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 진단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자료
2. 간호 사정
3. 간호 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중재
6. 이론적 근거
7. 간호평가
8. 참고자료
본문내용
동의를 구했다.
간호수행
교육적 계획
10.근력을 강화하고 림프부종과 관절 가동범위의 개선을 위한 적절한 자가 운동법을 5가지를 교육했다.
·목 스트레칭 : 목을 좌우, 상하로 늘려주며 림프액의 흐림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어깨 돌려주기 : 어깨를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천천히 원을 그리듯이 올려줌.
·팔 운동
1.막대를 이용한 운동 : 팔을 위로 들어 좌우로 움직여줍니다. 또는 막대 또는 수건을 들고 앞뒤로 넘겨주는 동작을 해줍니다.
2.팔꿈치 구부리기 : 막대나 수건 등을 양손으로 잡은 후 팔꿈치를 구부리고 펴주는 동작을 천천히 반복해 줍니다.
·다리 운동
1.무릎 구부리기 : 누워 있는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려서 몸 쪽으로 다리를 당겨 5초 정도 멈춘 자세를 유지한 후 다리를 내려줍니다.
2.다리 오므리기 또는 벌리기 : 벽에 다리를 기댄 상태에서 양쪽 다리에 힘을 주며 천천히 모아준 후 다시 천천히 벌려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11.대상자에게 하루 2~3회 자가 림프마사지를 시행하도록 격려하고 방법에 대한 팜플렛을 제공했다.
림프마사지 방법을 시연하며 설명하고, 대상자가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지속적인 관리와 질문이 있을 경우 상담 또한 제공가능함을 설명했다.
12.대상자에게 환측 부종 관리를 위해 서지브라 착용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서지브라를 착용할 때는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 상태를 유지한 뒤 브라의 밴드가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조절하고 어깨끈이 어깨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셔야 합니다.
착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피부 자극이나 압박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자주 확인하고, 불편감이 있을 경우 즉시 조정하거나 벗도록 하세요.
적절한 착용시간은 하루 8 ~ 12시간 정도이며 장시간 착용 시에는 피부 상태를 꼭 점검해야 합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퇴원 시 환측 상지 관절 운동 범위가 개선되어 일상적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대상자는 퇴원 시 환측 상지 부종과 통증이 감소하며, 팔 둘레 차이가 없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3일 이내 환측 상지 둘레와 오른쪽 상지 둘레 1cm 이하로 감소한다.
2.대상자는 3일 이내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및 일상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3.대상자 교육 후 림프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활동을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 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 (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국가암정보센터
· 대한림프부종학회
· 유방암 수술 후 림프부종의 위험인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호중 외
· 유방절제술로 발생된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치료적 운동 고찰, 경성대학교 스포츠 건강학부, 하경진 외
간호수행
교육적 계획
10.근력을 강화하고 림프부종과 관절 가동범위의 개선을 위한 적절한 자가 운동법을 5가지를 교육했다.
·목 스트레칭 : 목을 좌우, 상하로 늘려주며 림프액의 흐림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어깨 돌려주기 : 어깨를 좌우, 상하로 이동하여 천천히 원을 그리듯이 올려줌.
·팔 운동
1.막대를 이용한 운동 : 팔을 위로 들어 좌우로 움직여줍니다. 또는 막대 또는 수건을 들고 앞뒤로 넘겨주는 동작을 해줍니다.
2.팔꿈치 구부리기 : 막대나 수건 등을 양손으로 잡은 후 팔꿈치를 구부리고 펴주는 동작을 천천히 반복해 줍니다.
·다리 운동
1.무릎 구부리기 : 누워 있는 자세에서 무릎을 구부려서 몸 쪽으로 다리를 당겨 5초 정도 멈춘 자세를 유지한 후 다리를 내려줍니다.
2.다리 오므리기 또는 벌리기 : 벽에 다리를 기댄 상태에서 양쪽 다리에 힘을 주며 천천히 모아준 후 다시 천천히 벌려주는 동작을 반복한다.
11.대상자에게 하루 2~3회 자가 림프마사지를 시행하도록 격려하고 방법에 대한 팜플렛을 제공했다.
림프마사지 방법을 시연하며 설명하고, 대상자가 이해하고 따라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지속적인 관리와 질문이 있을 경우 상담 또한 제공가능함을 설명했다.
12.대상자에게 환측 부종 관리를 위해 서지브라 착용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서지브라를 착용할 때는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 상태를 유지한 뒤 브라의 밴드가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조절하고 어깨끈이 어깨를 압박하지 않도록 하셔야 합니다.
착용 시 주의사항으로는 피부 자극이나 압박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자주 확인하고, 불편감이 있을 경우 즉시 조정하거나 벗도록 하세요.
적절한 착용시간은 하루 8 ~ 12시간 정도이며 장시간 착용 시에는 피부 상태를 꼭 점검해야 합니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퇴원 시 환측 상지 관절 운동 범위가 개선되어 일상적인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대상자는 퇴원 시 환측 상지 부종과 통증이 감소하며, 팔 둘레 차이가 없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3일 이내 환측 상지 둘레와 오른쪽 상지 둘레 1cm 이하로 감소한다.
2.대상자는 3일 이내 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한 운동 및 일상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3.대상자 교육 후 림프부종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활동을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 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 (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국가암정보센터
· 대한림프부종학회
· 유방암 수술 후 림프부종의 위험인자,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정호중 외
· 유방절제술로 발생된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치료적 운동 고찰, 경성대학교 스포츠 건강학부, 하경진 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