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학교붕괴에 대한 이해
2.서구의 두가지 교육모형
3.학교교육의 내실화 방안-상생과 조화의 교육관
4.맺는 말
2.서구의 두가지 교육모형
3.학교교육의 내실화 방안-상생과 조화의 교육관
4.맺는 말
본문내용
배우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학교에 오지는 않았다. 따라서 많은 학생을, 그것도 배울 의욕이 거의 없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주어진 교육내용을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교육방법들이 연구되고 도입되었으며, 특히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교육이론이 교육학의 핵심 내용이 되었다. 우리가 해방이후 수입한 수많은 교육이론과 학습이론은 이러한 값싼 대중교육의 산물이었던 것이다. 특히 행동주의 교육학에서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것과 같이, 동물을 실험하여 만든 이론을 인간에게 적용할 수도 있다고 하는 발상 자체는 바로 이러한 값싼 대중교육을 상정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학습의욕이 없는 다중의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주어진 교육내용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목적에서 성립된 서구 근대 교육학은 "싸구려 교육학"이다. 물론 교육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아동들이 싸구려라고 하는 말은 결코 아니다. 그 학문의 동기, 즉 출발이 그렇다는 것이다. 서구 근대 교육학이후 우리가 교육에 대해 사용하는 언어는 교육의 언어가 아니라 시장의 언어가 되었다. 상품에 대해 말할 때는 그 언어가 아주 쓸모가 있을지 모르지만, 학생들의 존재 내부로 깊이 들어갈수록 그 언어는 무력해 진다. 학습전략, 효율성, 고부가가치, 다품종소량생산, 수요자 중심, 자립형 사립학교, 보상체제와 성과급 등의 대안은 결국 학교를 시장으로 만들겠다는 주장과 다름 아니다. 학교를 시장에 종속시키면 모든 학교는 돈이 지배하는 학원이 된다.
우리는 매우 빨리 달리는 말을 타고 질주하고 있다. 누가 우리에게 "어디로 가십니까?"하고 물으면 우리는 "나는 모릅니다. 말에게 물어보십시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이 말이 바로 理性이다. 우리는 폭탄이라는 말, 환경오염이라는 말, 유전자 조작이라는 말을 타고 있다. 가장 밝다고 생각되는 이성의 빛에는 이처럼 어둠의 맹점이 있다. 불교에서는 이를 無明이라고 부른다. 이성이나 의지의 힘으로만은 결코 이 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성이나 의지의 힘으로 무명에서 벗어나면 할수록 이기주의는 더욱 강해지고 자기로부터 헤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더 이상 교육이 서구 근대교육과 같이 인공적인 결핍을 만들어내고 경쟁을 유발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문명의 다양성을 파괴하고 생물학적 상호의존 그물을 찢는 것이 되어서도 안된다. 문화적 다양성은 생물학적 다양성과 마찬가지로 인류 생존의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의 극복 또한 다른 무엇보다 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에 있어서 발전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交感을 통한 인간의 변화를 의미한다. [周易]의 "澤山咸" 괘에는 "하늘과 땅이 교감하여 만물이 化生하고, 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천하가 和平하나니, 그 교감하는 바를 관찰하면 천지와 만물의 정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성인이란 오늘날 교사를 의미한다. 즉 상생과 조화를 통한 발전은 교사와 학생의 교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진리는 복잡하고 어려운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진리는 가장 쉽고 가까운 곳에 있다. 현실을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람들은 가깝고 쉬운 주장을 비현실적이라고 몰아 붙인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은 쉽고 가까운 것이다. 근본적인 것은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에 대한 주장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모두 학교와 교육의 본질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리를 체험하는 것이고, 그것은 교사와의 인격적 교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학교가 좋은 상품가치를 가진 학생들을 양성하는 곳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상호 경쟁하여야 한다는 현실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와 교육에 대해 본질적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비현실적인 신비주의자로 몰아 붙인다.
혹자는 말한다. "이처럼 타락한 사회에서 그런 본질적인 교육이 가능하겠는가?" 또 "이처럼 영악한 아이들이 그런 교육을 받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타락한 것은 사회와 어른이지 교육과 아이들은 아니다. 여전히 우리 아이들의 눈은 열려있고 무엇이든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다. 아이들의 눈은 언제나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고 작은 것에도 신비를 느낀다. 어른들은 푸른 하늘의 아름다움을 즐기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해야하지만, 아이들은 그것을 그저 즐길 수 있다. 오늘도 아이들은 해가 떠오르는 광경을 보고 아름다움을 느끼고, 담벽에 핀 장미를 보고 신비를 느낀다. 또한 아이들은 상품이 아니다. 생명은 결코 누구에게 소유될 수 없는 것이다. 세상의 부모들은 아이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아이들을 파괴해 왔다. 부모들은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욕망이다. 사랑은 욕망과는 다르다. 욕망은 맹목적이지만 사랑은 맹목적이지 않다. 사랑은 가장 분명한 통찰력, 신선한 눈을 준다. 삶이란 사랑 속에서 존재하고, 삶은 창조적인 일 속에 있으며,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의 존재를 이해하는 가운데에 있다. 아이는 부모를 통해 세상에 나왔지만 부모는 단지 통로일 뿐이다. 카릴 지부란이 말하듯이 아이들의 영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다. 부모들은 결코 찾아 갈 수 없는, 꿈속에도 찾아갈 수 없는 내일의 집에. 그래서 부모는 활이요, 그 활에서 아이들은 살아있는 화살처럼 미래로 날아간다.
라즈니쉬가 주장하듯 가을에 낙엽이 떨어질 때 학생들은 그 노래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비가 올 때 학생들은 비를 맞으며 춤을 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틱냥한이 [Being Peace]라는 책에서 말하듯 학생들은 종이 속에서 구름이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구름 없이는 물이 없고, 물 없이는 나무가 자랄 수 없으며, 나무가 없이는 종이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 안에 햇빛도 있고, 나무꾼도 있고, 나무꾼이 먹은 빵이 있고, 나무꾼의 아버지가 있음을 보아야 한다. 이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분리된 자아를 비울 수 있고, 전 우주에 가득 찰 수 있다.(끝)
학습의욕이 없는 다중의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주어진 교육내용을 가르칠 것인가 하는 목적에서 성립된 서구 근대 교육학은 "싸구려 교육학"이다. 물론 교육학의 연구 대상이 되는 아동들이 싸구려라고 하는 말은 결코 아니다. 그 학문의 동기, 즉 출발이 그렇다는 것이다. 서구 근대 교육학이후 우리가 교육에 대해 사용하는 언어는 교육의 언어가 아니라 시장의 언어가 되었다. 상품에 대해 말할 때는 그 언어가 아주 쓸모가 있을지 모르지만, 학생들의 존재 내부로 깊이 들어갈수록 그 언어는 무력해 진다. 학습전략, 효율성, 고부가가치, 다품종소량생산, 수요자 중심, 자립형 사립학교, 보상체제와 성과급 등의 대안은 결국 학교를 시장으로 만들겠다는 주장과 다름 아니다. 학교를 시장에 종속시키면 모든 학교는 돈이 지배하는 학원이 된다.
우리는 매우 빨리 달리는 말을 타고 질주하고 있다. 누가 우리에게 "어디로 가십니까?"하고 물으면 우리는 "나는 모릅니다. 말에게 물어보십시오"라고 대답할 수밖에 없다. 이 말이 바로 理性이다. 우리는 폭탄이라는 말, 환경오염이라는 말, 유전자 조작이라는 말을 타고 있다. 가장 밝다고 생각되는 이성의 빛에는 이처럼 어둠의 맹점이 있다. 불교에서는 이를 無明이라고 부른다. 이성이나 의지의 힘으로만은 결코 이 말에서 벗어날 수 없다. 이성이나 의지의 힘으로 무명에서 벗어나면 할수록 이기주의는 더욱 강해지고 자기로부터 헤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제 더 이상 교육이 서구 근대교육과 같이 인공적인 결핍을 만들어내고 경쟁을 유발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문명의 다양성을 파괴하고 생물학적 상호의존 그물을 찢는 것이 되어서도 안된다. 문화적 다양성은 생물학적 다양성과 마찬가지로 인류 생존의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위기의 극복 또한 다른 무엇보다 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에 있어서 발전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상호 交感을 통한 인간의 변화를 의미한다. [周易]의 "澤山咸" 괘에는 "하늘과 땅이 교감하여 만물이 化生하고, 聖人이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천하가 和平하나니, 그 교감하는 바를 관찰하면 천지와 만물의 정을 볼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성인이란 오늘날 교사를 의미한다. 즉 상생과 조화를 통한 발전은 교사와 학생의 교감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진리는 복잡하고 어려운 곳에 있는 것이 아니다. 진리는 가장 쉽고 가까운 곳에 있다. 현실을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사람들은 가깝고 쉬운 주장을 비현실적이라고 몰아 붙인다. 그러나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것은 쉽고 가까운 것이다. 근본적인 것은 비현실적인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학교에 대한 주장도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모두 학교와 교육의 본질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내면에 있는 진리를 체험하는 것이고, 그것은 교사와의 인격적 교감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학교가 좋은 상품가치를 가진 학생들을 양성하는 곳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상호 경쟁하여야 한다는 현실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래서 학교와 교육에 대해 본질적인 주장을 하는 사람들은 비현실적인 신비주의자로 몰아 붙인다.
혹자는 말한다. "이처럼 타락한 사회에서 그런 본질적인 교육이 가능하겠는가?" 또 "이처럼 영악한 아이들이 그런 교육을 받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타락한 것은 사회와 어른이지 교육과 아이들은 아니다. 여전히 우리 아이들의 눈은 열려있고 무엇이든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있다. 아이들의 눈은 언제나 놀라움으로 가득 차 있고 작은 것에도 신비를 느낀다. 어른들은 푸른 하늘의 아름다움을 즐기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해야하지만, 아이들은 그것을 그저 즐길 수 있다. 오늘도 아이들은 해가 떠오르는 광경을 보고 아름다움을 느끼고, 담벽에 핀 장미를 보고 신비를 느낀다. 또한 아이들은 상품이 아니다. 생명은 결코 누구에게 소유될 수 없는 것이다. 세상의 부모들은 아이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아이들을 파괴해 왔다. 부모들은 아이를 사랑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것은 사랑이 아니라 욕망이다. 사랑은 욕망과는 다르다. 욕망은 맹목적이지만 사랑은 맹목적이지 않다. 사랑은 가장 분명한 통찰력, 신선한 눈을 준다. 삶이란 사랑 속에서 존재하고, 삶은 창조적인 일 속에 있으며, 또한 학생들이 자신의 내면의 존재를 이해하는 가운데에 있다. 아이는 부모를 통해 세상에 나왔지만 부모는 단지 통로일 뿐이다. 카릴 지부란이 말하듯이 아이들의 영혼은 내일의 집에 살고 있다. 부모들은 결코 찾아 갈 수 없는, 꿈속에도 찾아갈 수 없는 내일의 집에. 그래서 부모는 활이요, 그 활에서 아이들은 살아있는 화살처럼 미래로 날아간다.
라즈니쉬가 주장하듯 가을에 낙엽이 떨어질 때 학생들은 그 노래를 들을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비가 올 때 학생들은 비를 맞으며 춤을 출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틱냥한이 [Being Peace]라는 책에서 말하듯 학생들은 종이 속에서 구름이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어야 한다. 구름 없이는 물이 없고, 물 없이는 나무가 자랄 수 없으며, 나무가 없이는 종이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 안에 햇빛도 있고, 나무꾼도 있고, 나무꾼이 먹은 빵이 있고, 나무꾼의 아버지가 있음을 보아야 한다. 이런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분리된 자아를 비울 수 있고, 전 우주에 가득 찰 수 있다.(끝)
추천자료
[진로교육][진로발달]초등학교진로발달의 수준,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초등학...
[진로교육]진로교육(진로지도)의 정의와 체계,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범위, 초등학교...
[진로교육]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이론과 원리,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초등학...
[특수교육]미국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독일의 특수학교교육과정(장애인교육), 뉴...
[특수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배경,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 특수학교...
[초등영어]초등학교영어교육의 개념, 초등학교영어교육의 필요성, 초등학교영어교육의 성격, ...
[공교육][사교육]공교육(학교교육)과 사교육의 개념, 공교육(학교교육)의 주체와 필요성, 공...
[공교육][학교교육]공교육(학교교육)의 개념, 공교육(학교교육)에 대한 편견, 공교육(학교교...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 국악(전통음악) 관련 학술행사, 초...
[특수교육]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특징, 제7차 특수학교교육과정의 교수지도, 제7차 특수...
[교육과정]교육과정의 의미, 교육과정의 관점, 교육과정의 개발 접근, 학교중심교육과정 개발...
[국어교육학][기업교육학][교과교육학][학교교육학][교육학][국어교육][기업교육][교과교육][...
[인권][학교인권교육][학교인권지도]인권의 개념, 인권의 특성, 인권의 내용, 인권의 의식수...
영국교육의 성격, 영국교육의 교육제도, 영국교육의 학교제도, 영국 초등학교교육의 현황,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