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대비 지역사회간호학 [전체 요약 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험대비 지역사회간호학 [전체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브리오패혈증, ⑨발진티푸스, ⑩발진열, ⑪쯔쯔가무시증, ⑫렙토스피라증, ⑬브루셀라증, ⑭탄저, ⑮공수병, 신증후군출혈열(유행성출혈열) 인플루엔자, AIDS, 일주이내 신고
◎ 4군 : ①황열, ②뎅기열, ③마버그열, ④에볼라열, ⑤라싸열, ⑥리슈마니아증,
⑦바베시아증, ⑧아프리카수면증 ⑨크립토스포리디움증, ⑩주혈흡충증, ⑪요오스, ⑫핀타, ⑬두창, ⑭보툴리누스중독증, ⑮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증, 야토병, 큐열, 신종전염병증후군(급성출혈증상, 급성호흡기증상, 급성설사증상, 급성황달증상, 급성신경증상 등)
2.3.2 표본감시전염병관리
◎ 방역조치를 취하기 위해 개별 환례 확인이 불필요하거나 조기 인지가 중요한
전염병에 대하여 일부 의료기관을 지정하여 표본감시전염병의 발생상황을 감시하는 것
2.4 예방접종 관리
2.4.1 백신 관리
◎ 생백신 : 결핵, 소아마비,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수두, 장티푸스, 장시간
지속, 냉동보관
◎ 사백신 : 냉장보관, 추가 접종 칠요
◎ 백신 운송 시 48시간이 넘지 않아야함.
◎ 보관온도, 포장상태, 파손여부, 유효기관 확인 보관
◎ 가정용 냉장고에 보관해도 무관
◎ 희석액 냉동하여서는 안 됨, 실온이나 냉장 보관
◎ 재사용은 안 되나 가능 한 것 : 경구용 폴리오, DPT, TT, DT, B형 간염,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는 4주 이내 재사용 가능
○ 바이알의 격막이 물에 담겨서는 안 됨.
○ 무균적 실시
○ 처음 개봉한 날짜와 시간 기록
○ 액화 후 6시간 이후에는 사용 안 해도 폐기
2.4.2 예방접종 금기 및 주의사항
◎ 영구적 금기 : 심한 알레르기, 백일해 백신 접종 후 7일 이내 원인 알 수 없는
뇌증 발생
◎ 생백신 : 심한 질병, 최근 수혈 시 주의 접종, 임신 면역 결핍 시 금기
◎ 사백신 : 심한 질병 시 주의 접종, 임신 면역 결핍 최근 수혈 시 적응증이면
접종
◎ 접종 전 주의 사항
○ 소아의 건강 상태 잘 아는 보호자와 동행
○ 집에서 체온 측정
○ 모자보건수첩, 예방접종수첩 지참
○ 전날 목욕 시키고 청결한 의복
○ 예방하지 않는 소아 동반 금지
◎ 접종 후 주의 사항
○ 20~30분간 접종기관에서 관찰
○ 귀가 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
○ 접종 당일과 다음날 과격한 운동 삼가
○ 접종 부위 청결
○ 접종 후 최소 3일관 특별한 관심
○ 고열, 경련 시 곧 의사에게 진찰
○ 아기는 반드시 바로 눕혀 재움
2.4.3 예방접종 방법
◎ 폴리오 : 생균은 경구 사균은 주사
2.5.1 결핵관리
◎ 1960년대 국가사업으로 채택
◎ 예방접종 : 생후 1개월 미만 신생아, 미취학 아동인 저 연령층, 보건소에서 무료
◎ 강력한 단기화학요법에 의한 6개월 치료
◎ 선진국형 결핵관리시스템 : 집중 홍보, 계몽사업 강화, 결핵퇴치사업에 자친 참여
2.5.2 일본뇌염
◎ 인수공동 감염, 빨간집모기
◎ 8~9월에 유행
◎ 면역수준 낮은 소아, 노인
◎ 증상 : 고열, 의식장애
◎ 혈청에서 Ig G 항체 증가
◎ 접종시기 : 생후 12~24개월 기간 중 1~2주 간격으로 2회 접종 12개월 후 3차
접종, 추가 6세와 12세에 각 1회
2.5.3 장티푸스 관리
◎ Salmonella Typhi 균 감염
◎ 급성 전신성 열성 : 고열 ,복통, 무기력증, 두통
◎ 오염된 물, 음식으로 전파
◎ 예방 : 개인 위생과 철저한 환경위생
2.5.4 수두 관리
◎ 전염성 매우 강함. 대상포진 바이러스 원인
◎ 비말, 공기 매체, 겨울부터 초봄에 유행
◎ 예방 : 환자와 접촉자 관리, 가피가 될 때까지 수두환자 격리, 의료진 손 씻기
◎ 접종 : 과거력상 수두를 앓은 적 없는 사람
2.5.5 HIV/AIDS관리
◎ 남자, 동성애자 많음
◎ 예방 장애 요인 : 올바른 지식 결여, 부정적 인식, 개인 책임의식 부족
◎ 성병 건강진단 대상자는 6개월 마다 검사
◎ 모둔 혈액제제 HIV 항체검사 의무화
◎ 감염자 보건소 관리 보건소장이 인권 보장, 비밀유지, 위행접객업소 취업
금지, 보건교육과 상담 질병관리본부에서 6개월에 한번씩 정기적 면역기능 검사 실시
2.5.6 성병관리
◎ 개인의 건강과 타인에게 전파 미연 방지
◎ 매독 검사 : 유흥 접객원 안마시술소, 기타 성병 매개 우려자는 3개월에 한번,
다방종사자는 6개월에 한번
◎ 그 밖의 성병 검사 : 매독보다 기간 짧게
3. 만성 질환의 관리
3.1 특성
① 3개월 이상 오랜 기간 경과
② 호전과 악호 반복하면서 점점 나빠짐.
③ 연령증가와 비례하여 유병률 증가
④ 수 개씩의 위험요인, 원인은 명확하지 않음
④ 생활습관병, 성인병, 인조병, 비감염성 질환
3.2 발생기전
◎ 여러 가지 위험요인이 복합적
3.3 만성 질환의 사망 및 이환 수준
3.3.1 사망수준
◎ 암이 1위, 자살이 크게 증가
3.3.2 이환수준
◎ 고혈압, 당뇨는 남성, 고지혈증은 여성이 많음
3.4 만성 질환의 관리
3.4.1 예방 수준별 지역사회 관리사업
1) 1차 예방
◎ 직접적인 밝혀지지 않아 어려움.
◎ 금연, 적정 음주, 체중조절
2) 2차 예방
◎ 조기 발견, 조기 치료
◎ 만성은 2차 예방에 치중
◎ 집단 검진 프로그램
3) 3차 예방
◎ 합병증 예방, 불능과 조기사망 감소
사업내용
사업대상
1차 예방
지역사회 캠페인
전 주민
교육 및 홍보활동
고위험군
2차 예방
조기 발견사업
고위험군
등록관리, 의료기관 연계
환자
3차 예방
합병증 조기검진, 의료기관 연계
환자
3.4.2 집단 검진
◎ 지역사회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 조기에 치료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방식, 2차 예방의 대표적 방법
◎ screening : 증상이 없는 질병을 가지고 있을 만한 사람을 신속하고 분명하게 구별
하기 위해 조기에 질병을 알아내는 것
◎ 집단검사 : 지역사회 인구집단을 대상
1) 목적
① 유병률과 질병상태 파악, 질병발생에 관계되는 요소 규명, 전체의 규모나 발생
양상 등 많은 정보 얻음
② 질병의 조기 상태 파악, 질병의 자연사나 발생 기전을 이해
③ 조기 진단을 통해 조기 치료
④ 주민들에게 지식과 예방의 중요성 인식, 정기적인 건강진단을 받도록
  • 가격6,000
  • 페이지수99페이지
  • 등록일2024.06.19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45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