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현병 또는 양극성장애 대상자의 치료적 의사소통 학습계획안
1) 환자정보
2) 시나리오 개요
3) 시나리오 대본
2. 성찰일지
3. 참고문헌
1) 환자정보
2) 시나리오 개요
3) 시나리오 대본
2. 성찰일지
3.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00님 점심 맛있게 드셨어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오늘 점심은 고기가 맛있었어요.
학생간호사 : 맛있는 고기를 먹어서 다행이네요
-내용반영(치)
대상자 : 그러게요
학생간호사 : 점심 드시고 약도 챙겨서 드셨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방금 먹고 왔어요.
학생간호사 : 꾸준히 드시고 계셔서 다행이네요. 아까 복도에서 어떤 분이랑 대화하는 것 같은 데 누구인가요?
-내용반영(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아 제 오빠에요... 너는 맞아야 된다고 하면서 저를 쫓아오더라고요 선생님 오빠가 저쪽에서 오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좋아요 선생님 무서워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어디서 오빠가 오고 있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저쪽 문 쪽에서요 (책상 아래로 내려가려하며)저 숨어야 되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제 눈에는 오빠분이 보이지 않는 데요?
-현실감 제공(치)
대상자: 네? 아니 저기 있잖아요!! 저한테 막 소리 지르면서 와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저한테는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는데요?
-현실감 제공(치)
대상자: 아 진짜요? 뭐지??? 저한테만 들려요??
학생간호사: 네 김00님에게는 실제로 오빠가 보이고 소리를 치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고, 어떤 것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병동 내에는 외부인이 들어올 수 없습니다. (눈을 맞추며)여기는 안전해요 김00님
-현실감 제공(치), 안전한 공간 제공
대상자: 그러면 방금 제가 본거는 뭐에요??
학생간호사: 김00님이 오빠를 보는 것은 질병의 한 부분입니다. 집에서 약을 잠깐 안 드셨다고 하셨는데 그래서 오빠가 보이기 시작한 것 같아요.
-정보제공(치)
대상자: 그런가요? 생각해보니까 그런 것 같기도 하고....
학생간호사: 네 김00님 저희 다른 활동도 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색칠수업도 들어볼까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그러면 더 좋아지는 건가요?
학생간호사: 네. 조금 뒤에 있으니까 그때 저랑 같이하는 건 어떠세요?
-협력제의(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좋아요.
학생간호사: 그럼 이따가 뵐게요.
대상자: 네 선생님
-약복용을 잘하고 있는 지 점검한다.
-망상에 대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한다.
-환청과 망상에 대해 현실감을 제공한다.
-증상으로 인한 감정에 공감하고 불안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안전한 공간 제공)
-약복용을 꾸준히 하지 않아 환청과 망상이 나타났으므로 약물복용에 대해 자주 점검한다.
-환청에 대해서는 간호사는 어떤 소리나 이야기도 듣지 못했고 실제로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음을 알려 현실감을 제공한다.
-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하지 않고 대상자의 생각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고 환자 본인 외에는 누구도 그러한 생각을 믿지 않는 다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불안을 완화하도록 하고, 증상에 대한 감정에 공감한다.
#module 3. 치료적 인간관계 종결단계(병실)
장소
내용
수행교육지침
이론적 근거
#4
(병실)
학생간호사 : 김OO님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분이 어떠신가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름 괜찮네요.
학생간호사 : 그러신가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학생간호사 : 요즘에 오빠 분은 안 찾아오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이상하게 오빠가 요즘 며칠 째 안 찾아와서 무섭지도 않고 덕분에 편안하게 지내고 있어요.
학생간호사 : 오빠가 찾아올 때는 많이 무서웠어요?
-감정반영(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정말정말 무서워요. 그런데 이제는 안와서 정말 좋아요!
학생간호사 : 오빠가 많이 무서우셨군요. 그래도 다행이네요. 앞으로도 약을 잘 먹고 치료도 잘 받고 있으면 오빠가 찾아오지 않을 거에요.
-감정반영(치), 정보제공(치)
대상자 : 정말요? 그럼 더 약을 잘 챙겨먹고 치료도 잘 받을래요!
학생간호사: 네 그러면 이따가 산책하러 갈까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학생간호사: 이따가 봬요
-대상자에게 병식이 생기도록 하고 약물 복용을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약물은 정신분열적 증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주고, 증상의 재발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따라서 꾸준한 약문복용의 중요성을 대상자에게 알린다.
-활동요법으로 환청과 망상에서 관심을 돌릴 수 있도록 돕고, 현실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
성찰일지
성찰질문
학습자 성찰내용
기술단계
이 상황이 어떤 상황인가?
22세 여자 김00님은 고등학교 2학년 때 따돌림으로 정신치료를 받아왔으나 최근 2주전부터 모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도록 하여 환청과 망상이 나타났다.
오빠가 자신을 찾아와 때리려고 한다고 말하며 불안을 호소한다.
이 상황에서 어떤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는가?
환청과 망상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과 대상자와의 면담을 할 때 치료적의사소통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상황에서 필요한 중재는 무엇인가?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하기 않고 대상자의 증상에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였다. 또한, 현실감을 제공하는 것, 약물복용을 꾸준히 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석단계
실습 시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
가상시나리오라는 점에서 대상자의 증상에 맞게 어떤 중재를 시행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적용단계
실제 임상에서 경험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번에 배운 치료적의사소통기법을 통해 대상자와 치료적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치료를 도울 것입니다.
성찰단계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새롭게 학습하게 된 (혹은 능숙해진)술기가 있나요?
MSE와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환각과 망상에 대한 간호중재를 배운 것 같습니다.
시나리오 작업 후 느낀점은?
가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거구나 느꼈습니다... 실습을 나가서 대상자를 만나며 대화하는 것을 상상하며, 대상자의 반응까지 생각해야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참고문헌
김희숙 외 공저.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개론. 2024(학지사메디컬)
김희숙 외 공저.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각론. 2024(학지사메디컬)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오늘 점심은 고기가 맛있었어요.
학생간호사 : 맛있는 고기를 먹어서 다행이네요
-내용반영(치)
대상자 : 그러게요
학생간호사 : 점심 드시고 약도 챙겨서 드셨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방금 먹고 왔어요.
학생간호사 : 꾸준히 드시고 계셔서 다행이네요. 아까 복도에서 어떤 분이랑 대화하는 것 같은 데 누구인가요?
-내용반영(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아 제 오빠에요... 너는 맞아야 된다고 하면서 저를 쫓아오더라고요 선생님 오빠가 저쪽에서 오고 있어요 어떻게 하면 좋아요 선생님 무서워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어디서 오빠가 오고 있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저쪽 문 쪽에서요 (책상 아래로 내려가려하며)저 숨어야 되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제 눈에는 오빠분이 보이지 않는 데요?
-현실감 제공(치)
대상자: 네? 아니 저기 있잖아요!! 저한테 막 소리 지르면서 와요!!!
학생간호사: 김00님 저한테는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는데요?
-현실감 제공(치)
대상자: 아 진짜요? 뭐지??? 저한테만 들려요??
학생간호사: 네 김00님에게는 실제로 오빠가 보이고 소리를 치신다고 하셨는데 저는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고, 어떤 것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병동 내에는 외부인이 들어올 수 없습니다. (눈을 맞추며)여기는 안전해요 김00님
-현실감 제공(치), 안전한 공간 제공
대상자: 그러면 방금 제가 본거는 뭐에요??
학생간호사: 김00님이 오빠를 보는 것은 질병의 한 부분입니다. 집에서 약을 잠깐 안 드셨다고 하셨는데 그래서 오빠가 보이기 시작한 것 같아요.
-정보제공(치)
대상자: 그런가요? 생각해보니까 그런 것 같기도 하고....
학생간호사: 네 김00님 저희 다른 활동도 하면 좋을 것 같은데요. 색칠수업도 들어볼까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그러면 더 좋아지는 건가요?
학생간호사: 네. 조금 뒤에 있으니까 그때 저랑 같이하는 건 어떠세요?
-협력제의(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좋아요.
학생간호사: 그럼 이따가 뵐게요.
대상자: 네 선생님
-약복용을 잘하고 있는 지 점검한다.
-망상에 대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한다.
-환청과 망상에 대해 현실감을 제공한다.
-증상으로 인한 감정에 공감하고 불안을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안전한 공간 제공)
-약복용을 꾸준히 하지 않아 환청과 망상이 나타났으므로 약물복용에 대해 자주 점검한다.
-환청에 대해서는 간호사는 어떤 소리나 이야기도 듣지 못했고 실제로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았음을 알려 현실감을 제공한다.
-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하지 않고 대상자의 생각이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고 환자 본인 외에는 누구도 그러한 생각을 믿지 않는 다는 것 같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불안을 완화하도록 하고, 증상에 대한 감정에 공감한다.
#module 3. 치료적 인간관계 종결단계(병실)
장소
내용
수행교육지침
이론적 근거
#4
(병실)
학생간호사 : 김OO님 안녕하세요! 오늘은 기분이 어떠신가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안녕하세요. 오늘은 나름 괜찮네요.
학생간호사 : 그러신가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학생간호사 : 요즘에 오빠 분은 안 찾아오나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이상하게 오빠가 요즘 며칠 째 안 찾아와서 무섭지도 않고 덕분에 편안하게 지내고 있어요.
학생간호사 : 오빠가 찾아올 때는 많이 무서웠어요?
-감정반영(치),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 네. 정말정말 무서워요. 그런데 이제는 안와서 정말 좋아요!
학생간호사 : 오빠가 많이 무서우셨군요. 그래도 다행이네요. 앞으로도 약을 잘 먹고 치료도 잘 받고 있으면 오빠가 찾아오지 않을 거에요.
-감정반영(치), 정보제공(치)
대상자 : 정말요? 그럼 더 약을 잘 챙겨먹고 치료도 잘 받을래요!
학생간호사: 네 그러면 이따가 산책하러 갈까요?
-개방적 질문(치)
대상자: 네!!!
학생간호사: 이따가 봬요
-대상자에게 병식이 생기도록 하고 약물 복용을 꾸준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약물은 정신분열적 증상을 현저하게 감소시켜주고, 증상의 재발을 효과적으로 막는다. 따라서 꾸준한 약문복용의 중요성을 대상자에게 알린다.
-활동요법으로 환청과 망상에서 관심을 돌릴 수 있도록 돕고, 현실을 지각할 수 있도록 한다.
성찰일지
성찰질문
학습자 성찰내용
기술단계
이 상황이 어떤 상황인가?
22세 여자 김00님은 고등학교 2학년 때 따돌림으로 정신치료를 받아왔으나 최근 2주전부터 모가 약물을 복용하지 않도록 하여 환청과 망상이 나타났다.
오빠가 자신을 찾아와 때리려고 한다고 말하며 불안을 호소한다.
이 상황에서 어떤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는가?
환청과 망상에 대한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는 것과 대상자와의 면담을 할 때 치료적의사소통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상황에서 필요한 중재는 무엇인가?
망상에 대한 사실여부에 대해 논쟁하기 않고 대상자의 증상에 의문스럽다는 가벼운 표현을 하였다. 또한, 현실감을 제공하는 것, 약물복용을 꾸준히 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분석단계
실습 시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
가상시나리오라는 점에서 대상자의 증상에 맞게 어떤 중재를 시행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적용단계
실제 임상에서 경험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번에 배운 치료적의사소통기법을 통해 대상자와 치료적 인간관계를 형성하여 치료를 도울 것입니다.
성찰단계
시나리오 작업을 통해 새롭게 학습하게 된 (혹은 능숙해진)술기가 있나요?
MSE와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환각과 망상에 대한 간호중재를 배운 것 같습니다.
시나리오 작업 후 느낀점은?
가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이 굉장히 어려운 거구나 느꼈습니다... 실습을 나가서 대상자를 만나며 대화하는 것을 상상하며, 대상자의 반응까지 생각해야하는 것이 힘들었습니다.
참고문헌
김희숙 외 공저.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개론. 2024(학지사메디컬)
김희숙 외 공저.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제5판 각론. 2024(학지사메디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