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생리학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차이 레포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부생리학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구조와 차이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 1장 신경계통의 구성
2. 제 2장 중추신경계
3. 제 3장 말초신경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부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면 눈의 동공을 축소시켜 빛의 유입을 줄이고 심장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하여 심박동수를 줄이며 동시에 수축력도 약화시킨다. 그러나 눈물샘의 분비를 촉진하고, 소화관에서도 흥분상태를 유발하여 민무늬근육의 수축 빈도와 수축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엉치분절의 부교감신경은 방광, 생식기 등 골반 내장에 분포하여 분비를 촉진시키고 생식기의 발기와 흥분을 일으킨다.
표 3-3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의 기관별 작용
표적 기관/계통/활동
교감신경계의 작용
부교감신경계의 작용
눈(홍채)
동공확대근 자극, 동공확대
동공수축근 자극, 동공수축
눈(섬모체근)
작용하지 않음
섬모체극 자극, 원근조절을 위해 렌즈의 형택 볼록해진다.
샘(코,눈물,침,위,이자)
분비활동 감소, 샘에 공급되는 혈관수축으로 인한 감소
분비활동 자극
땀샘
엄청난 양의 땀 분비를 자극
작용하지 않음
털세움근
수축해서 털을 세우거나 소름을 만듦
작용하지 않음
심장근육
심장박동수와 수축력 증가
심장박동수 감소, 심장을 천천히 안정적으로 뛰게 함
심장
혈관 확장
혈관수축

세기관지 이완, 약간의 혈관수축
세기관지 수축
소화기관
소화기관과 조임근의 근육 활동과 분비샘의 활동 감소, 수축
소화기관의 분비액과 연동운동 증가, 영양소의 움직임에 따라 조임근 이완

에피네프린의 작용으로 혈액에 포도당 분비
효과 없음
쓸개
활동 감소, 안정됨
활동 증가, 담즙 배출
부신속질
부신속질세포를 자극하여 혈류에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작용하지 않음
콩팥
혈관 수축, 배뇨량 감소
효과 없음
방광
방광벽의 민무늬근육 이완, 요도조임근 수축, 배뇨억제
방광벽의 민무늬근육 수축, 요도 조임근 이완, 배뇨촉진
음경
수축
이완
자궁
자궁벽의 민무늬 근육 수축자극, 혈관 수축
자궁벽의 민무늬 근육 수축 저하, 혈관 확장
질, 음핵
질 수축
혈관 확장
혈관
대부분의 혈관이 수축되고 혈압이 증가, 운동중에는 뼈대근육의 혈관을 확장
거의 또는 전혀 효과없음
혈액응고
응고 증가
작용하지 않음
세포대사
대사 속도 증가
작용하지 않음
지방조직
지방 분해 자극
작용하지 않음
정신활동
각성도 증가
작용하지 않음
Ⅳ.자율신경계통과 체성운동계통의 비교
1.체성운동계(somatic motor system)
각각의 체성운동신경세포는 중추신경계의 모든 경로에서부터 신경이 분포하는 근육까지 이어진다. 각 운동단위는 단일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뼈대 근육세포(골격근세포)에도 신경이 분포해 있다. 전형적인 몸운동신경 축삭은 두껍고, 신경자극을 빠르게 전달하는 두꺼운 말이집섬유들로 구성되어 있다.
2.자율신경계(autonomic nerve system)
자율신경계통의 운동단위는 두 개의 운동신경세포의 사슬로 되어 있다. 첫 번째 사슬은 신경절이전신경세포로 세포체가 중추신경 내에 위치해있다. 신경절이전축삭은 이차운동신경세포인 신경절이후신경세포와 말초에 위치한 자율신경절에서 연접한다. 신경절이후축삭은 내장기관까지 이어져 있다. 기능상 신경결이전신경세포는 신경절이후신경세포에 신호를 보내 효과기관에서 근육의 수축 또는 샘분비를 자극한다. 신경절이후 축삭은 얇으며 말이집섬유들로 구성되어 있고, 신경절이후축삭은 더 얇지만 민말이집섬유이다. 따라서 자율신경계통을 통한 자극의 전도는 체성운동계를 통한 전도보다 느리다.
표 3-4 체성운동신경계와 자율운동신경계의 차이
특징
체성운동신경
자율성 운동신경
효과기관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 선
신경절의 존재
신경절 없음
신경절이후신경섬유의 세포체가 척추옆신경절,척추앞신경절,종말신경절에 존재
중추신경에서부터 효과기까지의 신경개수
1개
2개
신경근육접합의 형태
특수화된 운동종판
특별한 시냅스후 막 없음;평활근세포로 이루어진 모든 부위는 신경전달물질을 위한 수용기 단백질 존재
신경자극이 근육에 미치는 효과
흥분성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경섬유의 형태
빠른 전도, 유수신경
느린전도
신경절단의 효과
이완마비와 위축
근육긴장과 기능이 지속, 표적세포는 신경제거 과민증을 보임
참고문헌
위키백과, “뇌”, https://ko.wikipedia.org/wiki/%EB%87%8C
위키백과, “사이뇌”, https://ko.wikipedia.org/wiki/%EC%82%AC%EC%9D%B4%EB%87%8C
zum, “중추신경”, http://study.zum.com/book/12335
브레인미디어, “뇌의 구조”,http://kr.brainworld.com/BrainEducation/153
KMLE의학검색엔진, “숨뇌”, http://www.kmle.co.kr/ebook_terminology
위키백과, “대뇌변연계,“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B%87%8C%EB%B3%80%EC%97%B0%EA%B3%84
“뇌간,” 브레인월드, http://kr.brainworld.com/BrainScience/8444
“시상하부”, 서울아산병원,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145&partId=B000007
“척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2%99%EC%88%98#상행로
“척수반사,” 대교학습백과,http://dlegongbuwarac.edupia.com/xmlPrint.aspx?did=40016
“7. 척수와 척수신경,” 다음블로그, http://m.blog.daum.net/handlife/12027205?tp_nil_a=1
“자율신경계,” Vitalscan, http://www.vitalscan.kr/dtr_ans_overview_kr.htm
“집중력의 비밀, ‘뇌’, ”, http://braintok.com/concentration/concentration.php
“해부생리학 9판,” 라이프사이언스, David Shier,
“알기쉬운 사람해부학 제2판”, 현문사,
“사람해부학 제7판,” 니드엠케이, 홍해숙 외 옮김
“생리학 제5판,” 정담미디어,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편
“인체생리학 제5판,” 고문사, 김영규 외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4.05.22
  • 저작시기201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17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