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존재론 - 철학은 어떤 학문이며,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3.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보에티우스, 스피노자의 견해를 참조하여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논하시오
4. 미학 - 아리스토텔레스가 미의 기준으로 삼는것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목 차 -
1. 존재론 - 철학은 어떤 학문이며,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3.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보에티우스, 스피노자의 견해를 참조하여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논하시오.
4. 미학 - 아리스토텔레스가 미의 기준으로 삼는것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3.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보에티우스, 스피노자의 견해를 참조하여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논하시오
4. 미학 - 아리스토텔레스가 미의 기준으로 삼는것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목 차 -
1. 존재론 - 철학은 어떤 학문이며,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3. 윤리학 - 아리스토텔레스, 보에티우스, 스피노자의 견해를 참조하여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인지 논하시오.
4. 미학 - 아리스토텔레스가 미의 기준으로 삼는것이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존재론 - 철학은 어떤 학문이며,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말의 뜻은 무엇인가?
1) 철학
철학은 존재 세계∙대상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존재론, 지식의 근거와 방법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인식론, 인간 삶의 목적 및 가치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가치론이라는 분과 영역을 갖는다.
철학이란 인간 삶의 보존과 향상을 위해 우리의 삶과 연관된 제반 문제를 전체적․보편적․근원적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성적 노력이자 그 소산이다. 철학은 만학의 기초로서 총체적이고도 근본적인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서 고전적인 지위를 갖는다. 존재론은 존재세계․대상 일반에 대한 근원적 반성적 고찰이다. 물질적인 것과 심적인 것을 하나로 보면 물심 일원론, 둘로 보면 물심 이원론, 하나로 보되 물질로만 보면 유물론, 심적인 것으로만 보면 유심론 등의 분류표가 붙는다. 물론 그렇게 붙인 근거 또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른바 유물론이냐 유심론이냐, 일원론이냐 다원론이냐, 기계론이냐 생기론이냐, 결정론이냐 비결정론이냐 등등의 논변들은 다름 아닌 철학의 존재론 혹은 형이상학적 논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들인 것이다.
인간의 지적 욕망이 종국적으로는 모든 것에 대한 근원적 의문 또는 어떤 것의 본질에 대한 궁극적 의문에 다가선다면, 형이상학은 지적 탐문의 정점에 있는 것이고, 그 탐문이 치열할수록 그 결과가 갖는 추상성은 역설적으로 더 많은 구체성을 포섭∙관통하는 것이다. 존재론은 존재의 문제를 아무런 선입견 없이 따져야 하므로, 일단 모든 존재자를 그것이 존재한다는 존재자 그 차원에서 탐문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존재론은 일단 인간이 명사화할 수 있는 일체의 것, 즉 관념이건 이념이건 물질적 실재이건 간에 일단 모두‘있는 것’으로 치고 시작한다. 그런 다음 왜, 어떻게 그것이 그런 것으로 있는가를 하나하나 따져 들어가면서, 그것의 근원적인 존재 근거∙원리 등을 해명한다. 이를테면 존재론은 있는 것들 다시 말해 존재자의 분류표를 다는 일이되, 분류표를 어떠한 근거로 어떠한 기준으로 범주화할 것인지를 따져 묻는 일이다.
2) 철학은 신학의 시녀
철학의 문제는 시대의 고민에 따라 달라지곤 한다. 교회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의 철학자들은 신의 존재를 놓고 심각한 논쟁을 벌이곤 했다. 이성이 트이기 시작한 서양 근세에는 어떻게 해야 오류 없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지가 철학자들의 주된 고민이었다. 논리나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종교나 도덕은 이제 불완전한 믿음에 지나지 않는다. 알 길이 없는 신의 뜻이나 윤리를 과학같이 분명하게 만들 수 있다면 세상은 한층 더 멋있는 곳이 될 터이다. 교회 신부들이 곧 철학자였던 서양 중세에 철학은 ‘종교를 위한 시녀’처럼 여겨졌다.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의미는 신학의 위상을 나타낸 말로 철학이 신학에 종속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던 말이다. 추기경 페트루스 다미아니(Petrus Damiani)는 <민수기>(21장 10~13절)를 해석하면서 신학자들이 철학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설파했다. 이 본문은 일종의 고대 이스라엘 전쟁법의 일부로, 노예로 잡아온 여자 포로의 처분 문제를 다루고 있다. 여자들은 손톱도 잘라내고, 입었던 옷도 벗겨낸 다음에 새 신부로 맞아들여야 했다. 이렇듯 다미아니는 신앙에서 철학이라는 머리털을 밀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필요 없는 이론들을 없애버리자는 것이다. 여자 노예는 주인의 여종으로 남아있어야만 하듯, 철학은 신학의 시녀(ancilla theologiae)`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1) 존재의 원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두 가지 주요 개념인 형상(form)과 질료(matter)를 제안했다. 모든 존재가 이 두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형상은 사물의 본질과 특성을 결정하는 원인이다. 질료는 사물이 만들어지는 재료이며, 형상이 실현되는 물질적 기반을 제공한다. 조각상은 대리석이라는 질료로 만들어지지만, 그 대리석이 조각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조각상의 형상이 필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과 질료가 밀접하게 결합하여 개별적인 사물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한 반발로 이해될 수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사물의 본질이 추상적 세계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구체적 사물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을 통해 이 세계에서 실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모든 존재는 목적을 지닌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teleology)으로, 자연의 모든 존재가 고유한 목적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 했다. 나무는 자라는 것이 목적이며, 그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자연으로부터 얻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변화와 운동을 이해하는데 형상과 질료의 개념을 활용했다. 질료는 변화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형상은 변화의 목적을 제시한다. 따라서 사물은 시간을 통해 질료의 가능성을 형상에 의해 실현하여 변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 중략 -
1) 철학
철학은 존재 세계∙대상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존재론, 지식의 근거와 방법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인식론, 인간 삶의 목적 및 가치 일반에 대한 근원적∙반성적 고찰로서의 가치론이라는 분과 영역을 갖는다.
철학이란 인간 삶의 보존과 향상을 위해 우리의 삶과 연관된 제반 문제를 전체적․보편적․근원적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는 이성적 노력이자 그 소산이다. 철학은 만학의 기초로서 총체적이고도 근본적인 ‘지혜에 대한 사랑’으로서 고전적인 지위를 갖는다. 존재론은 존재세계․대상 일반에 대한 근원적 반성적 고찰이다. 물질적인 것과 심적인 것을 하나로 보면 물심 일원론, 둘로 보면 물심 이원론, 하나로 보되 물질로만 보면 유물론, 심적인 것으로만 보면 유심론 등의 분류표가 붙는다. 물론 그렇게 붙인 근거 또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른바 유물론이냐 유심론이냐, 일원론이냐 다원론이냐, 기계론이냐 생기론이냐, 결정론이냐 비결정론이냐 등등의 논변들은 다름 아닌 철학의 존재론 혹은 형이상학적 논의 영역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들인 것이다.
인간의 지적 욕망이 종국적으로는 모든 것에 대한 근원적 의문 또는 어떤 것의 본질에 대한 궁극적 의문에 다가선다면, 형이상학은 지적 탐문의 정점에 있는 것이고, 그 탐문이 치열할수록 그 결과가 갖는 추상성은 역설적으로 더 많은 구체성을 포섭∙관통하는 것이다. 존재론은 존재의 문제를 아무런 선입견 없이 따져야 하므로, 일단 모든 존재자를 그것이 존재한다는 존재자 그 차원에서 탐문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존재론은 일단 인간이 명사화할 수 있는 일체의 것, 즉 관념이건 이념이건 물질적 실재이건 간에 일단 모두‘있는 것’으로 치고 시작한다. 그런 다음 왜, 어떻게 그것이 그런 것으로 있는가를 하나하나 따져 들어가면서, 그것의 근원적인 존재 근거∙원리 등을 해명한다. 이를테면 존재론은 있는 것들 다시 말해 존재자의 분류표를 다는 일이되, 분류표를 어떠한 근거로 어떠한 기준으로 범주화할 것인지를 따져 묻는 일이다.
2) 철학은 신학의 시녀
철학의 문제는 시대의 고민에 따라 달라지곤 한다. 교회가 지배하던 중세 유럽의 철학자들은 신의 존재를 놓고 심각한 논쟁을 벌이곤 했다. 이성이 트이기 시작한 서양 근세에는 어떻게 해야 오류 없는 지식을 얻을 수 있는지가 철학자들의 주된 고민이었다. 논리나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종교나 도덕은 이제 불완전한 믿음에 지나지 않는다. 알 길이 없는 신의 뜻이나 윤리를 과학같이 분명하게 만들 수 있다면 세상은 한층 더 멋있는 곳이 될 터이다. 교회 신부들이 곧 철학자였던 서양 중세에 철학은 ‘종교를 위한 시녀’처럼 여겨졌다.
철학은 신학의 시녀라는 의미는 신학의 위상을 나타낸 말로 철학이 신학에 종속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하던 말이다. 추기경 페트루스 다미아니(Petrus Damiani)는 <민수기>(21장 10~13절)를 해석하면서 신학자들이 철학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설파했다. 이 본문은 일종의 고대 이스라엘 전쟁법의 일부로, 노예로 잡아온 여자 포로의 처분 문제를 다루고 있다. 여자들은 손톱도 잘라내고, 입었던 옷도 벗겨낸 다음에 새 신부로 맞아들여야 했다. 이렇듯 다미아니는 신앙에서 철학이라는 머리털을 밀어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필요 없는 이론들을 없애버리자는 것이다. 여자 노예는 주인의 여종으로 남아있어야만 하듯, 철학은 신학의 시녀(ancilla theologiae)`가 되어야한다고 주장했다.
2. 인식론 -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존재의 원리와 인식의 원리에 대해 논하시오.
1) 존재의 원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두 가지 주요 개념인 형상(form)과 질료(matter)를 제안했다. 모든 존재가 이 두 요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 형상은 사물의 본질과 특성을 결정하는 원인이다. 질료는 사물이 만들어지는 재료이며, 형상이 실현되는 물질적 기반을 제공한다. 조각상은 대리석이라는 질료로 만들어지지만, 그 대리석이 조각상으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조각상의 형상이 필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과 질료가 밀접하게 결합하여 개별적인 사물을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접근은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한 반발로 이해될 수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는 사물의 본질이 추상적 세계에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한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구체적 사물이 형상과 질료의 결합을 통해 이 세계에서 실재한다고 보았다.
또한 모든 존재는 목적을 지닌다고 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teleology)으로, 자연의 모든 존재가 고유한 목적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 했다. 나무는 자라는 것이 목적이며, 그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자연으로부터 얻는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물의 변화와 운동을 이해하는데 형상과 질료의 개념을 활용했다. 질료는 변화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형상은 변화의 목적을 제시한다. 따라서 사물은 시간을 통해 질료의 가능성을 형상에 의해 실현하여 변화를 이루어가는 과정으로 설명한다.
- 중략 -
추천자료
- 2022년 2학기 철학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교재 2강, 3강, 5강 핵심내용)
- 2023년 2학기 철학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2강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등)
- 2024년 2학기 선배시민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선배시민의 개념과 노인의 개념 비교)
- 2024년 2학기 심리학에게묻다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가족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 2024년 2학기 홍보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마케팅 PR(MPR)의 기능)
- 2024년 2학기 동양철학산책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양주의 위아설 비판적 관점)
- 2024년 2학기 여성교육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강의 1-6강에서 다루어진 개념)
- 2024년 2학기 영상문화콘텐츠산업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한국 영상문화콘텐츠산업 특징)
- [미디어영상학과] 2023년 2학기 홍보론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마케팅 PR(MPR)의 기능)
- [미디어영상학과] 2023년 2학기 대중영화의이해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이탈리아 네오리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