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목차
Ⅰ. 머리말
1. 개요
① 미국소매업계의 현황
② 월마트의 현황
2. Wal-Mart의 시대별 성장과정
3. 신업태 진출
Ⅱ-1. Wal-Mart의 저가격 저비용 전략
1. ELP 및 ELC 정책
2. 협력업체와의 관계강화
♠ 사례분석- 월마트와 P&G와의 전략동맹
Ⅱ-2 월마트의 정보시스템
1. 정보시스템의 도입현황
2. 하이테크의 적극도입·활용
3. QR(Quick Response)
4. 배송센터를 핵으로 한 공급시스템
Ⅱ-3. 경쟁업체와의 비교
1 k마트와 월마트의 공급력 비교
2. 경비율에서 시어즈의 1/2정도로 저가격 실현
3. k마트와 매일 저비용 운영 비교
4. 저가격 이전에 경비율 인하 경쟁에서 k마트 추월
5. 월마트의 대진격 비결은 압도적인 저경비율
1. 개요
① 미국소매업계의 현황
② 월마트의 현황
2. Wal-Mart의 시대별 성장과정
3. 신업태 진출
Ⅱ-1. Wal-Mart의 저가격 저비용 전략
1. ELP 및 ELC 정책
2. 협력업체와의 관계강화
♠ 사례분석- 월마트와 P&G와의 전략동맹
Ⅱ-2 월마트의 정보시스템
1. 정보시스템의 도입현황
2. 하이테크의 적극도입·활용
3. QR(Quick Response)
4. 배송센터를 핵으로 한 공급시스템
Ⅱ-3. 경쟁업체와의 비교
1 k마트와 월마트의 공급력 비교
2. 경비율에서 시어즈의 1/2정도로 저가격 실현
3. k마트와 매일 저비용 운영 비교
4. 저가격 이전에 경비율 인하 경쟁에서 k마트 추월
5. 월마트의 대진격 비결은 압도적인 저경비율
본문내용
현재 세계는 가격파괴라는 조류에 휘말리고 있다. 가격파괴는 창고대개방, 바겐세일, 재고정리 등과 같이 일시적인 기간에 걸쳐 행해지는 기존의 할인판매가 아니다. 정상적인 품질의 상품에 대해 정상가격에서 대폭 인하된 저 가격을 1년 내내 유지하면서 대량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세계시장의 단일화, 생산기지의 글로벌화 등의 추세가 보편화됨에 따라 가격파괴의 진원지인 미국에서뿐만 아니라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세계 각지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어서 신사복, 숙녀복, 구두, 화장품 등 주요 일상용품으로부터 TV, 냉장고, 오디오, VTR 등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범위에서 가격파괴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신 정부 출범 이후 계속적인 규제완화 및 `96년 유통시장 개방과 이에 대한 정부의 유통산업 육성성책 등에 따라 가격파괴현상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 속에서 현재 유통업계 뿐만이 아닌 전산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 그 기업은 바로 가격파괴현상의 선도기업으로 일컬어지는 미국의 체인스토어 『Wal - Mart』이다. 이 기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62년 창업 이후 「소비자 최우선」이라는 경영방침 아래 고품질의 상품을 저가에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자만족의 극대화는 물론 매출액 및 순이익 등 경영실적에서 경이적인 성장을 지속하여 `90년 이후 세계 최대 규모의 소매업체로서 현재까지 그 위치를 굳건히 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95년에는 매출액 1천억 달러를 넘어서고 90년대 말에는 GM, 엑슨 등 거대 제조업체들을 누르고 그 위에 군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Wal-Mart가 세계 최대의 기업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저가격정책(ELP : Everyday Low Price)`이라는 경영전략에 의한 것이다.
우리 조는 Wal-Mart가 세계 최고의 소매업체로서 성장하는 과정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저가격정책 및 그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한국에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격파괴현상에 대한 대처와 `96년 유통시장 개방에 따라 경쟁력 강화 등 대과 제를 안게 된 한국의 유통업계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 개 요
1962년 샘 월튼 씨는 아탄소주 벤론빌에서 디스카운트 스토어 1호점을 개점한 당시 `디스카운트 스토어는 지금까지의 버라이어티 스토어보다 소비자들로부터 반응이 아주 좋은, 소매업계가 기대하는 유망 산업이지만 박리다매인 디스카운트 기법은 도심과 부도심권에는 적합해도 시골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소매업계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전형적인 시골 출신의 월튼 회장은 `시골 사람들이 버라이어티 스토어 보다 상품 아이템이 더 많은 디스카운트 스토어에서 이름 있는 브랜드 상품을 디스카운트 가격으로 품절 없이 지속적으로 구입하기를 바란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월튼 회장은 업계 상식을 과감하게 깨고 시골 주민의 열망에 부응한 디스카운트 스토어 체인 전개에 도전했다.
① 미국 소매업계의 현황
미국 소매업계는 시어즈 소매부문과 K마트, 월마트, 빅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어즈는 현재 미국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1990년 1월 기준 전 미국
이러한 조류 속에서 현재 유통업계 뿐만이 아닌 전산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기업이 있다, 그 기업은 바로 가격파괴현상의 선도기업으로 일컬어지는 미국의 체인스토어 『Wal - Mart』이다. 이 기업이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62년 창업 이후 「소비자 최우선」이라는 경영방침 아래 고품질의 상품을 저가에 소비자에게 공급함으로써 소비자만족의 극대화는 물론 매출액 및 순이익 등 경영실적에서 경이적인 성장을 지속하여 `90년 이후 세계 최대 규모의 소매업체로서 현재까지 그 위치를 굳건히 해 오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95년에는 매출액 1천억 달러를 넘어서고 90년대 말에는 GM, 엑슨 등 거대 제조업체들을 누르고 그 위에 군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Wal-Mart가 세계 최대의 기업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것은 `저가격정책(ELP : Everyday Low Price)`이라는 경영전략에 의한 것이다.
우리 조는 Wal-Mart가 세계 최고의 소매업체로서 성장하는 과정과 이를 가능하게 했던 저가격정책 및 그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앞으로 한국에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격파괴현상에 대한 대처와 `96년 유통시장 개방에 따라 경쟁력 강화 등 대과 제를 안게 된 한국의 유통업계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 개 요
1962년 샘 월튼 씨는 아탄소주 벤론빌에서 디스카운트 스토어 1호점을 개점한 당시 `디스카운트 스토어는 지금까지의 버라이어티 스토어보다 소비자들로부터 반응이 아주 좋은, 소매업계가 기대하는 유망 산업이지만 박리다매인 디스카운트 기법은 도심과 부도심권에는 적합해도 시골은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소매업계의 일반적인 생각이었다.
그러나 전형적인 시골 출신의 월튼 회장은 `시골 사람들이 버라이어티 스토어 보다 상품 아이템이 더 많은 디스카운트 스토어에서 이름 있는 브랜드 상품을 디스카운트 가격으로 품절 없이 지속적으로 구입하기를 바란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월튼 회장은 업계 상식을 과감하게 깨고 시골 주민의 열망에 부응한 디스카운트 스토어 체인 전개에 도전했다.
① 미국 소매업계의 현황
미국 소매업계는 시어즈 소매부문과 K마트, 월마트, 빅 3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어즈는 현재 미국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영업활동을 하고 있으며 1990년 1월 기준 전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