로 농업기술원과 산하 특화작목시험장을 설립하여 지역특산물을 중심으로 한 원예의 과학적 연구가 이뤄지고 있음
- 근대식 원예교육은 농상공학교에서 시작되었으며 장지연의 ‘채소재배전서’를 최초로 원예 기술서를 발간하였음
- 초기 원예교육은 농학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원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원예고등학교, 원예전문대학이 등장하고 대학에서는 원예학과가 분리되었음
- 이외에 1963년 창립된 한국원예학회가 있으며, 분과별 연구회로 시설원예연구회, 고추연구회, 잔디연구회, 배추과제소연구회, 도시농업연구회 등이 있음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