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목차
1. 내용요약
1주 환경과 지구&대기오염
2주 산성비
3주 성층권의 오존층
4주 지구온난화(온실효과)
5주차 수질오염1
6주차 수질오염2
7주 수질오염 &토양오염
8주 농약오염
9주 중금속
10주 중금속2
11주 환경과 에너지
12주 재생에너지
13주 환경호르몬
14주 환경호르몬과 웰빙다이어트
2. 기말고사 족보문제
1주 환경과 지구&대기오염
2주 산성비
3주 성층권의 오존층
4주 지구온난화(온실효과)
5주차 수질오염1
6주차 수질오염2
7주 수질오염 &토양오염
8주 농약오염
9주 중금속
10주 중금속2
11주 환경과 에너지
12주 재생에너지
13주 환경호르몬
14주 환경호르몬과 웰빙다이어트
2. 기말고사 족보문제
본문내용
오폐수 처리시설 설치
폐수 수탁 처리업의 지정
-축산폐수 관리 대책
축산 폐수 정화 시설의 설치
축산 폐수 공동 처리 시설의 설치
산이 축산 폐수 정화조의 설치 : 영세 축산 농가.
-분뇨처리 관리 대책
-특정호소관리 대책 추진
-수계별 권역 관리 대책의 추진(자치단체의 협조)
-해양 오염 관리 대책
연안오염 특별 관리 해역의 지정, 관리
유류오염 사고 대책의 강화
-부영양화 방지 대책
발생원 대책
사후대책
-하천오염: 생활하수 60%, 공장폐수 39%
-생활하수 : 부엌 36%, 화장실 30%, 목욕탕 물 23%, 세탁물 11%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사항
1.순수 비누, 천역 치약 사용하기
-화학 첨가물이 포함된 비누는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더러움 제거 및 피부 보호층인 지방층까지 제거 가능성 있음
-순수 비누 및 미지근한 물을 사용 하여 세척
-치약의 성분 : 이산화티탄, 에틸알코올, 알데히드, 인공햐료 등.
-이산화티탄은 치아 표백제로 수질오염 유발.
-죽염 이용 권장.
2.생활폐수의 양 줄이기
-쌀뜨물 2리터를 하천으로 흘려 보냈을대 이를 물고기가 살수 있는 BOD 5ppm 이사로 희석시키는데 깨끗한 물 1,200리터(쌀뜨물 양의 600배)가 필요.=> 대책은?
-식용유 500cc를 하수구에 버릴 때, 물고기가 살 수 있게 하려면 300리터 욕조 339개분이 필요 => 폐지에 흡수시켜 버린다.
-소주 20cc를 하수에 버리면 이 물을 복구시키는데 욕조물 40.5개가 필요
-라면 국물(끓이는데 필요한 물은 약 550cc)200cc(종이컵한개분량)는 욕조물 3.3개분이 필요 =>대책은?
*수질오염의 지표
1.DO :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
-단위 : ppm(mg/L)
-산소의 용해도 :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증가 (헨리의 법칙)
-오염 물질 많을수록, 미생물 호흡작용이 활발할수록 DO값은 감소.
-호기성 세균은 DO를 소비하고, 조류는 광합성 작용을 함으로써 DO를 공급.
2.BOD
-유기물이 호기성 세균에 의해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으로, 유기물이 많으면 많은 산소가 소비되므로 BOD는 높아진다.(BOD와 유기물의 상대량 일치)
-BOD는 5일간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측정
BOD=DO(현재)-DO(5일후)
-BOD가 너무 높으면 용존 산소의 소비가 너무 낳아 혐기성 부패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3.COD
-물속의 유기물이 산화제에 의해 산화될 때 필요한 산소량으로 오염이 될수록 COD값은 높아진다.
과망간산 칼륨법 및 중크롬 산칼륨법
-산화제는 미생물이 산화시킬 수 없는 물질도 산화시키므로 COD값은 BOD값보다 일반적으로 높다.
Ex)셀룰로오스는 미생물에 의해서는 분해가 잘 되지 않지만 산화제에 의해서는 분해가 잘 된다.
4. 수소이온농도 pH
pH는 수소이온농도:산성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연수는 중성(약 pH7)에 가깝다.
-석회암층을 통과한 지하수는 탄산이온을 많이 함유하여 약 알칼리성이다.
-어류의 생존에 알맞은 pH는 6에서 8사이dl이다.
*BOD와 COD의 관계
-COD는 BOD보다 측정이 간편하고 빠르고 또 재현성이 높은 방법이다.
-유독물질을 함유하는 공장 폐수는 BOD에는 변화를 주지만, COD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유독 물질이 많아지면 미생물의 산소 소비가 많아지기 때문. 따라서 공장 폣와 같이 생물학적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BOD 측정은 어려우나 COD측정은 가능)
*깨끗한 물이란?
-DO높다. BOD낮다. COD낮다. pH중성정도의 물
*수질오염의 척도
6주차 수질오염
*THM
-메탄에 3개의 할로겐 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
예)CHCL3, CHBRCL2,CHBR2CL,CHBR3등
-염소 소독 처리시 유리 염소화 휴민 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음.
-휴민 물질이란 자연수 중에 존재하며 화합물의 구조는 저확히 알려져 있지 않음.
*잔류염소:염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제거물질(유기물질이나 환원성물질)에 접촉하면 산화력이 약화되므로 잔류염소가 필요. 잔류염소량은 수도전에서 0.2mg/L가 필요(송수, 배수, 급수 및 사용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는 미생물의 살균작용에 유효) 비상시에는 0.4mg/L이 필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사항
-락스대신 소다 사용
-기타 환경 상식
금속과 구리제품 가구청소:레몬즙(표백작용)
목재가구 청소:올리브유(시판 가구 청소용은 발암물질인 페놀, 니트로벤젠등이 함유됨)
니스칠이 되어있는 목재는 올리브유에 식초와 물을 섞어 사용
유리청소:식초사용
*경수와 연수
-경수 : 세수 또는 세탁을 할 때 물의 종류에 라 비누의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비누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또 쉽게 비누가 지워져 백색의 침ㅁ전이 많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물로는 세탁이 어렵다 하여 hard water, 경수라 하고 이의 반대의 물을 연수라 한다.
2.영구 경수의 연수화
-화학적 처리로 가능
-이온교환법:정수기 등
7주 수질오염&토양오염
수질오염
*비누와 합성세제
1.오물의 종류
-먼지 : 무기입자
-기름->물에 불용
-얼룩과 착색 물질->물에 불용
기름과 얼룩과 착색물질은 계면활성제나 세제 -> 유화-> 세탁가능
-계면 활성제는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저하시키므로서 오물제거를 가능하게 함.
-구조적으로 비극성(소수성, 친유성)과 극성 그룹(친ㄴ수성)이 함께 포함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름과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
2.역할 : 비누와 합성세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므로서 발포성을 증가시켜 계면을 활성화하게 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3.성분 : 비누는 동물성유지를 가수분해한 지방산나트륨염으로 사용 후, 하천으로 흘러 들어갈 경우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용이. 합성세제는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합성되는 세제로, 미생물 분해가 쉽지 않음.
*적조
1.정의 : 영양염이 풍부해진 부영양화를 기반으로 플랑크톤이 이상증식하여 해수의 색이 적색, 갈색, 녹색으로 변색되는 현상
2.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
-적조 : 편모조류, 규조류, 우글레나류, 섬모충류
-녹조 : 남조류(담수)
-갈조 : 편모조류
3.적조발생에 관한 기록
-구약성서의 출애굽기
-노
폐수 수탁 처리업의 지정
-축산폐수 관리 대책
축산 폐수 정화 시설의 설치
축산 폐수 공동 처리 시설의 설치
산이 축산 폐수 정화조의 설치 : 영세 축산 농가.
-분뇨처리 관리 대책
-특정호소관리 대책 추진
-수계별 권역 관리 대책의 추진(자치단체의 협조)
-해양 오염 관리 대책
연안오염 특별 관리 해역의 지정, 관리
유류오염 사고 대책의 강화
-부영양화 방지 대책
발생원 대책
사후대책
-하천오염: 생활하수 60%, 공장폐수 39%
-생활하수 : 부엌 36%, 화장실 30%, 목욕탕 물 23%, 세탁물 11%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사항
1.순수 비누, 천역 치약 사용하기
-화학 첨가물이 포함된 비누는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더러움 제거 및 피부 보호층인 지방층까지 제거 가능성 있음
-순수 비누 및 미지근한 물을 사용 하여 세척
-치약의 성분 : 이산화티탄, 에틸알코올, 알데히드, 인공햐료 등.
-이산화티탄은 치아 표백제로 수질오염 유발.
-죽염 이용 권장.
2.생활폐수의 양 줄이기
-쌀뜨물 2리터를 하천으로 흘려 보냈을대 이를 물고기가 살수 있는 BOD 5ppm 이사로 희석시키는데 깨끗한 물 1,200리터(쌀뜨물 양의 600배)가 필요.=> 대책은?
-식용유 500cc를 하수구에 버릴 때, 물고기가 살 수 있게 하려면 300리터 욕조 339개분이 필요 => 폐지에 흡수시켜 버린다.
-소주 20cc를 하수에 버리면 이 물을 복구시키는데 욕조물 40.5개가 필요
-라면 국물(끓이는데 필요한 물은 약 550cc)200cc(종이컵한개분량)는 욕조물 3.3개분이 필요 =>대책은?
*수질오염의 지표
1.DO :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
-단위 : ppm(mg/L)
-산소의 용해도 : 온도가 낮을수록, 압력이 높을수록 증가 (헨리의 법칙)
-오염 물질 많을수록, 미생물 호흡작용이 활발할수록 DO값은 감소.
-호기성 세균은 DO를 소비하고, 조류는 광합성 작용을 함으로써 DO를 공급.
2.BOD
-유기물이 호기성 세균에 의해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양으로, 유기물이 많으면 많은 산소가 소비되므로 BOD는 높아진다.(BOD와 유기물의 상대량 일치)
-BOD는 5일간 소비되는 산소량으로 측정
BOD=DO(현재)-DO(5일후)
-BOD가 너무 높으면 용존 산소의 소비가 너무 낳아 혐기성 부패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3.COD
-물속의 유기물이 산화제에 의해 산화될 때 필요한 산소량으로 오염이 될수록 COD값은 높아진다.
과망간산 칼륨법 및 중크롬 산칼륨법
-산화제는 미생물이 산화시킬 수 없는 물질도 산화시키므로 COD값은 BOD값보다 일반적으로 높다.
Ex)셀룰로오스는 미생물에 의해서는 분해가 잘 되지 않지만 산화제에 의해서는 분해가 잘 된다.
4. 수소이온농도 pH
pH는 수소이온농도:산성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자연수는 중성(약 pH7)에 가깝다.
-석회암층을 통과한 지하수는 탄산이온을 많이 함유하여 약 알칼리성이다.
-어류의 생존에 알맞은 pH는 6에서 8사이dl이다.
*BOD와 COD의 관계
-COD는 BOD보다 측정이 간편하고 빠르고 또 재현성이 높은 방법이다.
-유독물질을 함유하는 공장 폐수는 BOD에는 변화를 주지만, COD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유독 물질이 많아지면 미생물의 산소 소비가 많아지기 때문. 따라서 공장 폣와 같이 생물학적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경우에는 BOD 측정은 어려우나 COD측정은 가능)
*깨끗한 물이란?
-DO높다. BOD낮다. COD낮다. pH중성정도의 물
*수질오염의 척도
6주차 수질오염
*THM
-메탄에 3개의 할로겐 원소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
예)CHCL3, CHBRCL2,CHBR2CL,CHBR3등
-염소 소독 처리시 유리 염소화 휴민 물질과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음.
-휴민 물질이란 자연수 중에 존재하며 화합물의 구조는 저확히 알려져 있지 않음.
*잔류염소:염소는 강한 산화력이 있어 제거물질(유기물질이나 환원성물질)에 접촉하면 산화력이 약화되므로 잔류염소가 필요. 잔류염소량은 수도전에서 0.2mg/L가 필요(송수, 배수, 급수 및 사용과정에서 오염될 수 있는 미생물의 살균작용에 유효) 비상시에는 0.4mg/L이 필요.
*우리가 할 수 있는 사항
-락스대신 소다 사용
-기타 환경 상식
금속과 구리제품 가구청소:레몬즙(표백작용)
목재가구 청소:올리브유(시판 가구 청소용은 발암물질인 페놀, 니트로벤젠등이 함유됨)
니스칠이 되어있는 목재는 올리브유에 식초와 물을 섞어 사용
유리청소:식초사용
*경수와 연수
-경수 : 세수 또는 세탁을 할 때 물의 종류에 라 비누의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비누의 사용량이 많아지고 또 쉽게 비누가 지워져 백색의 침ㅁ전이 많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물로는 세탁이 어렵다 하여 hard water, 경수라 하고 이의 반대의 물을 연수라 한다.
2.영구 경수의 연수화
-화학적 처리로 가능
-이온교환법:정수기 등
7주 수질오염&토양오염
수질오염
*비누와 합성세제
1.오물의 종류
-먼지 : 무기입자
-기름->물에 불용
-얼룩과 착색 물질->물에 불용
기름과 얼룩과 착색물질은 계면활성제나 세제 -> 유화-> 세탁가능
-계면 활성제는 계면의 자유에너지를 저하시키므로서 오물제거를 가능하게 함.
-구조적으로 비극성(소수성, 친유성)과 극성 그룹(친ㄴ수성)이 함께 포함된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름과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
2.역할 : 비누와 합성세제는 물의 표면 장력을 낮추므로서 발포성을 증가시켜 계면을 활성화하게 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한다.
3.성분 : 비누는 동물성유지를 가수분해한 지방산나트륨염으로 사용 후, 하천으로 흘러 들어갈 경우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용이. 합성세제는 석유를 원료로 사용하여 합성되는 세제로, 미생물 분해가 쉽지 않음.
*적조
1.정의 : 영양염이 풍부해진 부영양화를 기반으로 플랑크톤이 이상증식하여 해수의 색이 적색, 갈색, 녹색으로 변색되는 현상
2. 적조를 일으키는 생물
-적조 : 편모조류, 규조류, 우글레나류, 섬모충류
-녹조 : 남조류(담수)
-갈조 : 편모조류
3.적조발생에 관한 기록
-구약성서의 출애굽기
-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