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파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T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
REMOTE_USER
서버가 사용자 인증을 지원하고, 스크립트가 그 확인을 요청한다면, 이것이 확인된 사용자이름이 됩니다.
REMOTE_IDENT
서버가 RFC931 사용자 확인을 지원한다면 서버로부터 발췌된 사용자 이름이 이 환경변수에 저장된다. 이 변수 의 용도는 로그인에만 한정됩니다.
CONTENT_LENGTH
POST방식일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넘겨 지는 사용자 입력의 길이를 표시합니다.
CONTENT_TYPE
POST방식을 이용하여 검색문에 정보가 들어있는 경우에 그 정보의 타입을 나타냅니다.
HTTP_USER_AGENT
클라이언트의 사용 프로그램(웹브라우저)을 표시합니다. (끝)
Volume
사용자가 실제로 웹서버로부터 가져간 데이터량을 기록한 것으로 단위는 Byte다. 실제 전송된 데이터량이기 때문에 앞의 Status가 200카테고리인 경우에만 기록되며, 그외의 경우, 즉 전송된 데이터의 양이 0인 경우에는 "-"으로 기록된다. (Request의 명령이 HEAD인 경우에는 Status가 200이라도 데이터량은 0으로 계산되어 "-"가 기록된다.)
파일 목록
cgi.pl - 공유 라이브러리.
config.pl - 환경 파일.
shared.pl - 공유 라이브러리.
statsbar.gif - 그래픽으로 출력하기위한 그림.
error.pl - 에러분석 스크립트.
month.pl - 월별분석.
stats.pl - 전체(일반) 분석.
today.pl - 일별분석
week.pl - 요일분석
year.pl - 년별분석
weblog.dbm - config.pl 파일에서 DNS lookup 과 DNS File 옵션을 1로 설정하면 DNS lookup 정보를 DB로 저장하게되어 다음 스크립트 실행시 같은 주소를 가진주소에대해서는 DNS lookup을 하지않는다. 이것은 최초 접속했을때보다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
자료처리 Flow
week.pl, month.pl등 여러 가지 파일리스트가 있으나 여기에서 stats.pl 파일로 본 프로그램의 계략적인 흐름도를 살펴본다.
로그파일 열기
로그파일(access_log)을 읽은 이후에 Perl프로그램 내에서 분석을 해야 하므로 특정 변수에 기억되어 있어야 한다. 먼저 log 파일을 읽기용으로 열고, 한 번에 한 줄씩 읽으면서 무언가를 해서 마지막 줄까지 읽는 구조를 살펴본다.
요소별 구분
로그파일의 각 행을 읽은 내용은 INN 변수에 기억이 되고, 이렇게 얻어진 내용은 split 함수에 의해서 각 항목을 @felter 변수에 각 요소별로 구분이 가능하다.
요소별 접속횟수
홈페이지의 주소와 날자를 분리하여 카운트 한다.
요소별 출력형식
로그파일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면 그 내용을 분석하여 HTML 형태로 출력하는데 특정 파일이 얼마나 읽혀졌는지를 측정하기위해 이에 관련된 횟수를 기록한다음 기록된 값에 의해 HTML문서를 만들 수 있
다. 로그파일의 정보는 시간에 따라 페이지의 읽혀진 횟수를 그래프화 시켜 이미지로 출력할 수도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1.11.14
  • 저작시기20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