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노벨상의 유래와 선정 과정
1. 유래
2. 선정 과정
Ⅱ. 노벨상의 허실과 수상의 거부
1. 노벨상의 허와 실
2. 수상의 거부와 수상자의 인생 명암
Ⅲ. 노벨상의 전망
1. 유래
2. 선정 과정
Ⅱ. 노벨상의 허실과 수상의 거부
1. 노벨상의 허와 실
2. 수상의 거부와 수상자의 인생 명암
Ⅲ. 노벨상의 전망
본문내용
s D. Watson), 클리크(Francis H.C. Crick), 윌킨스(Maurice Wilkins)가 노벨상을 받을 때까지 살지 못하고 죽어서 결국 노벨상을 타지 못했다. 개인에 대한 수상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 점도 문제다. 20세기 후반에 들어오면서 과학연구 자체가 점점 공동연구의 형태를 띠고 있어가고 있고, 특히 가속기 연구소에서의 연구와 같은 거대과학의 연구에서는 한 연구에 약 100명이상이 참가하는 등 집단적인 연구가 심화되고 있으나 노벨상은 계속 개인에 대한 수상만을 고집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무선전신을 발명한 굴리엘모 마르코니 (Guglielmo Marconi)와 브라운 (Karl Braun), 그리고 천연색 사진을 발명한 가브리엘 리프만 (Gabriel Lippmann) 등은 공학적인 발명을 해서 노벨상을 받았었다. 그러나 발명자체가 기업과 국가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된 20세기 후반에 와서는 노벨의 유언에 맞도록 특정 발명에 노벨상을 주기란 상당히 힘들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컴퓨터 기술을 비롯한 공학이 인류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도, 언제까지나 순수과학에만 노벨상을 제한해도 되겠느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사회가 다원화되고 수많은 학제간 분야가 새로 만들어지면서, 20세기초에 확립된 분야인 물리학, 화학, 생리학 등으로는 다양해진 과학 분야를 모두 포괄할 수 없게 되어 가는 것도 21세기를 맞으면서 노벨상이 변신을 요구받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노벨상은 그 상이 지닌 높은 권위 때문에 그 선정 자체가 20세기 과학의 향방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19세기말의 과학기술 관점에서 제정되었고, 20세기의 과학과 함께 지내왔으며, 또 20세기의 학문적 토양에서 제도화된 노벨상이 21세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대처하고, 또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은 계속 주목해볼 만한 흥미 있는 주제라고 생각된다.
※ 참고 자료
강석기, 노벨상 100년 오점들(기사), 동아일보 2000,10.12
강석기, 두 번째 수상자 누가 될까(기사), 과학동아 2000.12
강석기, 화려한 영광 뒤에 가려진 또 다른 얼굴(기사), 과학동아 2000.11
김훈기, 나치 불임 수술 노벨상 수상자도 협력 의혹(기사), 과학동아 2000.10
백경학, 노벨상 수상 이후 바뀐 인생 명암(기사), 동아일보 2000.10.19
∇인터넷 관련 사이트 : www.postech.ac.kr
초창기에는 무선전신을 발명한 굴리엘모 마르코니 (Guglielmo Marconi)와 브라운 (Karl Braun), 그리고 천연색 사진을 발명한 가브리엘 리프만 (Gabriel Lippmann) 등은 공학적인 발명을 해서 노벨상을 받았었다. 그러나 발명자체가 기업과 국가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된 20세기 후반에 와서는 노벨의 유언에 맞도록 특정 발명에 노벨상을 주기란 상당히 힘들게 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컴퓨터 기술을 비롯한 공학이 인류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지고 있는데도, 언제까지나 순수과학에만 노벨상을 제한해도 되겠느냐는 반론도 제기되고 있다. 또한 사회가 다원화되고 수많은 학제간 분야가 새로 만들어지면서, 20세기초에 확립된 분야인 물리학, 화학, 생리학 등으로는 다양해진 과학 분야를 모두 포괄할 수 없게 되어 가는 것도 21세기를 맞으면서 노벨상이 변신을 요구받고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노벨상은 그 상이 지닌 높은 권위 때문에 그 선정 자체가 20세기 과학의 향방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19세기말의 과학기술 관점에서 제정되었고, 20세기의 과학과 함께 지내왔으며, 또 20세기의 학문적 토양에서 제도화된 노벨상이 21세기라는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대처하고, 또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은 계속 주목해볼 만한 흥미 있는 주제라고 생각된다.
※ 참고 자료
강석기, 노벨상 100년 오점들(기사), 동아일보 2000,10.12
강석기, 두 번째 수상자 누가 될까(기사), 과학동아 2000.12
강석기, 화려한 영광 뒤에 가려진 또 다른 얼굴(기사), 과학동아 2000.11
김훈기, 나치 불임 수술 노벨상 수상자도 협력 의혹(기사), 과학동아 2000.10
백경학, 노벨상 수상 이후 바뀐 인생 명암(기사), 동아일보 2000.10.19
∇인터넷 관련 사이트 : www.postech.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