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정신간호학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 간호진단-과정 불안, 피로, 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여성 성폭력의 위험성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 정신간호학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 ] 간호진단-과정 불안, 피로, 언어적 의사소통의 장애,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여성 성폭력의 위험성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발달과정
4. 증상
5. 진단
6. 치료와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1. 총 평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8/24)
집단프로그램에 참여함 : 요리요법(8/28)
대상자와 대화하며 수용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집단프로그램 시 대상자와 함께 참여한다.
병동 내에서 진행한 노래방 프로그램에 함께 참여하여 대상자가 불안감을 느낄 시 안정을 제공함(8/21)
집단 프로그램을 통해 타인과 어울릴 기회를 갖게 되고, 대인관계 기술을 훈련할 수 있다.
치료자가 수용적인 태도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는 대인관계에 대한 공포감 및 거부감을 완화할 수 있다.
치료자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정서적 지지와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교육적 계획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교육하고 표현을 격려한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교육하고 표현을 격려했다.
대상자에게 경청하기, 반영하기, 개방적 질문하기 등을 교육함
(의사소통을 어떻게 잘할 수 있을까요 라는 질문에) “경청하기, 반영하기, 개방적 질문하기라고 가르쳐주셨어요.”
의사소통 및 언어적 표현의 교육을 통해 환자의 자신감 증진 및 대인관계 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2주 이내에 환자들과 자발적으로 어울렸다.
대상자는 5일 이내로 하루 5회 이상 자발적으로 타인과 상호작용을 했다.
대상자는 5일 이내로 하루 30분 이상, 타인과 대화했다.
대상자는 3일 이내로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법에 대해 3가지를 말했다.
#5. 청각적 암시와 관련된 여성 성폭력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여자 (간호사)선생님을 따먹으라고 했어요.”
“(투약시간에) 여자 (간호사)선생님을 아래룰 만지라고 했어요.”
- 투약시간에 투약하시는 간호사 선생님을 향해 손을 뻗으며 만진다고 함
- 간호 학생 뒤에서 어께를 만지려는 시늉을 함
간호목표
장기적 목표
대상자는 2주 이내에 그런 환청이 들릴 때 치료자에게 도움을 구한다.
단기적 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환청이 들릴 때, 주의를 전환하는 기법을 3가지 이상 말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및 평가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환청의 내용, 빈도, 양상 등을 사정한다.
대상자의 환각에 대한 대처기전에 대해 질문했다.
환청의 내용, 빈도, 양상 등을 사정했다.
(환청이 구체적으로 뭐라고 했냐는 질문에) \"저기 저 선생님을 따먹어라고 했어요.“
(언제 그런 말을 자주 듣냐는 질문에) \"아침에 약 먹을 때요.“
(언제 그런 말이 잘 안들리냐는 질문에) \"모르겠어요. 주간활동센터 갔을 때?“
(저 선생님이 보이면 그런 말이 들리냐는 질문에) \"아뇨, 안 보여도 들리는데..“
(그걸 실행하고 싶냐는 질문에) \"아뇨, 절대 아니에요. 나쁜 놈들에게 절대로 안 넘어갈 거예요.“
대상자의 환각에 대한 대처기전에 대해 질문했다.
(그런 말이 들릴 때마다 어떻게 대처하냐는 질문에) \"싸워요. 제가 이길 거예요. 근데 저번에는 졌어요. 저번에 나쁜 놈들에게 조종당해서 몸이 지배당한 적이 있어요.\"
환각의 내용, 빈도, 양성 등을 사정하여 현실과 구분시키는 근거를 마련한다.
강화/보완할 대처기전을 사정하여 대상자가 효과적인 대처기전을 사용하도록 한다.
치료적 계획
처방에 따라 항정신병 약물을 투여한다.
대상자의 망상 및 환청에 대해 현실을 직면하게 한다.
Amisulpride 400mg, Quetiapine fumarate XR 400mg, Aripiprazole 15mg, Risperidone 1mg 투여
대상자에게 현실감을 강화했다.
대상자가 벽에 대고 혼자 소리치고 있는 것이 관찰되어 “김O수 님, 벽에 대고 혼자 무엇을 하고 계신가요?”라고 이야기했다.
항정신병약물은 환청을 가진 대상자와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여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방해하는 환청을 규명할 수 있게 한다.
대상자에게 현실을 제시하는 것은 감정을 해석하고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교육적 계획
환청 때문에 그러한 충동이 들 때는 치료자에게 도움을 구할 것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환청에 대한 대처기전을 교육한다.
환청 때문에 그러한 충동이 들 때는 치료자에게 도움을 구할 것을 교육했다.
대상자에게 몸이 조종당하는 것 같을 때, 충동적으로 행동하기 전에 치료자에게 도움을 구할 것을 교육함.
\"좋아요. 약속해요.\"라고 협조적인 태도를 보임
약속을 하고 실습이 끝나 실제로 도움을 구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없었음
대상자에게 환청에 대한 대처기전을 교육한다.
대상자에게 망상 및 환각에 대한 대처기전을 교육했다.
“그런 말이 또 들리시면 음악 듣기, TV 보기, 글쓰기 혹은 친구와 대화하기 등이 도움이 될 겁니다.”라고 교육함
환청에 대해 빠른 중재를 제공받을 수 있다.
대처기전을 교육하여 대상자가 효과적인 대처기전을 사용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5일 이내에 환청이 있을 때의 적절한 대처기전(노래 부르기, 대화하기, 글쓰기)을 설명했다.
Ⅳ. 결론
1. 총 평가
조현병은 개인의 사고, 언어, 감정, 사회적 행동, 현실인지 능력을 황폐화시키는 질환으로, 단일 원인에 의한 동질적 질환이 아니라 유전적 소인, 생화학적 기능부전, 신체적인 요인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고, 다양한 증상을 갖는 증후군 또는 질병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조현병의 치료에는 약물요법, 일상기술이나 사회기술 훈련과 같은 심리시회서 중재, 재활, 회복, 가족치료 등이 포함되는 포괄적, 다학제적 노력이 필요하다.
사례연구의 대상자는 조현병의 양성증상인 피해망상, 환각(명령환청, 환시)의 증상을 보였고 어릴 적부터 언어 발달이 느려 말더듬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사회성이 부족한 모습이 나타났다. 이에 불안, 피로, 언어적 의사소통의 위험성,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여성 성폭력의 위험성을 간호진단으로 내렸으며 치료적 의사소통, 주 증상 대처방법, 집단프로그램 참여 등의 중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2주간의 실습으로는 계획이 실행되었는지 알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Ⅴ. 참고문헌
임숙빈 외 7명(2017). [제 7판]정신간호총론, 수문사, p. 293~329, p. 573~579
국제간호진단협회(2018). [제 11판, 개정판]간호진단 정의와 분류2018~2020,
학지사매디컬, p. 232, 268, 307, 330~331
- https://www.druginfo.co.kr/
  • 가격10,000
  • 페이지수44페이지
  • 등록일2024.10.24
  • 저작시기202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324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