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논
Ⅱ. 대만에서의 퇴계학 연구
Ⅲ. 중국에서의 퇴계학 연구
Ⅳ. 결 논
Ⅱ. 대만에서의 퇴계학 연구
Ⅲ. 중국에서의 퇴계학 연구
Ⅳ. 결 논
본문내용
書房, 1986. 12.
○ 田博元, 「李退溪的經世思想」, 이퇴계철학의 역사적 위치 (筑波大
제8회 대회논문집), 동경, 東洋書房, 1986. 12.
○ 丁寶蘭, 「論李退溪人性論的特色, 이퇴계철학의 역사적 위치
(筑波大 제8회대회논문집), 동경, 東洋書房, 1986. 12.
○ 張立文, 「李退溪理動論探索」, 퇴계학보 54, 1987. 10.
○ 辛冠潔, 「論儒家的聖人觀和李退溪爲聖之道」, 퇴계학보 55,
1987. 7
○ 高令印, 「李退溪的心學和眞西山的心經」, 퇴계학보 55, 1987. 10.
○ 楊憲邦, 「李退溪和朱憙性情觀的異同」, 퇴계학보 56, 1987. 12.
○ 崔龍水, 「李滉與朱憙的方法之比較」,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簡博賢, 「易學象數述微」,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饒宗 , 「退溪四端七情分理氣書闡義」,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李錦全, 「正己正人·成人成物」,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丁寶蘭, 「朱李之學和社會現代化」,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徐遠和, 「李退溪與心經」,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蒙培元, 「論李退溪的情感哲學」, 퇴계학보 58-59, 1988. 9. (제
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張立文, 「주자와 退·栗의 道心人心說批評」, 퇴계학보 60,
1988. 12.
○ 步近智, 「퇴계학과 明代朱子」, 퇴계학보 60, 1988. 12.
○ 蒙培元, 「이퇴계의 心性論槪述」, 퇴계학보 62, 1989. 6.
○ 徐遠和, 「이퇴계의 直覺觀에 대한 略論」 퇴계학보 62, 1989. 6.
-34-
1986년 제11차 대회는 북경인민대학에서 개최됨으로써 퇴계학의 사상적인 연원지에서 張岱年 교수를 비롯하여 18명의 학자들이 퇴계학 논문을 발표하였다.
-35-
李退溪的理氣論 葛榮晋
試論李·奇四七理氣之辯 馬振鐸
李退溪理氣觀分析 崔龍水
略論李退溪的格物論 步近智
李退溪論格物致知的認識論意義 瑪增銓
李退溪關于心的闡釋學 蒙培元
退溪論士 潘富恩
退溪先生的重民思想及其歷史貢獻 喬長路
略論退溪學的形成與發展 徐遠和
退溪學在儒學中的地位 楊憲邦
論朝鮮新儒學論理思想的特色
及其在新儒學論理思想史上的地位 李洪淳
略論朝鮮性理學與李退溪 朱七星
由 學到退溪學 高令印
朱憙與退溪理之比較 李甦平
朱子與退溪價値觀之比較 張立文
儒家人生哲學簡論 方立天
論儒學現代轉化的必要性和可能性 樓宇烈
儒學與現代化 張岱年
1990년 모스크바(과학원)에서 열린 제12차 회의에서는 신관결 교수를 비롯하여 장립문, 몽배원, 누우열 교수가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조선족 학자 李洪淳, 黃有福 교수 역시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 확인된 중국 학자의 퇴계학 연구 논문은 총 55편이고 그 잠정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철학 일반
비 교
연구 방법
논 리
교 육
사 회
현대 의의
기 타
23
14
4
2
2
2
2
6
① 대만의 문학(10), 예학(2), 생애(2), 사학(3)이 빠지고 그 대신 논리, 교육, 사회 방면이 추가되었다.
② 비교연구는 대만이 주로 주자 비교인데 비하여 중국에서는 보다 폭넓은 성리학 일반이 특징이다.
-36-
그리고 중국 학자들의 퇴계학 연구에 대한 열의는 「퇴계학술상」의 시상제도와도 크게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상금(본상 1만 달러, 학술상 5천 달러)의 규모 면으로 보면 중국학자의 수년간의 연봉에 해당되기 때문에 연구 유인책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 역대퇴계학술상 수상자(*표는 중국계 학자)
'85년 제1회 丁淳睦(韓)·高橋 進(日)·王甦(臺灣)*
'87년 제2회 全斗河(韓)·張立文(中)*·M.Kalton(美)
'89년 제3회 劉明鍾(韓)·辛冠潔(中)*·蒙培元(中)
'91년 제4회 尹絲淳(韓)·權五鳳(韓)·步近智 (中)*·高令印(中)*
지금까지 4회의 시상을 거치는 동안 총 13명의 수상자 가운데 중국 학자가 5명이고 대만 학자가 1명이다.
Ⅳ. 結 論
중국 학자들은 「퇴계학」의 사회과학적 관심을 대략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첫째로, 퇴계학과 같은 유교적 자본주의 관념철학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하는 문제.
둘째로, 퇴계의 「敬의 철학」이 어떻게 하는 자본주의 퇴폐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
셋째로, 중국의 현대유학의 부흥과 퇴계학의 연계로 새로운 시대철학으로서의 적합성 문제
이상과 같은 <문제>는 실상 그들이 퇴계학을 과대평가 하거나 아니면 한국의 경제발전을 지나치게 높게 인정한 결과인지 모른다. 실지로 한국의 경제성장에 퇴계학이 기여했다는 증거는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은 유교도덕주의와 유교자본주의 어느 면에서고 성공한 나라가 못된다. 그러나 우리가 퇴계학으로써 인간과 세계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세계의 지성과 더불어 서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은 아직은 희망이 있다는 증거이다. 그렇다고 하여 퇴계학이 이 시대의 「구원의 철학」이라거나 인류를 대표하는 예지의 샘이라고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부터 5백여 년 전에 동방의 한 시골에서 70년간 참 사람됨의 길을 걷고 또 참 앎의 길이 무엇인가를 질문한 성실성이 이 시대의 인간들에게 주는 소박한 '메세지'이고 이것을 우리는 재해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37-
대만은 물론이고 중국의 퇴계학 연구의 기반은 상당할 정도로 조성되었다. 중국에서의 퇴계서절요 (총론/정치론/심성론/이기론/윤리론/교육론)의 보급은 더 많은 연구 인원을 배출할 것이며 白話文退·퇴계전서 가 四川대학의 賈順先 교수의 주도로 완결단계에 있으므로 대학생을 위시한 많은 청년퇴계학도의 출현도 멀지 않았다고 본다. 국제 퇴계학회 중국지부의 결성·유학생의 교류·중국학회와의 교류(특히 공자기금회, 주자학회, 주희연구중심 등) 등의 문제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최근 李秀雄 교수(건국대)의 朱憙與李退溪詩比較硏究 라는 저서가 북경대학 출판부에서 출간('91. 2)되었는데, 이 또한 퇴계학 학술교류에 기억될 만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
○ 田博元, 「李退溪的經世思想」, 이퇴계철학의 역사적 위치 (筑波大
제8회 대회논문집), 동경, 東洋書房, 1986. 12.
○ 丁寶蘭, 「論李退溪人性論的特色, 이퇴계철학의 역사적 위치
(筑波大 제8회대회논문집), 동경, 東洋書房, 1986. 12.
○ 張立文, 「李退溪理動論探索」, 퇴계학보 54, 1987. 10.
○ 辛冠潔, 「論儒家的聖人觀和李退溪爲聖之道」, 퇴계학보 55,
1987. 7
○ 高令印, 「李退溪的心學和眞西山的心經」, 퇴계학보 55, 1987. 10.
○ 楊憲邦, 「李退溪和朱憙性情觀的異同」, 퇴계학보 56, 1987. 12.
○ 崔龍水, 「李滉與朱憙的方法之比較」,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簡博賢, 「易學象數述微」,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饒宗 , 「退溪四端七情分理氣書闡義」,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李錦全, 「正己正人·成人成物」,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丁寶蘭, 「朱李之學和社會現代化」,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徐遠和, 「李退溪與心經」, 퇴계학보 58-59, 1988. 9. (제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蒙培元, 「論李退溪的情感哲學」, 퇴계학보 58-59, 1988. 9. (제
10회 퇴계학회의 발표문)
○ 張立文, 「주자와 退·栗의 道心人心說批評」, 퇴계학보 60,
1988. 12.
○ 步近智, 「퇴계학과 明代朱子」, 퇴계학보 60, 1988. 12.
○ 蒙培元, 「이퇴계의 心性論槪述」, 퇴계학보 62, 1989. 6.
○ 徐遠和, 「이퇴계의 直覺觀에 대한 略論」 퇴계학보 62, 1989. 6.
-34-
1986년 제11차 대회는 북경인민대학에서 개최됨으로써 퇴계학의 사상적인 연원지에서 張岱年 교수를 비롯하여 18명의 학자들이 퇴계학 논문을 발표하였다.
-35-
李退溪的理氣論 葛榮晋
試論李·奇四七理氣之辯 馬振鐸
李退溪理氣觀分析 崔龍水
略論李退溪的格物論 步近智
李退溪論格物致知的認識論意義 瑪增銓
李退溪關于心的闡釋學 蒙培元
退溪論士 潘富恩
退溪先生的重民思想及其歷史貢獻 喬長路
略論退溪學的形成與發展 徐遠和
退溪學在儒學中的地位 楊憲邦
論朝鮮新儒學論理思想的特色
及其在新儒學論理思想史上的地位 李洪淳
略論朝鮮性理學與李退溪 朱七星
由 學到退溪學 高令印
朱憙與退溪理之比較 李甦平
朱子與退溪價値觀之比較 張立文
儒家人生哲學簡論 方立天
論儒學現代轉化的必要性和可能性 樓宇烈
儒學與現代化 張岱年
1990년 모스크바(과학원)에서 열린 제12차 회의에서는 신관결 교수를 비롯하여 장립문, 몽배원, 누우열 교수가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조선족 학자 李洪淳, 黃有福 교수 역시 참가하여 논문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 확인된 중국 학자의 퇴계학 연구 논문은 총 55편이고 그 잠정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철학 일반
비 교
연구 방법
논 리
교 육
사 회
현대 의의
기 타
23
14
4
2
2
2
2
6
① 대만의 문학(10), 예학(2), 생애(2), 사학(3)이 빠지고 그 대신 논리, 교육, 사회 방면이 추가되었다.
② 비교연구는 대만이 주로 주자 비교인데 비하여 중국에서는 보다 폭넓은 성리학 일반이 특징이다.
-36-
그리고 중국 학자들의 퇴계학 연구에 대한 열의는 「퇴계학술상」의 시상제도와도 크게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상금(본상 1만 달러, 학술상 5천 달러)의 규모 면으로 보면 중국학자의 수년간의 연봉에 해당되기 때문에 연구 유인책으로서는 무시할 수 없는 요인이다.
) 역대퇴계학술상 수상자(*표는 중국계 학자)
'85년 제1회 丁淳睦(韓)·高橋 進(日)·王甦(臺灣)*
'87년 제2회 全斗河(韓)·張立文(中)*·M.Kalton(美)
'89년 제3회 劉明鍾(韓)·辛冠潔(中)*·蒙培元(中)
'91년 제4회 尹絲淳(韓)·權五鳳(韓)·步近智 (中)*·高令印(中)*
지금까지 4회의 시상을 거치는 동안 총 13명의 수상자 가운데 중국 학자가 5명이고 대만 학자가 1명이다.
Ⅳ. 結 論
중국 학자들은 「퇴계학」의 사회과학적 관심을 대략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첫째로, 퇴계학과 같은 유교적 자본주의 관념철학이 한국의 경제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하는 문제.
둘째로, 퇴계의 「敬의 철학」이 어떻게 하는 자본주의 퇴폐문화를 극복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
셋째로, 중국의 현대유학의 부흥과 퇴계학의 연계로 새로운 시대철학으로서의 적합성 문제
이상과 같은 <문제>는 실상 그들이 퇴계학을 과대평가 하거나 아니면 한국의 경제발전을 지나치게 높게 인정한 결과인지 모른다. 실지로 한국의 경제성장에 퇴계학이 기여했다는 증거는 찾기 힘들기 때문이다. 더구나 한국은 유교도덕주의와 유교자본주의 어느 면에서고 성공한 나라가 못된다. 그러나 우리가 퇴계학으로써 인간과 세계에 관한 근원적인 질문을 세계의 지성과 더불어 서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은 아직은 희망이 있다는 증거이다. 그렇다고 하여 퇴계학이 이 시대의 「구원의 철학」이라거나 인류를 대표하는 예지의 샘이라고 하여서는 안 될 것이다. 지금부터 5백여 년 전에 동방의 한 시골에서 70년간 참 사람됨의 길을 걷고 또 참 앎의 길이 무엇인가를 질문한 성실성이 이 시대의 인간들에게 주는 소박한 '메세지'이고 이것을 우리는 재해석하지 않으면 안 된다.
-37-
대만은 물론이고 중국의 퇴계학 연구의 기반은 상당할 정도로 조성되었다. 중국에서의 퇴계서절요 (총론/정치론/심성론/이기론/윤리론/교육론)의 보급은 더 많은 연구 인원을 배출할 것이며 白話文退·퇴계전서 가 四川대학의 賈順先 교수의 주도로 완결단계에 있으므로 대학생을 위시한 많은 청년퇴계학도의 출현도 멀지 않았다고 본다. 국제 퇴계학회 중국지부의 결성·유학생의 교류·중국학회와의 교류(특히 공자기금회, 주자학회, 주희연구중심 등) 등의 문제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최근 李秀雄 교수(건국대)의 朱憙與李退溪詩比較硏究 라는 저서가 북경대학 출판부에서 출간('91. 2)되었는데, 이 또한 퇴계학 학술교류에 기억될 만한 일이라고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