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들어가는 말
Ⅰ.전통과 관습의 문화정책
Ⅱ.문화정책의 현황
2.맺는 말
Ⅰ.전통과 관습의 문화정책
Ⅱ.문화정책의 현황
2.맺는 말
본문내용
Film and Television Fund)을 관리하면서 새로운 영화, 새로운 인력을 지원하는 동시에, AFI(Australian Film Institute), NFTA(National Film Theatre), Film-makers Co-operative(단편영화의 배급, 상영 협동조직), Video Access Center, Public Broadcasting Station과 같은 영상문화와 영상산업의 저변을 확대시킬 수 있는 기관과 단체들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호주의 비주류영화에 대한 지원 중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특기할 만한 점은 여성인력을 육성하고 페미니즘 영화가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과 정책기구가 있고,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우선 여성 영화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 국립학교인 AFTRS에서는 정규 코스에서 여학생들을 교육시키는 것 외에도 여성영화인 워크샵을 특별 기획하여 여성들을 교육시킴으로써 프로듀서, 감독 등 영화제작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을 배출시켰다. 그리고 이들 여성들이 영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작비를 지원하는 Women's Film Fund를 1980년에 CDB 산하에 설치하였고, 1984년 AFC 조직 개편 때는 Film Development Division 산하에 CDB와 같은 위상으로 독립시켜 지원하고, Film Porduction Division(Film Australia의 후신) 산하에 여성영화제작팀인 Women's Film Unit을 설치하여 직접 제작을 해 나갔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정책적 지원의 결과, 호주에서는 영화산업 내에서 주요 역할(프로듀서, 감독, 영화산업 및 정책 기구의 책임자 등)을 담당하는 유능한 여성인력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이러한 여성 친화적인 영화산업 내에서 제작된 진보적인 페미니즘 영화들은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과 상업적 성공 양자를 모두 거머쥐는 성과를 올렸다.
비주류 영화 지원정책으로 80년대에는 특히 여성영화를 지원했다면,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새로운 이민집단을 위시한 소수집단들의 영화제작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아시아계 이민 출신들이 그들의 역사와 경험을 담아 내는 영화의 제작도 지원하고 있지만, 소수집단 중에서는 특히 호주 원주민들의 영화제작을 많이 지원하고 있다. 원주민들이 토지권리 회복운동 등 원주민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억압되어 온 그들의 역사와 삶의 양식도 역시 새롭게 구성되는 호주의 문화적 정체성 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FC는 94년에 원주민 지부(Indigenous Branch)를 신설하여 원주민 출신 영화인력의 영화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 2)주정부의 영화 제작지원 기구들 -
연방국가인 호주의 영화산업은 우리 나라와는 달리 특정 지방이나 도시에 집중되어 있지 않다. 호주 전체의 영화제작 비용지출 비율을 중심으로 볼 때 주요 연방 영화정책기구의 본부가 집중되어 있는 시드니가 주도인 뉴사우스웨일즈주가 전체의 43%(1992년)이고, 빅토리아주가 35%, 퀸즈랜드주는 12%를 차지하고 있다. 시드니와 멜버른이 양대 중심지이기는 하나 다른 주에서도 영화를 제작하고 있고, 주정부가 각기 영화제작을 지원하는 주정부 기구들 역시 활동을 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영화정책기구가 정비되던 시기인 1970년대 초 중반부터 시작해서 각 주에 SAFC(The South Australian Film Corporation), VFC(Victorian Film Commission → 이후 Film Victoria로 바뀜), NSWFC(New South Wales Film Corporation), TFC(Tasmanian Film Corporation), QFC(Queensland Film Corporation), WAFC(West Australian Film Council)와 같은 주정부 영화지원기구들이 설립되어 주정부 지역의 영화제작을 지원했다. 이들 주정부 차원의 지원기구들 중에서는 SAFC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서 호주영화사에 남는 중요한 영화들을 많이 제작했다.
호주에서는 이들 주정부 차원의 지원 조직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했기 때문에 연방 지원기구가 집중되어 있는 시드니와 VFC가 시드니 집중 경향에 맞서 적극적인 노력을 벌인 멜버른을 중심으로 해서 호주영화가 발전되게 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도 서울에만 영화산업이 집중되어 있고 지방에는 어떠한 제작기반도 없는 우리의 상황과 비교하면 각 주정부의 역할은 주목할 만하다.
<맺음말>
호주의 문화정책 중 대표적인 영화정책을 중심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영상문화 및 영화산업 지원정책과 기구를 살펴보았다. 70년대 이후 호주에서는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국가의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화'정책이 문화 '산업'정책과 더불어 추진되었다. 이는 영화산업 내에서 호주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문화'를 강조하는 민족주의적 세력들과 보편성을 강조하고 '경제'를 강조하는 국제주의자들 사이에 형성된 힘의 균형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80년대 중후반 이후 영화산업 내에서 경제논리를 강조하면서 국가의 개입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국제주의자들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세계화의 확산과 더불어 정치와 경제 전반에 신자유주의가 대두하면서 호주의 영화정책 역시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 공공복지기금에의 의존에서 탈피시키기 위해서 국가가 지원을 축소하고, 영화산업의 합리화, 민영화를 추진하고, 국제적 합작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호주는 한국과는 달리 약 20여 년 이상 국가가 적극 개입하여 마련해 놓은 기반이 있고, 대립적인 세력의 양측 모두가 자신의 논리와 전략을 발전시키면서 상보적인 역할을 해 왔기 때문에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 속에서 '경제'논리에 의해 쉽게 '문화'가 압살되지는 않을 것이다. 호주보다 20여 년 뒤에 영화산업의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상황에서 보자면 세계체제의 국면도, 영상테크놀로지도 변했지만, 호주의 영화정책, 문화정책이 타산지석으로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함의는 여전히 크다고 할 것이다.
호주의 비주류영화에 대한 지원 중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특기할 만한 점은 여성인력을 육성하고 페미니즘 영화가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금과 정책기구가 있고,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우선 여성 영화인력을 육성하기 위해서 국립학교인 AFTRS에서는 정규 코스에서 여학생들을 교육시키는 것 외에도 여성영화인 워크샵을 특별 기획하여 여성들을 교육시킴으로써 프로듀서, 감독 등 영화제작의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인력을 배출시켰다. 그리고 이들 여성들이 영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제작비를 지원하는 Women's Film Fund를 1980년에 CDB 산하에 설치하였고, 1984년 AFC 조직 개편 때는 Film Development Division 산하에 CDB와 같은 위상으로 독립시켜 지원하고, Film Porduction Division(Film Australia의 후신) 산하에 여성영화제작팀인 Women's Film Unit을 설치하여 직접 제작을 해 나갔다. 이러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정책적 지원의 결과, 호주에서는 영화산업 내에서 주요 역할(프로듀서, 감독, 영화산업 및 정책 기구의 책임자 등)을 담당하는 유능한 여성인력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이러한 여성 친화적인 영화산업 내에서 제작된 진보적인 페미니즘 영화들은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과 상업적 성공 양자를 모두 거머쥐는 성과를 올렸다.
비주류 영화 지원정책으로 80년대에는 특히 여성영화를 지원했다면, 90년대에 이르러서는 다문화주의에 입각하여 새로운 이민집단을 위시한 소수집단들의 영화제작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아시아계 이민 출신들이 그들의 역사와 경험을 담아 내는 영화의 제작도 지원하고 있지만, 소수집단 중에서는 특히 호주 원주민들의 영화제작을 많이 지원하고 있다. 원주민들이 토지권리 회복운동 등 원주민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상황에서 그간 억압되어 온 그들의 역사와 삶의 양식도 역시 새롭게 구성되는 호주의 문화적 정체성 속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FC는 94년에 원주민 지부(Indigenous Branch)를 신설하여 원주민 출신 영화인력의 영화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 2)주정부의 영화 제작지원 기구들 -
연방국가인 호주의 영화산업은 우리 나라와는 달리 특정 지방이나 도시에 집중되어 있지 않다. 호주 전체의 영화제작 비용지출 비율을 중심으로 볼 때 주요 연방 영화정책기구의 본부가 집중되어 있는 시드니가 주도인 뉴사우스웨일즈주가 전체의 43%(1992년)이고, 빅토리아주가 35%, 퀸즈랜드주는 12%를 차지하고 있다. 시드니와 멜버른이 양대 중심지이기는 하나 다른 주에서도 영화를 제작하고 있고, 주정부가 각기 영화제작을 지원하는 주정부 기구들 역시 활동을 하고 있다. 연방정부의 영화정책기구가 정비되던 시기인 1970년대 초 중반부터 시작해서 각 주에 SAFC(The South Australian Film Corporation), VFC(Victorian Film Commission → 이후 Film Victoria로 바뀜), NSWFC(New South Wales Film Corporation), TFC(Tasmanian Film Corporation), QFC(Queensland Film Corporation), WAFC(West Australian Film Council)와 같은 주정부 영화지원기구들이 설립되어 주정부 지역의 영화제작을 지원했다. 이들 주정부 차원의 지원기구들 중에서는 SAFC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서 호주영화사에 남는 중요한 영화들을 많이 제작했다.
호주에서는 이들 주정부 차원의 지원 조직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했기 때문에 연방 지원기구가 집중되어 있는 시드니와 VFC가 시드니 집중 경향에 맞서 적극적인 노력을 벌인 멜버른을 중심으로 해서 호주영화가 발전되게 되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수도 서울에만 영화산업이 집중되어 있고 지방에는 어떠한 제작기반도 없는 우리의 상황과 비교하면 각 주정부의 역할은 주목할 만하다.
<맺음말>
호주의 문화정책 중 대표적인 영화정책을 중심으로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영상문화 및 영화산업 지원정책과 기구를 살펴보았다. 70년대 이후 호주에서는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국가의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문화'정책이 문화 '산업'정책과 더불어 추진되었다. 이는 영화산업 내에서 호주의 특수성을 강조하고 '문화'를 강조하는 민족주의적 세력들과 보편성을 강조하고 '경제'를 강조하는 국제주의자들 사이에 형성된 힘의 균형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80년대 중후반 이후 영화산업 내에서 경제논리를 강조하면서 국가의 개입에 대해 비판적이었던 국제주의자들의 세력이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세계화의 확산과 더불어 정치와 경제 전반에 신자유주의가 대두하면서 호주의 영화정책 역시 이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정부 공공복지기금에의 의존에서 탈피시키기 위해서 국가가 지원을 축소하고, 영화산업의 합리화, 민영화를 추진하고, 국제적 합작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호주는 한국과는 달리 약 20여 년 이상 국가가 적극 개입하여 마련해 놓은 기반이 있고, 대립적인 세력의 양측 모두가 자신의 논리와 전략을 발전시키면서 상보적인 역할을 해 왔기 때문에 신자유주의적 정책 기조 속에서 '경제'논리에 의해 쉽게 '문화'가 압살되지는 않을 것이다. 호주보다 20여 년 뒤에 영화산업의 부흥기를 맞이하고 있는 오늘날의 한국 상황에서 보자면 세계체제의 국면도, 영상테크놀로지도 변했지만, 호주의 영화정책, 문화정책이 타산지석으로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함의는 여전히 크다고 할 것이다.
추천자료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해외진출 현황 및 지원정책
프랑스와 영국의 對 EU정책 비교 연구
[여성복지][여성복지정책][여성정책][여성복지서비스][여성문제]여성복지정책의 실현전제와 ...
[과학기술][과학기술정책][과학기술발전][과학][기술][영국][일본][독일][중국]영국의 과학기...
[영국][영국 문화][영국의 문화][영국 종교][영국 언어][영국 예술][잉글랜드][영국 관광지]...
주요 국가별, 외국의 다문화교육 정책 동향, 현황
대처정부의 신자유주의 정책 -영국의 신자유주의 정책 분석과 함의 고찰
[영국정부, 산업조직체계]영국정부의 현대화, 영국정부의 산업조직체계, 영국정부의 민영화정...
[민영화정책][영국 민영화정책][독일 민영화정책][프랑스 민영화정책][뉴질랜드 민영화정책][...
다문화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제언 (폭넓은 다문화 가족을 위한 포용)
[영국英國 정책 평가제도] 영국 정책 평가제도 도입배경, 영국 정책 평가제도 분석, 한국 정...
영국의 사회복지정책의 발전과정을 기록하시오 (영국의 사회복지정책)
프랑스의 다문화 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