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과학과)미용과 광선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 장 광선과 미용의 개요

제 2 장 열의 물리학 및 열 치료

본문내용

현상에 의해 세포의 집합체인 조직이나 기관에서도 변화를 일으켜 생리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다.
임상에서는 전신에 열을 적용하는 경우보다도 국소에 열을 적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소열의 적용시 나타나는 생리적 효과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도표로 표시하였다3)(표 2-2).
표 2-2. 도표로 나타낸 열의 생리적효과
인체의 국소에 열을 적용하면, 체온상승이 제일 먼저 나타나는 효과이고 체온이 상승됨은 신진대사 증가의 효과가 나타난다.
신진대사의 증가는 신진대사물(metabolic products) 의 집중 증가를 가져오며, 이 현상은 세동맥 확장과 말초혈관의 혈류증가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말초혈관에서는 혈압의 증가도 함께 나타나며 부종(edema)이 있는 경우, 열을 적용하면 부종을 가중시키게 되어 금기사항이 된다.
축삭반사(axon reflex)는 국소열 적용에 의해 자극되어 나타나는 기전으로 하나의 방어기전으로 Bowden은 설명하고 있다.
표 2-2에서 왼편의 진통작용은 잘 알려진 효과이나 그 기전은 쉽게 설명되어지고 있지 않다. 전신에 열을 적용하면 순화의 증진, 혈압의 증가, 호흡증가, 풍부한 발한, 신장에서 노폐물 제거하는 기능이 증가하고 진정효과와 근육이완 등의 효과가 나타난다.
혈관 확장이 일어나는 기전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복사에 의한 혈관 확장 외에도 신경, 호르몬, 국소화학 작용 등 여러 가지 기전이 있다(표 2-3).
표 2-3. 피부혈관의 수축과 확장을 일으키는 여러 가지 기전
기전 형태
혈관 수축
혈관 확장
신 경
교감신경
축삭반사
호르몬
L-epinephrin norepinephrin
Bradykinin Acetylcholine
국소화학작용
미확인된 대사물질
CO, O2, 히스타민
복 사
X-선
자외선, 적외선
2) 치료적 효과와 금기증
(1) 치료적 효과
진통(analgesia) : 국소열의 가장 보편적인 치료적 효과는 동통완화라 할 수 있다. 특히 국소열은 관절염이나 근육 외상으로 인한 통증에 효과가 높다. 근육외상에 의한 동통은 근경축(muscle spasm)이 나타나는데, 열 적용으로 근육을 이완시키므로 동통완화 및 진정효과를 부분적으로 유도한다.
혈류증가(increase of blood flow) : 상처(wounds)나 궤야(ulcers)의 치유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열 적용을 하기도 한다. 열을 적용하면 혈류증가를 일으켜 식균작용(phagocytosis)이 증가하고 식세포(phagocytes)와 항체(antibody)의 공급이 증가된다. 혈류의 증가는 열이 가해지는 부분에서 열을 대류(convection)시키며 신체의 다른 부분에 열을 옮기게 된다. 그러므로 만일 혈관장애(vascular disorder)가 있으면 열의 대류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열이 축적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진정(sedation) : 미온의 열을 오랫동안 적용하면 진정효과를 나타낸다. 그 밖에 운동, 신장, 견인 및 도수치료를 하기 전에 열치료를 하여 치료효율을 증진시키도록 한다.
(2) 금기증
급성 염증, 급성 외상에서는 열 적용을 금해야 되며 심한 부종이 있을 경우 금기가 된다.
또한 순환의 장애가 있을 때는 주의깊게 열적용을 할 수 있으나 원칙적으로 금기사항이며 특히 정맥이나 동맥순환의 폐쇄가 있을 때는 열 적용을 해서는 안된다.
악성종양(malignancy)이거나 이러한 의심이 있을 경우에는 종양 부위에 신진대사의 증가로 더 악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치료를 피해야 한다. 신경손상으로 감각이 없거나 둔한 경우, 어린아이, 정신질환자 그리고 노쇠한 사람에게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비뇨기질환, 혈관장애가 있을 때, 인체의 넓은 부위에 열을 적용하는 경우도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3) 치료기술
물리치료에서 이용되고 있는 열치료의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전도열(conductive heat, 또는 접촉열) 치료로서 서로 온도차가 있는 물체가 접촉하면 열의 이동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치료다.
열의 이동으로 인체에 적용되는 열의 양은 온도와 치료시간에 좌우된다.
예를 들면 온습포, 초욕, 회전욕 등 수치료의 많은 방법이 전도열에 의한 온열치료이다.
둘째, 복사열(radiant heat) 치료로서 열원에서 열입자(광자)가 튀어나와 인체에서 열이 적용되는 방법을 이용한 치료다.
복사열은 열원, 열원과 피부의 거리 그리고 치료시간 등에 의해 적용되는 열의 양이 좌우된다.
예를 들면 광선치료 중 적외선등 및 열등(빛이 나는 등)이 이에 해당된다.
셋째는 대류열(convective heat) 치료로서 액체나 기체에서 집단운동에 의해 열을 적용하는 치료이다.
대류열의 강도는 유동체의 운동속도, 유동체의 점착도, 농도, 비열 및 열의 접촉성 등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면 습욕(moist air baths), 온기욕(hot air baths) 등 수치료의 일부 치료기술이 해당된다.
넷째는 전환열(conversive heat) 치료로서 전자기 에너지나 초음파 에너지가 인체에 침투되어 에너지 전환이 나타나 심부에서 열이 발생되는 치료이다.
열의 발생은 전자기 에너지의 종류, 인체조직의 함수량 및 비열 등에 의해 좌우된다. 예를 들면 단파 투열치료(S.W.D), 극초단파 투열치료(M.W.D), 초음파 치료(U.S) 등이 해당된다.
온열치료의 시간은 보통 30∼40분이다. 그러나 온열 적용시 치료효과는 조정되어야 하며, 또한 온열치료 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방법을 고려하여 치료시간을 정하도록 한다.
온열 적용시 온도(강도)는 환자의 진단 및 신체적 조건에 좌우되며 환자가 편안한 감각을 느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주기는 하루에 2회에서부터 3∼4회 치료까지 다양하며 열 적용 방법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치료적 효과가 나타나도록 치료시간이나 강도를 고려하여 치료주기를 결정하여야 한다.
다음은 열치료시 처방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1) 열원
(2) 치료부위
(3) 치료시 환자 자세
(4) 치료시간
(5) 열의 강도
(6) 치료주기
(7) 주의사항
(8) 치료방법에 따른 특수기술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1.01.12
  • 저작시기20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3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