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머릿말
2 . 철학이란 무엇인가?
3 . 진리개념
4 . 진리인식의 과정 -칸트 이전까지
5 . 순수 이성 비판의 길
6 . 선험적 종합 판단과 시간 공간론
7 . 선험적 분석론 -범주-
8 . 맺음말
2 . 철학이란 무엇인가?
3 . 진리개념
4 . 진리인식의 과정 -칸트 이전까지
5 . 순수 이성 비판의 길
6 . 선험적 종합 판단과 시간 공간론
7 . 선험적 분석론 -범주-
8 . 맺음말
본문내용
백종현,"실재와 경험적 인식"「철학」제34호 1990년 가을,p.78.
13) Ibid.,p.96.
14) F.Kaulbach,『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 체계』 백종현 譯(서울 : 서광사 1992),p.115.
15) Ibid.,p.121.
16) '순수 이성 비판' Kritik der reinen Vernunft 의 독일어 표현에서 Genitiv인 der는 소유와 목적의 두가지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 그래서 하나는 '순수 이성이 비판한다'는 의미가 있을수 있고 다른 하나는 '순수 이성을 비판한다.'는 의미가 있을수 있다. 흔히 이 둘을 합해서 '순수 이성이 순수 이성을 비판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17) Ibid.,pp.119∼120.
18) J.Hirschberger,『서양 철학사 下』강성위 譯(대구 : 이문 출판사 1991),p.405.
19)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Selby-Bigge,p.165.,S.쾨르너 『칸트의 비판철학』강영계 譯(서울 : 서광사1983),p.16. 재인용
20) F.Kaulbach,『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 체계』 백종현 譯(서울 : 서광사 1992),pp.109∼110.
21) Ibid.,pp 110∼111.
22) I.Kant , < Critique of Pure Reason >,trans.N.K.Smith,(New York : Macmillian & Co ltd 1963) Аⅶ -이하 C.P.R -
23) J.Hirschberger『서양 철학사 下』,p.407.
24) a priori , 일상적으로 선천적(先天的)으로 번역되어온 이말은 그문맥에서의 부당성과 애매성 때문에 바꿔져야할 것이다. 어의상 으로는 '보다 이전의' 라는 의미이고 이것의 켤레말인 '아 포스테오리'(a posteori)는 '나중의' 라는 의미가 있다. 우리 학계에서 이를 선천적으로 사용한 것은 잘못된 일본식 번역의 답습이였고 이것과 관련 있어 보이는 데카르트의 '본유관념'(idea innata)과 맺어진 애매함 때문이였다. 데카르트는 '사물','진리','의식'등과같은 '본유관념'에서의 '본유적'(inntus)을 '나자신의 본성에서 부터'(at ispamet mea natura)라고 설명함으로써 라이프니츠와 로크가 서로 엇갈린 해석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하였다. 칸트는 이것의 오해를 없애기 위해 '아 프리오리'를 '선천적' 혹은 '생래적'이라고 불릴수 있는 '안게보렌'(angeboren,connatus,innatus)과 주의 깊게 구분하고 있다.(『순수 이성 비판』 A 67,B 91 ; A 85, B 118 참조) 이런 의미에서 볼때 '아 프리오리/아 포스테오리'는 경험을 기준으로 각각 '경험보다 앞서의 /경험보다 나중의'의 뜻이 있다. 그러므로 '아 프리오리'는 선험적이라함이 적합할것이다. - 백종현 교수 "칸트에서의 '선험적'과 '초월적'의 의미" 『칸트 비판철학의 형성과전과 체계』,부록 3 ,pp.311∼314. -
25) C.P.R. B 19
26) C.P.R. B 10∼11
27) J.Hirschberger , 『서양 철학사 下』,p.407.
28) Ibid.,p.411.
29) C.P.R. B 29
30) '트란첸델탈'(tranzendental)과 같은 어근의 '트란첸덴트'(tranzendent)는 각가 '초월하다' 또는 '넘어가다'의 뜻을 지닌 라틴어 '트란첸데레'(transcendere)에서 파생된 독일어 어휘이다. 철학적 문맥에서는 스콜라 학파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는데 근세이후 두낱말이 서로 분리되어 쓰이고 있음을 고려하여 '트란첸덴트'는 '초재적'(超在的) '혹은 감각 경험을 벗어나 있는'의 의미에서 '초험적'(超驗的)이라고 쓰며 '트란첸덴탈'만을 '초월적'이라고 번역 하여 양자를 구분함이 합당하다고 본다. - 백종현 교수"칸트에서 '선험적'과 '초험적'의 의미"『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p.315.
31) 여기서 Asthetik이라는 말은 그저 α?ισθησι?의 본래의 뜻 그대로, 단순히 감각적인 지각에 관한 이론이지, 미학이 아니다.
32 op.cit.,p.128.
33) C.P.R. B 36
34) 시간에 있어서도 칸트는 공간과 거의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초월적 감성론론 2장 4절리'시간 부분에서 시간에 대해 첨가된 설명은 다음과같다. "일반적인 시간의 원리들조차도 선험적 필연성에 근거하고 있다. 시간은 오직 1차원이다. 다른 시간들이 동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연이어서 시간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경험에서 파생되어 나올수없는 원리이다." - C.P.R. B 47
35) 직관(Intuition,Anschauung)이라는 말은 직관하는 행위와 직관되어진 것의 두가지의미를 지닐 수 있다. 칸트는 이를 주로 두번째 의미로 사용했지만 때때로 이를 첫번째의 의미로 쓰기도 했다. - F.Copleston.A histort of philosophy VoⅥ (New York : Bantam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1985),p.235. -
36) C.P.R. B 38∼40
37) C.P.R. B 45
38) C.P.R. B 59
39) 일반적으로 '오성'이라고 쓰여졌던 이 말은 최근 여려 번역에서는 '지성'으로 바뀌어서 쓰이고 있다. 오성(悟性)은 깨닭는 능력을 말하는데 원래 칸트가 사용한 'Verstand'와 영어의 'Understand'의 의미를 생각 할때 오히려 지성이라고 번역 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리라 생각 된다. 칸트가 지성의 독일어 번역어로서 택한 라틴어말은 'intellectual'로서 'Verstand'를 이것의 번역어로 설정한 것이다.
40) C.P.R. B 74
41) J.Hirschberger, 『서양 철학사 上』 강성위 譯(대구 : 이문 출판사,1983),pp.216∼217.
42) C.P.R. B 95
43) D.W.Hemlen, 『인식론의 역사』 이태하 譯(서울 : 소나무 1991),p.93.
44) F.Kaulbach 『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pp134∼135.
45) bid.,pp.136∼138.
13) Ibid.,p.96.
14) F.Kaulbach,『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 체계』 백종현 譯(서울 : 서광사 1992),p.115.
15) Ibid.,p.121.
16) '순수 이성 비판' Kritik der reinen Vernunft 의 독일어 표현에서 Genitiv인 der는 소유와 목적의 두가지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다. 그래서 하나는 '순수 이성이 비판한다'는 의미가 있을수 있고 다른 하나는 '순수 이성을 비판한다.'는 의미가 있을수 있다. 흔히 이 둘을 합해서 '순수 이성이 순수 이성을 비판한다'고 말하기도 한다.
17) Ibid.,pp.119∼120.
18) J.Hirschberger,『서양 철학사 下』강성위 譯(대구 : 이문 출판사 1991),p.405.
19) An Enquiry Concerning Human Understanding,Selby-Bigge,p.165.,S.쾨르너 『칸트의 비판철학』강영계 譯(서울 : 서광사1983),p.16. 재인용
20) F.Kaulbach,『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 체계』 백종현 譯(서울 : 서광사 1992),pp.109∼110.
21) Ibid.,pp 110∼111.
22) I.Kant , < Critique of Pure Reason >,trans.N.K.Smith,(New York : Macmillian & Co ltd 1963) Аⅶ -이하 C.P.R -
23) J.Hirschberger『서양 철학사 下』,p.407.
24) a priori , 일상적으로 선천적(先天的)으로 번역되어온 이말은 그문맥에서의 부당성과 애매성 때문에 바꿔져야할 것이다. 어의상 으로는 '보다 이전의' 라는 의미이고 이것의 켤레말인 '아 포스테오리'(a posteori)는 '나중의' 라는 의미가 있다. 우리 학계에서 이를 선천적으로 사용한 것은 잘못된 일본식 번역의 답습이였고 이것과 관련 있어 보이는 데카르트의 '본유관념'(idea innata)과 맺어진 애매함 때문이였다. 데카르트는 '사물','진리','의식'등과같은 '본유관념'에서의 '본유적'(inntus)을 '나자신의 본성에서 부터'(at ispamet mea natura)라고 설명함으로써 라이프니츠와 로크가 서로 엇갈린 해석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하였다. 칸트는 이것의 오해를 없애기 위해 '아 프리오리'를 '선천적' 혹은 '생래적'이라고 불릴수 있는 '안게보렌'(angeboren,connatus,innatus)과 주의 깊게 구분하고 있다.(『순수 이성 비판』 A 67,B 91 ; A 85, B 118 참조) 이런 의미에서 볼때 '아 프리오리/아 포스테오리'는 경험을 기준으로 각각 '경험보다 앞서의 /경험보다 나중의'의 뜻이 있다. 그러므로 '아 프리오리'는 선험적이라함이 적합할것이다. - 백종현 교수 "칸트에서의 '선험적'과 '초월적'의 의미" 『칸트 비판철학의 형성과전과 체계』,부록 3 ,pp.311∼314. -
25) C.P.R. B 19
26) C.P.R. B 10∼11
27) J.Hirschberger , 『서양 철학사 下』,p.407.
28) Ibid.,p.411.
29) C.P.R. B 29
30) '트란첸델탈'(tranzendental)과 같은 어근의 '트란첸덴트'(tranzendent)는 각가 '초월하다' 또는 '넘어가다'의 뜻을 지닌 라틴어 '트란첸데레'(transcendere)에서 파생된 독일어 어휘이다. 철학적 문맥에서는 스콜라 학파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는데 근세이후 두낱말이 서로 분리되어 쓰이고 있음을 고려하여 '트란첸덴트'는 '초재적'(超在的) '혹은 감각 경험을 벗어나 있는'의 의미에서 '초험적'(超驗的)이라고 쓰며 '트란첸덴탈'만을 '초월적'이라고 번역 하여 양자를 구분함이 합당하다고 본다. - 백종현 교수"칸트에서 '선험적'과 '초험적'의 의미"『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p.315.
31) 여기서 Asthetik이라는 말은 그저 α?ισθησι?의 본래의 뜻 그대로, 단순히 감각적인 지각에 관한 이론이지, 미학이 아니다.
32 op.cit.,p.128.
33) C.P.R. B 36
34) 시간에 있어서도 칸트는 공간과 거의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초월적 감성론론 2장 4절리'시간 부분에서 시간에 대해 첨가된 설명은 다음과같다. "일반적인 시간의 원리들조차도 선험적 필연성에 근거하고 있다. 시간은 오직 1차원이다. 다른 시간들이 동시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연이어서 시간이 있는 것이다. 이것은 경험에서 파생되어 나올수없는 원리이다." - C.P.R. B 47
35) 직관(Intuition,Anschauung)이라는 말은 직관하는 행위와 직관되어진 것의 두가지의미를 지닐 수 있다. 칸트는 이를 주로 두번째 의미로 사용했지만 때때로 이를 첫번째의 의미로 쓰기도 했다. - F.Copleston.A histort of philosophy VoⅥ (New York : Bantam Doubleday Dell Publishing Group,1985),p.235. -
36) C.P.R. B 38∼40
37) C.P.R. B 45
38) C.P.R. B 59
39) 일반적으로 '오성'이라고 쓰여졌던 이 말은 최근 여려 번역에서는 '지성'으로 바뀌어서 쓰이고 있다. 오성(悟性)은 깨닭는 능력을 말하는데 원래 칸트가 사용한 'Verstand'와 영어의 'Understand'의 의미를 생각 할때 오히려 지성이라고 번역 하는 것이 더욱 타당하리라 생각 된다. 칸트가 지성의 독일어 번역어로서 택한 라틴어말은 'intellectual'로서 'Verstand'를 이것의 번역어로 설정한 것이다.
40) C.P.R. B 74
41) J.Hirschberger, 『서양 철학사 上』 강성위 譯(대구 : 이문 출판사,1983),pp.216∼217.
42) C.P.R. B 95
43) D.W.Hemlen, 『인식론의 역사』 이태하 譯(서울 : 소나무 1991),p.93.
44) F.Kaulbach 『칸트 비판 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pp134∼135.
45) bid.,pp.136∼138.
추천자료
발도로프
선험적 자아와 본능적 초월성
동양사상사
인간학에 대하여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
실 용 주 의
칼 만하임에 관하여
결의론, 공동체주의 윤리학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발도르프 학교(슈타이너 학교)
[신관][동양][서양][이슬람교][원시시대][단군신화][칼빈주의][보나벤투라]동양의 신관, 서양...
[오렘간호이론] 오렘의 8개 보편적 자기간호필수요소 적용 1) 주어진 이론에 대해 정리 2) 대...
[인간과 교육 공통] 1. 후기 현대철학적 인간이해의 관점에서 강조되고 있는 인간관의 특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