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발달사
1 일제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지역공동기금과 협의회발달시기
3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
4 지역사회조직의 정리시대
2. 한국의 발달사
1 일제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일제시대의 지역사회복지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1 일제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지역공동기금과 협의회발달시기
3 공공복지사업의 발전시기
4 지역사회조직의 정리시대
2. 한국의 발달사
1 일제 이전의 지역사회복지
2 일제시대의 지역사회복지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본문내용
되었다. 오늘날의 한국의 사회복지는 8.15의 기쁨과 6.25의 아픔 속에서 새롭게 발전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공동모금 기관은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지만 실제로의 활동은 거의 없다. 이 것은 시민과 사회복지기관의 협동조직으로 주요기능은
첫째,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가맹기관을 위한 자금을 수집, 체산편성 후, 가맹기관에 분배하는 것이고 둘째.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와 보건및 오락사업의 협동적인 계획, 조정 및 관리를 추진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공동모금은 아직까지는 완전히 정착된 단계가 아니며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공동모금은 지역사회 주민들로 하여금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6.25 동란중 외국의 7개 기관이 모여 KAVA를 만들었다. 1964년에 으르러 KAVA의 회원단체는 70여 기관으로 늘어났고, 이중 28개 단체는 교육, 보건, 구호 및 지역사회개발의 사업 등에 직접적인 유대를 가지 기관들이었고, 42개 단체는 기독교적 종교사업에 치중하면서 우리 나라 복지발전에 많은 이바지를 하였다. 이들 외원 기관은 특히 지역사회조직 등 지역사회복지를위한 활동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나, 반면에 부작용도 많았다.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새마을 운동과 함께 민간의 자주적인 협동노력이 아니라 당주도의 우오순적 운동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분명한 한게를 갖는다.
이 시대의 사회사업교육은 이화여자대학을 필두로 과가 생기기 시작했고, 교육은 거의 미국의 과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공동모금 기관은 한국사회복지공동모금회지만 실제로의 활동은 거의 없다. 이 것은 시민과 사회복지기관의 협동조직으로 주요기능은
첫째, 지역사회 전체를 대상으로 가맹기관을 위한 자금을 수집, 체산편성 후, 가맹기관에 분배하는 것이고 둘째.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와 보건및 오락사업의 협동적인 계획, 조정 및 관리를 추진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공동모금은 아직까지는 완전히 정착된 단계가 아니며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공동모금은 지역사회 주민들로 하여금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6.25 동란중 외국의 7개 기관이 모여 KAVA를 만들었다. 1964년에 으르러 KAVA의 회원단체는 70여 기관으로 늘어났고, 이중 28개 단체는 교육, 보건, 구호 및 지역사회개발의 사업 등에 직접적인 유대를 가지 기관들이었고, 42개 단체는 기독교적 종교사업에 치중하면서 우리 나라 복지발전에 많은 이바지를 하였다. 이들 외원 기관은 특히 지역사회조직 등 지역사회복지를위한 활동에도 많은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나, 반면에 부작용도 많았다.
우리나라의 지역사회개발사업은 새마을 운동과 함께 민간의 자주적인 협동노력이 아니라 당주도의 우오순적 운동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분명한 한게를 갖는다.
이 시대의 사회사업교육은 이화여자대학을 필두로 과가 생기기 시작했고, 교육은 거의 미국의 과정과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 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