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는 없고 내용에 충실히 포함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
나는 행복을 두 가지로 정의한다. 하나는 외직에 나가서는 대장군의 깃발을 앞세우고 관인을 허리에 두르고, 내직에 들어와서는 비단옷에 수레를 타고 사방을 다스릴 계책을 듣는 것으로 ㉠ 열복(熱福)이다. 또 하나는 깊은 산 속에서 삼베옷에 짚신을 신고, 맑은 샘물에 발을 씻고, 소나무에 기대어 시를 읊는 것으로 ㉡ 청복(淸福) 이다.(정약용의 행복론)
[ ( ㉠ 물질적 만족 ( 대장군의 깃발, 관인, 비단 옷, 수레 - 명예와 지위 ) ]
[ ( ㉡ 정신적 만족 ( 삼베옷, 삶의 여유, 시 낭송 - 만족과 정신적 안정 ) )
2. 다음은 행복에 대한 입장이다. 옳게 서술된 것은? ③
①
스토아 학파
육체적 고통과 마음의 불안이 없는 평온한 삶이다.
②
아리스토텔레스
본성에 따라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③
벤담
쾌락의 충족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다.
④
유교
수행과 중생 구제의 해탈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⑤
에피쿠르스
인간 삶의 궁긍적 목적으로 이성이 발휘될 때 달성된다.
①은 ‘에피쿠르스’가 말한 것으로 (에평)으로 외운 상황에서는 ‘스토아 학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②는 ‘도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도자)로 외운 상태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③은 ‘벤담’으로 (벤쾌최)로 외운 상태에서는 옳은 내용임을 알 수 있다.
④는 ‘불교’에 해당하는 것으로 (불탈)로 외운 상태에서 ‘유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이)로 외운 상태에서 ‘에피쿠르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3.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 변형) ④
갑 :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기본권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을 : 소득이 늘어나면 선택할 기회가 많아져 더 자유롭고 건강해지므로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① 갑은 소득과 행복은 정비례 관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② 을은 소득과 행복은 반비례 관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③ 갑은 소득의 지속적인 증가가 기본권 욕구 충족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한다.
④ 을은 소득이 계속해서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과 행복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고 생각한다.
⑤ 갑, 을 모두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득의 증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다음과 같이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설명은? ③
고정적인 생업(항산<恒産>)이 없으면서도 일정하고 떳떳하며, 도덕적인 항심(恒心)을 지니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할 수 있습니다. 일반 백성은 고정적인 생업이 없으면 그로 인해 도덕적 마음도 없어집니다.
① 항심은 외적인 결과를 중시하고 항산은 내적인 과정을 중시한다.
② 백성을 순종하게 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의 생업을 중시해야 한다.
③ 백성에게 고정적 생업을 보장하는 것은 도덕적 마음의 유지에 필요하다.
④ 도덕적 항심의 보장을 통해서만 백성의 고정적 생업의 보장이 가능하다.
⑤ 백성을 통치하는 권력자는 일반 백성의 항산보다는 항심을 중시해야 한다.
나는 행복을 두 가지로 정의한다. 하나는 외직에 나가서는 대장군의 깃발을 앞세우고 관인을 허리에 두르고, 내직에 들어와서는 비단옷에 수레를 타고 사방을 다스릴 계책을 듣는 것으로 ㉠ 열복(熱福)이다. 또 하나는 깊은 산 속에서 삼베옷에 짚신을 신고, 맑은 샘물에 발을 씻고, 소나무에 기대어 시를 읊는 것으로 ㉡ 청복(淸福) 이다.(정약용의 행복론)
[ ( ㉠ 물질적 만족 ( 대장군의 깃발, 관인, 비단 옷, 수레 - 명예와 지위 ) ]
[ ( ㉡ 정신적 만족 ( 삼베옷, 삶의 여유, 시 낭송 - 만족과 정신적 안정 ) )
2. 다음은 행복에 대한 입장이다. 옳게 서술된 것은? ③
①
스토아 학파
육체적 고통과 마음의 불안이 없는 평온한 삶이다.
②
아리스토텔레스
본성에 따라 자연 그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이다.
③
벤담
쾌락의 충족으로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다.
④
유교
수행과 중생 구제의 해탈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⑤
에피쿠르스
인간 삶의 궁긍적 목적으로 이성이 발휘될 때 달성된다.
①은 ‘에피쿠르스’가 말한 것으로 (에평)으로 외운 상황에서는 ‘스토아 학파’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②는 ‘도가’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도자)로 외운 상태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③은 ‘벤담’으로 (벤쾌최)로 외운 상태에서는 옳은 내용임을 알 수 있다.
④는 ‘불교’에 해당하는 것으로 (불탈)로 외운 상태에서 ‘유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⑤는 ‘아리스토텔레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이)로 외운 상태에서 ‘에피쿠르스’가 아님을 알 수 있다.
3. 갑, 을의 입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EBS 교재 변형) ④
갑 : 소득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고, 기본권 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을 : 소득이 늘어나면 선택할 기회가 많아져 더 자유롭고 건강해지므로 돈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는 한계가 없습니다.
① 갑은 소득과 행복은 정비례 관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② 을은 소득과 행복은 반비례 관계가 존재한다고 본다.
③ 갑은 소득의 지속적인 증가가 기본권 욕구 충족에 영향이 없다고 주장한다.
④ 을은 소득이 계속해서 높아질수록 삶의 만족과 행복이 지속적으로 늘어난다고 생각한다.
⑤ 갑, 을 모두 행복한 삶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소득의 증가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4. 다음과 같이 주장한 사상가의 입장으로 옳은 설명은? ③
고정적인 생업(항산<恒産>)이 없으면서도 일정하고 떳떳하며, 도덕적인 항심(恒心)을 지니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할 수 있습니다. 일반 백성은 고정적인 생업이 없으면 그로 인해 도덕적 마음도 없어집니다.
① 항심은 외적인 결과를 중시하고 항산은 내적인 과정을 중시한다.
② 백성을 순종하게 하기 위해서는 백성들의 생업을 중시해야 한다.
③ 백성에게 고정적 생업을 보장하는 것은 도덕적 마음의 유지에 필요하다.
④ 도덕적 항심의 보장을 통해서만 백성의 고정적 생업의 보장이 가능하다.
⑤ 백성을 통치하는 권력자는 일반 백성의 항산보다는 항심을 중시해야 한다.
추천자료
- 중학교1학년부터 고1까지의 도덕교과서 분석
-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와 사회교육의 특징 및 사회교육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A+레포트)
- 과학과(과학교육) 성격과 목표분류,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 수준별학습, 초등학교 과학과...
-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교과목표와 학년별 강조점, 초등학교 사회과(사회과교육)의 ...
- [수업설계][수업설계 기본방향][수업설계 특징][수업설계 사례][수업설계 방법]수업설계의 의...
- 한국지리과(한국지리교과)의 목표와 내용, 한국지리과(한국지리교과)의 수행평가, 한국지리과...
-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 지역화 교육과정(교육과정 지역화)의 의미, 지역화 교육과정(교육과정 지역화)의 내용 원천, ...
- 영국의 역사교육과 국가교육과정
- 7차 사회과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까지의 특징 및 변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