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핑의 정의와 역사
1-1 도핑의 유래와 정의
1-2 도핑의 역사
2. 약물 도핑의 현상
2-1 금지 약물
2-2 신약 개발과 도핑 테스트의 악순환
2-3 혈액 도핑
3. 도핑의 문제점
3-1 의학적, 건강상의 이유
3-2 도덕적, 윤리적인 문제
4. 벤 존슨 사건에 즈음하여
4-1 선수 한 사람의 책임인가?
4-2 올림픽 상업주의
4-3 도핑 검사의 모순
5. 일본의 현상
1-1 도핑의 유래와 정의
1-2 도핑의 역사
2. 약물 도핑의 현상
2-1 금지 약물
2-2 신약 개발과 도핑 테스트의 악순환
2-3 혈액 도핑
3. 도핑의 문제점
3-1 의학적, 건강상의 이유
3-2 도덕적, 윤리적인 문제
4. 벤 존슨 사건에 즈음하여
4-1 선수 한 사람의 책임인가?
4-2 올림픽 상업주의
4-3 도핑 검사의 모순
5. 일본의 현상
본문내용
식을 갖추고 그 대응책을 강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맺는말
몬트리올 올림픽 대회에서 메달을 박탈당한 동독 선수에서 상징되고 있는 것처럼 사회주의 여러 나라의 선수들은 약물에 의지하여서까지 국가의 위신을 걸고 메달 획득을 노려왔는데, 이제 「국가를 위하여」라고 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동기 즉, 스스로의 경기력을 상품으로 팔려고 하는 비즈니스를 위하여 부작용이라는 위험을 각오하면서도 약물을 사용한다고 하는 비인도적인 비참한 상황이 창출되고 있다.
최근의 미국 언론 보도에 의하면 「이 약을 사용하면 금메달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는 힘이 붙는다. 그러나 5년 후에는 사망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을 사용하겠는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올림픽 선수의 약 반수가 「죽어도 좋으니 사용하고 싶다」
) 朝日新聞, 1989年8月19日付記事.
라고 대답하였다. 「죽도록 미친듯이」「죽을 마음으로 버틴다」「필사」등의 표현은 일본 스포츠계에서도 잘 사용되는 용어인데, 이 말은 사실 죽음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금메달을 위해서 죽음도 각오하고 약물을 사용한다면 이는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광란의 세계라고 밖에 할 수 없다.
그리고 톱클래스 경기자의 태반이 이상한 세계로 몰입되어 간다고 하면 규정을 지키고 정정당당하게 싸우겠다고 말하는 정상적인 선수는 스포츠 세계에서 이단자가 되고 만다. 즉, 「이상 가운데 정상은 이상이다」라는 패러독스(paradox)로 혼란에 빠지게 된다. 우리가 걱정할 정도로 선수들이 죄의식이 없다는 것은 그들 간에 도핑이 상식화되었기 때문이다.
올림픽으로 대표되는 국제 경기 대회가 국가주의와 상업주의를 배경으로 할 경우 인간의 극한점에 도전하는 것이 숙명이란 말과 같은 스포츠 구조가 존재하는 한 이 상황은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약물 사용과 검사의 악순환은 앞으로 점점 고도화하고 지능화되어 갈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中村
) 中村敏雄, 「ド-ピング事件の敎示」, 體育科敎育, 1988年12月號, p.54.
진전된 연구를 위한 참고문헌
1) J. スコット (片岡曉夫譯), 「現代スポ-ツへの警告」, 不昧堂出版, 1976.
2) ジェフリ-·ミラ- (官川毅譯), 「オリンピックの內幕」, サイマル出版會, 1980.
3) W. フレイリ- (近藤良享他譯), 「スポ-ツモラル」, 不昧堂出版, 1989.
4) D. S. バット (淺田隆夫, 松田義幸譯), 「文明としてのスポ-ツ」日本經濟新聞社, 1978.
5) ラルフ·J·サボック (大神訓章, 久保正秋他譯), 「ザ·コ-チ」, 日本文化出版, 1988.
6) 中條一雄, 「たかがスポ-ツ」, 朝日新聞社, 1981.
7) 近藤良享, 島崎直樹, 「W. P. フレイリ-の『最善の行爲を選擇する方法論』に關する硏究」, 體育·スポ-ツ哲學硏究, 11-2, 1989, pp.93-102.
8) 西村淸和, 「遊びの現象學」, 勁草書房, 1989.
9) スポ-ツ·サイエンス, 「特集, スポ-ツと藥物」, 1987年12月號, ソニ-企業株式會社.
10) A. トムリンソン, G. ファンネル編著 (阿里浩平譯), 「ファイブリンング·サ-カス」, 植書房, 1984.
11) ピ-タ-·マッキントッシュ著 (水野忠文譯), 「フェアプレイ」, ベ-スボ-ル·マガジン社, 1983.
12) H. レ-ルス著 (長谷川守男監譯), 「遊戱とスポ-ツ」, 玉川大學出版部, 1987.
13) ベンジャミン·G. レイダ-著 (川口智久監譯, 平井肇譯), 「スペクテイタ-スポ-ツ」, 大修館書店, 1987.
14) 川本信正, 「スポ-ツの現代史」, 大修館書店, 1976.
15) ポ-ル·ワイス著 (片岡曉夫譯), 「スポ-ツとはなにか」, 不昧堂出版, 1985.
16) 岡田晃, 黑田善雄 編著, 「ド-ピングの現狀·現實を語る」, ブックハウスHD, 1990.
17) 長谷川公之, 山本茂, 「衝擊」, 全國朝日放送株式會社 (テレビ朝日), 1990.
18) 黑田善雄, 河野一郎 監譯, 「スポ-ツと藥物使用」, 文光堂, 1991.
영 문
1) Robert L. Simon, "Good Competition and Drug-Enhanced Performance", William J. Morgan and Klaus V. Meire (ed.), Philosophic Inquiry in sport,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1988. pp.289-296.
2) W. M. Brown, "Paternalism, Drugs, and the Nature of Sports", Ibid. pp.297-305.
3) Clifton Perry, "Blood Doping and Athletic Competition", Ibid. pp.307-311.
4) Poul B. Thompson, "Privacy and the Urinalysis Testing of Athletes", Ibid. pp.313-317.
5) John M. Hoberman, "Sport and Technological Image of Man", Ibid. pp.319-327.
6) Koji Takenaka, "Drug Problem in American Athletes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體育學硏究, Vol.34-1, pp.1-13.
는 올림픽이 프로 선수에 대하여 오픈된 사실을 밟고서 「드디어 도핑도 금지에서 완화로 그리고 용인으로의 길을 가는 것이 아닌가?」하는 예측을 하는데 역대 IOC 회장이 「참가에의 의의」를 주장하고 완고하게 지켜 온 아마추어리즘이 사마란치 회장의 출현에 의하여 간단히 프로 선수의 도입으로 교체된 현실을 생각하면 그와 같은 상황의 전개가 오지 않는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 때 벤 존슨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그러나 어떠한 상황이 전개되더라도 도핑은 스포츠의 승리를 위하여 약물 투여라는 인위적 수단에 의하여 인간적 자연(human nature, 인간 본성)을 근저에서 뒤집는 비인간적 행위임에 틀림없다. 경기 스포츠는 「자동적으로 건전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지혜와 노력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入口 豊)
맺는말
몬트리올 올림픽 대회에서 메달을 박탈당한 동독 선수에서 상징되고 있는 것처럼 사회주의 여러 나라의 선수들은 약물에 의지하여서까지 국가의 위신을 걸고 메달 획득을 노려왔는데, 이제 「국가를 위하여」라고 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동기 즉, 스스로의 경기력을 상품으로 팔려고 하는 비즈니스를 위하여 부작용이라는 위험을 각오하면서도 약물을 사용한다고 하는 비인도적인 비참한 상황이 창출되고 있다.
최근의 미국 언론 보도에 의하면 「이 약을 사용하면 금메달을 확실하게 획득할 수 있는 힘이 붙는다. 그러나 5년 후에는 사망하게 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을 사용하겠는가?」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올림픽 선수의 약 반수가 「죽어도 좋으니 사용하고 싶다」
) 朝日新聞, 1989年8月19日付記事.
라고 대답하였다. 「죽도록 미친듯이」「죽을 마음으로 버틴다」「필사」등의 표현은 일본 스포츠계에서도 잘 사용되는 용어인데, 이 말은 사실 죽음을 전제로 한 것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금메달을 위해서 죽음도 각오하고 약물을 사용한다면 이는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 광란의 세계라고 밖에 할 수 없다.
그리고 톱클래스 경기자의 태반이 이상한 세계로 몰입되어 간다고 하면 규정을 지키고 정정당당하게 싸우겠다고 말하는 정상적인 선수는 스포츠 세계에서 이단자가 되고 만다. 즉, 「이상 가운데 정상은 이상이다」라는 패러독스(paradox)로 혼란에 빠지게 된다. 우리가 걱정할 정도로 선수들이 죄의식이 없다는 것은 그들 간에 도핑이 상식화되었기 때문이다.
올림픽으로 대표되는 국제 경기 대회가 국가주의와 상업주의를 배경으로 할 경우 인간의 극한점에 도전하는 것이 숙명이란 말과 같은 스포츠 구조가 존재하는 한 이 상황은 쉽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약물 사용과 검사의 악순환은 앞으로 점점 고도화하고 지능화되어 갈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中村
) 中村敏雄, 「ド-ピング事件の敎示」, 體育科敎育, 1988年12月號, p.54.
진전된 연구를 위한 참고문헌
1) J. スコット (片岡曉夫譯), 「現代スポ-ツへの警告」, 不昧堂出版, 1976.
2) ジェフリ-·ミラ- (官川毅譯), 「オリンピックの內幕」, サイマル出版會, 1980.
3) W. フレイリ- (近藤良享他譯), 「スポ-ツモラル」, 不昧堂出版, 1989.
4) D. S. バット (淺田隆夫, 松田義幸譯), 「文明としてのスポ-ツ」日本經濟新聞社, 1978.
5) ラルフ·J·サボック (大神訓章, 久保正秋他譯), 「ザ·コ-チ」, 日本文化出版, 1988.
6) 中條一雄, 「たかがスポ-ツ」, 朝日新聞社, 1981.
7) 近藤良享, 島崎直樹, 「W. P. フレイリ-の『最善の行爲を選擇する方法論』に關する硏究」, 體育·スポ-ツ哲學硏究, 11-2, 1989, pp.93-102.
8) 西村淸和, 「遊びの現象學」, 勁草書房, 1989.
9) スポ-ツ·サイエンス, 「特集, スポ-ツと藥物」, 1987年12月號, ソニ-企業株式會社.
10) A. トムリンソン, G. ファンネル編著 (阿里浩平譯), 「ファイブリンング·サ-カス」, 植書房, 1984.
11) ピ-タ-·マッキントッシュ著 (水野忠文譯), 「フェアプレイ」, ベ-スボ-ル·マガジン社, 1983.
12) H. レ-ルス著 (長谷川守男監譯), 「遊戱とスポ-ツ」, 玉川大學出版部, 1987.
13) ベンジャミン·G. レイダ-著 (川口智久監譯, 平井肇譯), 「スペクテイタ-スポ-ツ」, 大修館書店, 1987.
14) 川本信正, 「スポ-ツの現代史」, 大修館書店, 1976.
15) ポ-ル·ワイス著 (片岡曉夫譯), 「スポ-ツとはなにか」, 不昧堂出版, 1985.
16) 岡田晃, 黑田善雄 編著, 「ド-ピングの現狀·現實を語る」, ブックハウスHD, 1990.
17) 長谷川公之, 山本茂, 「衝擊」, 全國朝日放送株式會社 (テレビ朝日), 1990.
18) 黑田善雄, 河野一郎 監譯, 「スポ-ツと藥物使用」, 文光堂, 1991.
영 문
1) Robert L. Simon, "Good Competition and Drug-Enhanced Performance", William J. Morgan and Klaus V. Meire (ed.), Philosophic Inquiry in sport, Human Kinetics Publishers, Inc. 1988. pp.289-296.
2) W. M. Brown, "Paternalism, Drugs, and the Nature of Sports", Ibid. pp.297-305.
3) Clifton Perry, "Blood Doping and Athletic Competition", Ibid. pp.307-311.
4) Poul B. Thompson, "Privacy and the Urinalysis Testing of Athletes", Ibid. pp.313-317.
5) John M. Hoberman, "Sport and Technological Image of Man", Ibid. pp.319-327.
6) Koji Takenaka, "Drug Problem in American Athletes -The psychological background-", 體育學硏究, Vol.34-1, pp.1-13.
는 올림픽이 프로 선수에 대하여 오픈된 사실을 밟고서 「드디어 도핑도 금지에서 완화로 그리고 용인으로의 길을 가는 것이 아닌가?」하는 예측을 하는데 역대 IOC 회장이 「참가에의 의의」를 주장하고 완고하게 지켜 온 아마추어리즘이 사마란치 회장의 출현에 의하여 간단히 프로 선수의 도입으로 교체된 현실을 생각하면 그와 같은 상황의 전개가 오지 않는다고 할 수 없는 것이다. 그 때 벤 존슨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그러나 어떠한 상황이 전개되더라도 도핑은 스포츠의 승리를 위하여 약물 투여라는 인위적 수단에 의하여 인간적 자연(human nature, 인간 본성)을 근저에서 뒤집는 비인간적 행위임에 틀림없다. 경기 스포츠는 「자동적으로 건전하게 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인간의 지혜와 노력에 의하여 유지되는 것이라는 점을 재확인하지 않으면 안된다.
(入口 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