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선발관리 중 모집관리 실행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하고 시사점을 기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사선발관리 중 모집관리 실행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하고 시사점을 기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사선발이란

2. 인사선발관리 중 모집관리 실행 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Matrix)를 작성한 다음 선발진행 프로세스를 개발한다. 셋째 평가도구의 개발단계로 설계에 따른 도구를 개발하거나 또는 목적에 맞는 도구를 선정한다. 넷째, 선발기준의 설정단계로 점수산출방법을 선정하고 Norm을 개발한 다음 탈락(Cut-off) 기준을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타당성 검증단계로 개발된 도구가 정확하게 역량을 측정하며 업무 성과를 예측하는지 평가하는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인사선발관리 중 모집관리 실행 사례를 조사하여 제시하고 시사점을 기술해 보았다. 선발시스템을 설계하는 경우 그 원칙은 다양하지만, 과학적 선발시스템의 핵심은 선발의 타당성과 공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그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적 프로세스의 설정으로 선발과정은 100m 허들을 넘듯이 한 단계씩 진행되어야 하며, 복수의 선발단계를 설정하면 된다. 둘째, 독립적 의사결정으로 각 선발단계별 의사결정은 다른 단계의 의사결정과 독립적이어야 한다. 이는 합격자 선정기준을 채용 전에 결정하여 적용하면 된다. 셋째, 증분적 타당도로 각 선발방식은 낮은 타당도 방식에서 높은 타당도 방식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서로 다른 영역을 측정해야 타당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선발 프로세스 설계 시 반영해야 한다. 넷째, 적절한 선발율 유지로 각 선발단계에서의 통과율은 선발단계에서의 위치, 비용, 시간, 응시자의 비율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으로 이 역시 증분적 타당도와 같이 선발 프로세스 설계 시 반영해야 한다. 다섯째, 선발영역의 독립성으로 선발 과정에서 평가방법들은 상호 구분되는 영역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며(예언변인 간 중복성에 대한 것으로 선발도구간 평가요소의 중복성을 낮추는 것이 전체 타당도를 높일 수 있음), 마지막 이원적 접근으로 선발의 의사결정은 응시자에 대해 긍정적 접근(Positive Approach)과 부정적 접근(Negative Approach)를 함께 적용해야 한다. 선발영역의 독립성과 이원적 접근은 선발도구를 선정, 개발하면서 반영할 수 있다.
참고문헌
이병철(2011), 『채용의 교과서』, 서울: 북메이드.
김경해(2014), “인적자원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경영논총』.
김영조(2014), “인사선발에 있어서 유인효과와 타협효과에 관한 실험연구”,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박두진·최유경·송병준(2006), 『핵심인재가 기업의 운명을 결정한다.』, 서울: 원앤원북스.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6.21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48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