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회계학특강]24년 2학기 중간과제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회계학특강]24년 2학기 중간과제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방법은 불필요한 충당금을 과도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빅배스 사례는 주로 수주산업인 건설산업과 조선산업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대표적인 빅배스 사례는 대우조선해양 사례라고 생각한다.
대우조선해양은 2021년 카타르 NOC(North Oil Company)로부터 고정식 원유생산설비를 수주했는데, 공사가 지연되면서 공사손실충당금 2,700억원을 쌓았다. 즉 비용을 2021년에 반영을 한 것이며, 이것이 빅배스이다. 대우조선해양과 같은 조선업의 경우, 계약을 따내고 수익이 발생하기 까지 2~3년이 걸리는 수주 산업 기반 회사들은 공사손실충당금이라는 회계상 비용을 장부에 기재한다. 인건비, 재료비 등 배 한척 만든느데 투입하는 모든 비용이 고려 대상이다. 예를 들어 선박을 수주할 때 소요 비용을 1억원으로 예상했는데, 배를 만드는 동안 인건비나 합판값이 올랐다면 회사는 배 인도까지 비용이 추가될 것으로 예상하는 금액을 충당금으로 쌓아 미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빅배스인 것이다.
이러한 빅배스를 단행하는 이유는 빅배스를 단행하는 다음 연도에 실적을 좋게 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경우, 당시에 인수합병 협의가 진행중이었기 때문에 인수 후 실적을 좋게 하기 위해서 빅배스를 단행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우조선해양도 미리 비용을 반영한 빅배스를 단행한 2022년에 공사 손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됨으로 인해서 비용이 환입이 되어 실적이 향상되었다. 이렇게 빅배스는 인수합병 등의 이벤트가 있을 시 기존에 잠재된 리스크를 덜어내어 다음 연도에 실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라고 생각을 한다.
Ⅲ. 현금흐름표 분석 (5점)
3. 다음 XYZ기업의 영업, 투자 및 재무활동의 현금흐름 정보를 토대로 XYZ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대해 분석하시오.
(단위: 백만원)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당기순이익
240
120
64
52
32
총 현금흐름
960
280
80
-24
8
영업활동현금흐름
1,200
-600
-800
-704
-720
투자활동현금흐름
-680
240
176
280
464
재무활동현금흐름
440
640
704
400
264
위에서 제시된 XYZ기업의 현금흐름을 통해서 A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당기순이익 항목을 보면, 5개년 동안 흑자가 발생하여 사업적으로 양호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총 현금흐름은 2019년부터 감소되어 2021년과 2022년에는 적자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2023년에 흑자로 돌아섰지만, 여전히 2019년과 2020년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치이다. 총 현금흐름을 세부적으로 분석할 때, 적자 발생원인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이다. 5개년 현금흐름은 2019년을 제외하고 4개년 적자가 발생하였다. 정상적인 사업인 경우, 당기순이익이 발생한 만큼은 아니지만, 당기순이익 꾸준히 발생을 하였다면, 현금이 유입이 되어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흑자가 되어야 하는데, 당사는 그렇지 않은 것이다. 이는 매출은 발생하였지만, 매출채권 등을 회수하지 못했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10.07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3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