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영양학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제시된 영양소 중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본인의 관심 영양소 3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이유를 간략히 쓴 후, 지난 10년간의 섭취량 변화 추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영양학 2024년 2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제시된 영양소 중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본인의 관심 영양소 3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이유를 간략히 쓴 후, 지난 10년간의 섭취량 변화 추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2 국민건강통계]를 참고하여 다음의 과제를 수행하시오. (괄호 안 표준오차는 과제물 작성에 활용하지 말고, 평균값만 활용할 것)

1. 제시된 영양소 중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본인의 관심 영양소 3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이유를 간략히 쓴 후, 지난 10년간의 섭취량 변화 추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2페이지 이내, 성별자료 아닌 전체자료 활용)

1) 지역사회영양학의 관점에서 본인의 관심 영양소 3개 선택
2) 3개 영양소 선택 이유
3) 칼슘 나트륨 비타민c 3개 영양소의 지난 10년간의 섭취량 변화 추이

2.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이 의미하는 바를 간략히 쓰고,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의 지난 10년간 변화 추이에 대해 설명하시오. (1페이지 이내, 성별자료 아닌 전체자료 활용)

1)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의 의미
2)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의 지난 10년간 변화 추이

3.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의 지난 10년간 변화 추이를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여 비교하시오. (2페이지 이내)

1)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성별 변화 추이
2)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성별 변화 추이 비교·분석

4. 참고문헌

본문내용

2022년까지 상당한 증가를 보인다. 특히 2018년 이후 급격히 상승하여 2022년에는 25.9%로, 2013년 대비 약 4.7%p 증가했다. 탄수화물 섭취분율은 2013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3년에 64.3%였던 것이 2022년에는 58.2%로 약 6.1%p 감소했다.
단백질 섭취분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육식 중심으로 서구화된 식습관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 섭취분율 또한 상당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단백질 섭취와 마찬가지로 서구화된 식습관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으며, 고지방 음식 섭취가 증가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전통적 주식인 쌀의 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탄수화물 섭취분율도 계속 감소 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다.
3.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의 지난 10년간 변화 추이를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여 비교하시오. (2페이지 이내)
1)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성별 변화 추이
성별
급원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남자
단백질
14.9
14.9
14.9
15.6
15.6
15.7
16
16
16.4
16.2
지방
21.6
22.2
22.2
22.2
22.4
22.7
24.6
25.3
24.6
25.7
탄수화물
63.5
62.9
62.9
62.2
62
61.6
59.4
58.6
59
58.1
여자
단백질
14
14.2
14.1
14.5
14.7
14.8
15.2
15.1
15.5
15.7
지방
20.8
21.3
21.3
21.2
21.8
22.4
23.8
24.8
24.6
26
탄수화물
65.2
64.5
64.6
64.3
63.6
62.8
61
60.1
59.9
58.3
2) 급원별 에너지 섭취분율(%) 성별 변화 추이 비교·분석
먼저 단백질의 섭취분율을 보면 남자는 2013년 14.9%에서 2022년 16.2%로 증가했고, 여자는 같은 기간 14.0%에서 15.7%로 증가했다. 남녀 모두 단백질 섭취 비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인다.
지방 섭취분율을 살펴보면, 남자는 2013년 21.6%에서 2022년 25.7%로 상당히 증가했으며, 여자의 경우도 20.8%에서 26.0%로 증가했다. 남녀 모두 지방 섭취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2018년 이후부터 큰 폭의 상승을 보인다.
탄수화물 섭취분율은 남녀 모두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남자는 2013년 63.5%에서 2022년 58.1%로 감소했으며, 여자는 64.3%에서 58.3%로 감소했다.
전체적으로 남녀 모두 단백질과 지방의 섭취분율은 증가하는 반면, 탄수화물 섭취분율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지만, 여성이 남성보다 지방 섭취분율이 약간 더 빠르게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4. 참고문헌
지역사회영양학, 김동우·이수경·이윤나·정상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 http://knhanes.kdca.go.kr
보건복지부 2022 국민건강통계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9.26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27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