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1~7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6장, 순자, 순자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2)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서양의 고전(8~15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11장,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3) 가장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1~15장)을 한 편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왜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이유’를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5장, 맹자, 맹자
2)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서술
참고문헌
1) 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1~7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6장, 순자, 순자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2)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서양의 고전(8~15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11장, 쇼펜하우어,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3) 가장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1~15장)을 한 편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왜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이유’를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5장, 맹자, 맹자
2)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서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작인 \'맹자\'는 고대 중국의 유교 사상을 대표하는 책 중 하나로, 인간의 본성을 성선설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의(仁義)와 왕도정치(王道政治)를 통한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주장하였다.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킨 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기원전 372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289년경에 사망했으며, 그의 저서 \'맹자\'는 유교 경전 이후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 평가받다. \'맹자\'는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 본성, 정치, 교육,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1) \'맹자\'의 주요 내용
(1) 인간 본성
맹자는 인간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발휘하기 위해 교육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2) 왕도
맹자는 덕을 통해 백성을 다스리는 왕도를 지지했다. 그는 폭력과 억압에 의한 통치가 아니라, 백성의 이익을 위해 덕을 실천하는 통치자가 이상적이라고 주장했다.
(3) 민본사상
맹자는 민중을 중시하는 민본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군주는 백성을 위해 존재하며, 백성의 지지를 잃은 군주는 퇴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의(義)
맹자는 의(義)를 가장 중요한 도덕적 가치로 강조했다. 그는 의는 정의, 올바름, 도리를 의미하며, 모든 행동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5) 교육
맹자는 교육이 사회 발전의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발휘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비판적 평가
하지만 이 책은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첫째는 맹자가 인간의 본성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간의 본성을 성선설로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순자의 논리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선악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관련 논쟁이 현대까지도 심각하고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통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정설이다.
둘째는 시대적 한계로 이 책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정치와 사회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치자(治者)는 위로는 황제로부터 아래로는 일반 관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치자(治者)의 자격을 갖는 계층에 대하여 어떻게 백성을 다스릴 것인가, 어떻게 하면 백성이 다스려질까를 말하는 학문이라는 것이 맹자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주장이다. 이러한 보수적인 관료주의 내지 신분제적 관점은 시대적인 한계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기도 하다.
셋째는 맹자는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불평등한 사회 인식으로 일부 내용은 현대의 인권과 평등의 원칙에 위배될 수도 있다. 책의 일부 내용은 여성과 노예 등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반면 순자는 남성성과 여성성이 균형잡힌 지도자 상을 그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는 유교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한계로 철저한 신분제에 입각한 보수적인 사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논리로써 활용되고 있는 면이 크다는 점이다. 도교로부터 치자(治者)의 일원이 되어 이상적 정치 실현에 광분하는 태도는 인위적인 노력의 한계나 허무함을 깨달았다고 주장하는 도가로부터 조소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는 고대 중국의 유교 사상을 대표하는 책 중 하나로,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위해 인의와 왕도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 책은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류종렬 등
맹자는 공자의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킨 유학의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기원전 372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289년경에 사망했으며, 그의 저서 \'맹자\'는 유교 경전 이후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 평가받다. \'맹자\'는 총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간 본성, 정치, 교육, 윤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
1) \'맹자\'의 주요 내용
(1) 인간 본성
맹자는 인간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하는 성선설을 제시했다. 그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본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발휘하기 위해 교육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2) 왕도
맹자는 덕을 통해 백성을 다스리는 왕도를 지지했다. 그는 폭력과 억압에 의한 통치가 아니라, 백성의 이익을 위해 덕을 실천하는 통치자가 이상적이라고 주장했다.
(3) 민본사상
맹자는 민중을 중시하는 민본사상을 제시했다. 그는 군주는 백성을 위해 존재하며, 백성의 지지를 잃은 군주는 퇴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4) 의(義)
맹자는 의(義)를 가장 중요한 도덕적 가치로 강조했다. 그는 의는 정의, 올바름, 도리를 의미하며, 모든 행동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5) 교육
맹자는 교육이 사회 발전의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을 통해 인간의 선한 본성을 발휘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비판적 평가
하지만 이 책은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첫째는 맹자가 인간의 본성을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보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인간의 본성을 성선설로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인간의 본성은 순자의 논리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선악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관련 논쟁이 현대까지도 심각하고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인간의 본성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통제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정설이다.
둘째는 시대적 한계로 이 책은 고대 중국의 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현대의 정치와 사회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치자(治者)는 위로는 황제로부터 아래로는 일반 관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치자(治者)의 자격을 갖는 계층에 대하여 어떻게 백성을 다스릴 것인가, 어떻게 하면 백성이 다스려질까를 말하는 학문이라는 것이 맹자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주장이다. 이러한 보수적인 관료주의 내지 신분제적 관점은 시대적인 한계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기도 하다.
셋째는 맹자는 가부장적이고 남성 중심적인 시각을 드러낸다. 불평등한 사회 인식으로 일부 내용은 현대의 인권과 평등의 원칙에 위배될 수도 있다. 책의 일부 내용은 여성과 노예 등 사회적 약자를 차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반면 순자는 남성성과 여성성이 균형잡힌 지도자 상을 그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는 유교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한계로 철저한 신분제에 입각한 보수적인 사회 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논리로써 활용되고 있는 면이 크다는 점이다. 도교로부터 치자(治者)의 일원이 되어 이상적 정치 실현에 광분하는 태도는 인위적인 노력의 한계나 허무함을 깨달았다고 주장하는 도가로부터 조소를 받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는 고대 중국의 유교 사상을 대표하는 책 중 하나로,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위해 인의와 왕도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이 책은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치와 사회를 발전시키는 데에도 큰 도움을 준다.
참고문헌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류종렬 등
추천자료
2020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
2021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제12장 다윈, 『종의 기원』 감상문)
2022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인상 깊게 읽은 고전 원문)
2023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1(제9장 토마스 아퀴나스 - 신학대전)
2023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2(제12장 다윈 - 종의 기원)
동서양고전의이해 제5장 맹자
동서양고전의이해 제6장 순자
동서양고전의이해 제11장 쇼펜하우어
동서양고전의이해 제15장 롤스
2024년 1학기 동서양고전의이해 기말시험 과제물(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