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케팅 발표 대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마케팅 발표 대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화마케팅 개념
2. 문화마케팅 중요성
3. 문화마케팅 효과
4. 문화마케팅 유형
5. 문화마케팅 사례와 성공전략

본문내용

기아자동차의 이미지는 그 산업 특성에 맞게 딱딱하고 위압적인 분위기로 알려져 있었다. 현대 기아자동차가 국내에서보다 세계시장에의 진출을 노리는 상황에서 이러한 이미지를 탈피할 필요가 있었다. 국내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해외 봉사활동을 후원하는 \'해피무브\' 활동은 이러한 이미지 제고에 큰 역할을 하였다. 봉사활동을 받는 해외의 소외계층이 현대자동차의 직접적인 소비 대상이 된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러한 활동을 펼침으로 인하여 해당 국가에서 인간중심적이고 따뜻한 이미지의 구축에 성공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도 청년들에게 해외 봉사활동의 기회를 제공함으로 하여 현대자동차가 노리는 글로벌한 이미지를 더욱 확고하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더욱이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청년들을 잠정적인 현대자동차의 고객으로 유치할 수 있게 되었다.
59p) 열 번째는 삼성전자의 유니폼 후원입니다. 삼성전자는 2005년부터 5년간 영국 프리미어 리그의 명문 팀인 첼시 선수들의 유니폼에 ‘삼성 모바일(Samsung Mobile)’이라는 로고를 쓸 수 있는 권한과 경기장 펜스 광고권, 선수단 이미지 사용권 등을 확보했다. 또 백색 가전, 오디오 비주얼 기기, 정보기술(IT) 제품 등의 마케팅을 할 때 첼시의 브랜드를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권한도 얻었다.
60p) 첼시는 프리미어리그 1회, FA컵 3회 우승의 유럽 명문 구단으로, 영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5년간 5,000만 파운드(약 1,000억원)를 지원하며, 이는 첼시 클럽 역사상 최대 규모일 뿐 아니라 삼성전자로서도 올림픽 후원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스폰서십 계약이다.
61p) 삼성전자가 유니폼 후원을 하게 된 첼시는 축구 최고 리그의 명문 팀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전략적으로 추구하는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와 딱 맞아 떨어진다. 노키아나 모토로라 같은 유명 업체와 경쟁하면서 삼성전자들의 제품의 질을 강조하는 전략인 것이다. 이는 삼성이 유럽으로부터 생소한 아시아 그룹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 유럽사회에서도 인정받는 그룹이 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 실제로 삼성이 첼시의 유니폼에 자사의 광고를 실은 뒤 제품 매출과 브랜드 가치 제고를 모두 잡았다고 평가되어진다. 모스크바 올림픽 경기장에서 벌어진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은 세계 각국의 축구팬 10억 명이 지켜봤다. 전·후반, 연장전, 승부차기로 이어진 2시간여 동안, 시청자들은 숨죽이며 \'SAMSUNG\' 로고를 달고 뛰는 선수들의 움직임에 눈을 고정시켰다. 간접 광고 효과만1000억 원에 육박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62p) 이러한 효과는 매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삼성이 첼시를 후원한 지 3년째인 2007년 삼성전자의 유럽 매출은 2004년에 비해 100억 달러가 늘었다. 삼성 휴대폰 매출은 휴대폰 시장이 커지는 속도의 4배에 가까운 판매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후 삼성은 모바일을 지우고 삼성 로고를 유니폼에 새기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
63p) 다음으로 하나은행입니다. 하나은행 서울 을지로 본점 건물은 외벽 전체를 녹색과 검은색의 시트지로 감싸는 기발한 기법(래핑 기법)으로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내게 했다. 2006년 말에는 건물을 26만개의 초록 리본으로 꾸미는 등 ‘은행=예술’이란 독특한 공식을 이끌어 냈다.
64p) 또한 유명 현대미술가 백남준의 작고 2주기를 맞아 그의 작품을 은행에 전시하는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비디오 아트를 하나의 예술 장르로 끌어올려 비디오 예술의 창시자로 불리는 백남준의 작품 3개가 이곳에 놓여있다. 그의 비디오 아트와 하나은행의 로고가 만난 ‘하나 로봇’이 로비에 버티고 서있다. 하나은행 창립 30주년에 맞춰 제작한 것이다. 네온사인으로 돋보이는 하나은행의 머리글자인 ‘ㅎ’을 따라 모니터를 설치했다.
65p) 하나은행의 브랜드 전략은 ‘문화 은행’이다. 은행에 대한 고정 관념, 즉 보수적이고 단조롭다는 인식을 파괴함으로써 고객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홍보성 문구만 도배된 옥상광고에서 탈피해 신인작가의 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거리의 미술관’ 역시 참신한 시도다.
66p) 독특하지만 친밀한 이름답게 ‘남다른 시도’ ‘신선한 변화’ ‘관행을 깨는’ 하나은행의 정신은 여타 은행의 수치적인 경쟁 잣대를 넘어 다양한 상품 개발과 제도로 이어졌다. 획일적인 1층 점포의 관행을 깬 ‘스카이 점포’와 ‘아침을 여는 은행’, ‘파라솔 은행’ 등 한 걸음 더 고객의 곁에 다가갔다. 이처럼 건실하게 자리 잡은 하나은행의 브랜드 파워는 유로머니, 파이낸스 아시아 등 각종 외부기관으로부터도 호평을 이끌어냈다.
67p) 또한 2023년에는 케이팝이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을 활용해 하나플레이리스트 콘서트를 개최했습니다. 아이브, 데이식스, 싸이 등 유명 아티스트가 출연한 이 콘서트는 하나은행에서 주최한 것으로, 하나 타아밍 적금에 가입하면 플로우석 응모권을, 오픈뱅킹 최초 신규, 하나원큐 신규, 하나 합 손님에게는 R석 응모권을, 일정 금액 이상을 환전한 손님에게는 S석 응모권을, 하나은행 앱을 가입한 손님에게는 A석 응모권을 제공하며 좋은 좌석에 응모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하나은행 서비스를 이용해야 했습니다. 이 콘서트를 통해 하나은행 어플 이용자를 늘리고 하나은행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했습니다.
68p) 마지막으로 메가 커피의 메가 콘서트입니다. 메가 콘서트는 올해 처음으로 메카 커피에서 진행하는 국내 콘서트로, 현재 인기가 많은 여러 아이돌 그룹을 섭외하여 공연을 진행합니다. 이 콘서트에 응모하기 위해서는 메가커피 어플을 다운받아야 합니다. 미션음료 3잔을 포함한 제조 음료 10잔을 마시면 메가콘서트 응모권 1장을 제공하며, 응모권을 추첨하여 랜덤으로 공연 티켓 및 좌석을 제공합니다. 또한 가장 많이 응모한 500명에게는 VVIP석과 그라운드석 티켓을 100%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69p)‘문화’는 굉장히 넓은 개념입니다. 그렇기에 문화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마케팅이 가능합니다. 문화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기에, 앞으로 기업들의 다양한 문화 마케팅이 기대됩니다. 이상으로 발표를 마치겠습니다.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5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