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직업재활 서비스의 과정
2. 직업재활 시설의 종류와 현황
1) 지역별 현황
2) 유형별 현황
3) 이용 장애인 현황
4) 근로 장애인 현황
5) 기관유형별 수행기관 현황
6) 사업별 지원자 수
7) 참여자 수
3. 전망
III. 결론
IV. 참고문헌 및 자료
II. 본론
1. 직업재활 서비스의 과정
2. 직업재활 시설의 종류와 현황
1) 지역별 현황
2) 유형별 현황
3) 이용 장애인 현황
4) 근로 장애인 현황
5) 기관유형별 수행기관 현황
6) 사업별 지원자 수
7) 참여자 수
3. 전망
III. 결론
IV. 참고문헌 및 자료
본문내용
일자리는 29세 이하의 청년층과 65세 이상의 고령층의 참여가 많았다. 장애유형은 지체장애인이 8,754명으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유형별로 살펴보면 특화형 일자리를 제외한 일반형과 복지 일자리에서 지체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별 전체 참여인원은 심한 장애가 15,499명으로 심하지 않은 장애보다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구분
계
일반형 일자리
복지 일자리
특화형 일자리
2021년 배정인원(명)
24,896
9,465
13,644
1,787
참여인원(명)
24,773
9,233
13,724
1,816
참여율(%)
99.5%
97.5%
100.6%
101.6%
성별
남
13,796
4,981
7,698
1,117
여
10,977
4,252
6,026
699
연령별
29세이하
4,994
1,702
2,639
653
39세이하
2,756
1,303
1,215
238
49세이하
2,959
1,678
1,129
152
59세이하
3,805
2,169
1,430
206
65세미만
2,552
1,247
1,106
199
65세이상
7,707
1,134
6,205
368
장애유형
지체
8,754
4,013
4,741
-
뇌병변
2,217
1,035
1,182
-
시각
2,652
663
1,048
941
청각
1,977
674
1,303
-
언어
193
82
111
-
안면
24
19
5
-
신장
572
316
256
-
심장
65
44
21
-
호흡기
79
37
42
-
간
62
45
17
-
장루.요루
82
32
50
-
뇌전증
124
71
53
-
지적
6,115
1,601
3,689
825
자폐성
523
152
321
50
정신
1,304
449
855
-
기타
(특수교육대상)
30
-
30
-
장애정도
심한장애
15,499
5,442
8,340
1,717
심하지않은장애
9,244
3,791
5,354
99
등급외
30
-
30
-
3. 전망
장애인직업재활은 경쟁고용시장을 통한 일반 사업장의 취업이 최종적인 목표이지만 장애인 대부분은 개인 사정이나 주변 여건으로 인해 취업 자체가 어렵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많고 취업 후 직업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장애인실업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개선해 나기 위한 사회의 관심과 정책적인 노력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기에 다음과 같은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직업재활시설을 분산하고 예산증액을 통해 전문인력의 부족함을 개선하여 지방에 있는 장애인이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지역별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에 힘써야하고 장애인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맞춤형 직업재활과 다양한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장애인근로자의 안정적인 직업유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취업 후 부여된 직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직무지도원과 직장생활에서 수행하는 핵심업무를 제외한 부수적인 업무를 도와주는 근로지원인 지원사업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업체에 적극적인 홍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기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애인근로자의 수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일반 사업체 뿐 아니라 공기업과 지자체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상향시키고, 중증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해 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은 물론 장애인을 다수 고용한 기업에 대해서 정책적인 지원 강화를 추진 중에 있기에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직업군에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여성장애인의 개인. 가족, 사회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접근하여 육아, 가사, 자녀양육, 임신·출산에 대한 지원 외에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특수성을 반영한 직종 개발과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서비스와 정책마련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사회진출을 도모한다.
이러한 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재활서비스과정 외에도 고용 유지를 위한 다양한 환경적 조건과 정책적 지원이 제대로 갖추어진다면 경쟁고용시장에서도 장애인도 얼마든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면서 사업체와 가족에게 인정받고 사회에서는 당당한 시민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자립을 물론 비 장애인과 같은 직장에서 함께 일하며 사회통합을 이루어 보통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장애인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장애인도 비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직업을 갖고 지속적인 직장생활에 대한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제약으로 인해 일반 업체에 취업이 어려워 직업재활시설에서 고용을 이어나갈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에 무척 안타까웠다. 아직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직업재활시설 수준에 비해 아직 부족하지만 정책적인 지원마련을 통한 안정적인 고용환경을 만들어 지속적인 직장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장애인의 실업률은 많이 낮아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가까운 미래에 어디를 가도 장애인과 비 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일하고 있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IV. 참고문헌 및 자료
장애인복지론(2017)/정민사/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정진옥 공저
직업재활실천론(2011)/창지사/박혜전, 이창희, 이명진, 정찬동 지음
보건복지부(2022) 2021년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및 판매시설 운영실적
보건복지부(2022) 장애인복지시설 일람표
한국장애인개발원(2022) 장애통계연보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2020) 2021년 장애인 일자리사업안내
<참고 사이트>
통계청 https://kostat.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한국장애인개발원 https://www.kodd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www.kead.or.kr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인터넷 뉴스>
에이블뉴스 / 이슬기(2022) /‘제14회 장애인직업재활의 날 기념식’ 28일 개최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4&NewsCode=003420221027134140131114
구분
계
일반형 일자리
복지 일자리
특화형 일자리
2021년 배정인원(명)
24,896
9,465
13,644
1,787
참여인원(명)
24,773
9,233
13,724
1,816
참여율(%)
99.5%
97.5%
100.6%
101.6%
성별
남
13,796
4,981
7,698
1,117
여
10,977
4,252
6,026
699
연령별
29세이하
4,994
1,702
2,639
653
39세이하
2,756
1,303
1,215
238
49세이하
2,959
1,678
1,129
152
59세이하
3,805
2,169
1,430
206
65세미만
2,552
1,247
1,106
199
65세이상
7,707
1,134
6,205
368
장애유형
지체
8,754
4,013
4,741
-
뇌병변
2,217
1,035
1,182
-
시각
2,652
663
1,048
941
청각
1,977
674
1,303
-
언어
193
82
111
-
안면
24
19
5
-
신장
572
316
256
-
심장
65
44
21
-
호흡기
79
37
42
-
간
62
45
17
-
장루.요루
82
32
50
-
뇌전증
124
71
53
-
지적
6,115
1,601
3,689
825
자폐성
523
152
321
50
정신
1,304
449
855
-
기타
(특수교육대상)
30
-
30
-
장애정도
심한장애
15,499
5,442
8,340
1,717
심하지않은장애
9,244
3,791
5,354
99
등급외
30
-
30
-
3. 전망
장애인직업재활은 경쟁고용시장을 통한 일반 사업장의 취업이 최종적인 목표이지만 장애인 대부분은 개인 사정이나 주변 여건으로 인해 취업 자체가 어렵거나 기피하는 경우가 많고 취업 후 직업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장애인실업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개선해 나기 위한 사회의 관심과 정책적인 노력의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기에 다음과 같은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직업재활시설을 분산하고 예산증액을 통해 전문인력의 부족함을 개선하여 지방에 있는 장애인이 취업을 할 수 있도록 지역별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에 힘써야하고 장애인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맞춤형 직업재활과 다양한 분야에 취업할 수 있도록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두 번째, 장애인근로자의 안정적인 직업유지를 위해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데 취업 후 부여된 직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직무지도원과 직장생활에서 수행하는 핵심업무를 제외한 부수적인 업무를 도와주는 근로지원인 지원사업 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업체에 적극적인 홍보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기에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애인근로자의 수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 일반 사업체 뿐 아니라 공기업과 지자체의 장애인 의무고용률을 상향시키고, 중증장애인 고용확대를 위해 장애인 고용장려금 인상은 물론 장애인을 다수 고용한 기업에 대해서 정책적인 지원 강화를 추진 중에 있기에 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직업군에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여성장애인의 개인. 가족, 사회제도 등 여러 측면에서 접근하여 육아, 가사, 자녀양육, 임신·출산에 대한 지원 외에 경제생활을 할 수 있도록 특수성을 반영한 직종 개발과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서비스와 정책마련함으로써 여성장애인의 사회진출을 도모한다.
이러한 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재활서비스과정 외에도 고용 유지를 위한 다양한 환경적 조건과 정책적 지원이 제대로 갖추어진다면 경쟁고용시장에서도 장애인도 얼마든지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면서 사업체와 가족에게 인정받고 사회에서는 당당한 시민으로써 사회적 역할을 충분히 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자립을 물론 비 장애인과 같은 직장에서 함께 일하며 사회통합을 이루어 보통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장애인직업재활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료를 조사하면서 장애인도 비 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직업을 갖고 지속적인 직장생활에 대한 욕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제약으로 인해 일반 업체에 취업이 어려워 직업재활시설에서 고용을 이어나갈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에 무척 안타까웠다. 아직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직업재활시설 수준에 비해 아직 부족하지만 정책적인 지원마련을 통한 안정적인 고용환경을 만들어 지속적인 직장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장애인의 실업률은 많이 낮아질 것이라고 생각하고 가까운 미래에 어디를 가도 장애인과 비 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일하고 있는 모습을 자연스럽게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해 본다.
IV. 참고문헌 및 자료
장애인복지론(2017)/정민사/정무성, 양희택, 노승현, 정진옥 공저
직업재활실천론(2011)/창지사/박혜전, 이창희, 이명진, 정찬동 지음
보건복지부(2022) 2021년도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및 판매시설 운영실적
보건복지부(2022) 장애인복지시설 일람표
한국장애인개발원(2022) 장애통계연보
보건복지부, 한국장애인개발원(2020) 2021년 장애인 일자리사업안내
<참고 사이트>
통계청 https://kostat.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한국장애인개발원 https://www.koddi.or.kr/
한국장애인고용공단 www.kead.or.kr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
<인터넷 뉴스>
에이블뉴스 / 이슬기(2022) /‘제14회 장애인직업재활의 날 기념식’ 28일 개최
https://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34&NewsCode=003420221027134140131114
키워드
추천자료
장애청소년복지
정신보건사회사업의 정의,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구성요소, 정신보건사회사업의 기능, 정신보건...
[신장장애][내부장애][신장장애인][내부장애인]신장장애의 정의, 신장장애의 특성(신장장애의...
[장애인고용][장애인직업재활]장애인고용(장애인고용촉진)과 장애인직업재활(장애인직업재활...
[사회복지] 지체장애인 복지의 현황과 해결방안
장애인소득보장제도(장애인소득보장정책)의 종류, 장애인소득보장제도(장애인소득보장정책)의...
장애청소년의 개념과 실태현황 및 장애청소년을 위한 복지서비스와 대책방안
장애인 고용문제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논해주세요
장애인복지(장애인복지개념, 장애인재활, 장애인복지관련법, 장애인복지정책, 복지시설과서비스)
보호및지원고용) 지원고용 서비스 현황과 재활상담사의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