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젠다의 개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아젠다의 개념

2. 아젠다의 종류

3. 사례: 1가구 2주택 양도세면제 1년 단축과 분양권전매 제한

본문내용

지 않는다는 얘기이다.
분양받은지 1년이 지나지 않은 아파트도 당사자끼리 음성적 거래가 이뤄지면 이를 막을 수 없다. 과거에도 이같은 미등기 전매형식의 거래가 많았지만 밝혀낸 것은 극소수였다. 물량은 적지만 꾸준히 분양권 매물이 나오면 희소성으로 가격이 오를 소지도 크다.
조합원 몫이 가격 올린다? = 서울에서 공급되는 아파트는 대부분 재개발 재건축 아파트다. 이 가운데 일반분양 물량은 전체의 30~40% 안팎이라는 게 부동산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분양권 전매금지와 세무조사로 거래가 위축되면 결국은 이들 조합원 몫이 거래되면서 가격이 오를 수 있다.
강남의 중개업소 관계자는 "높은 청약열기로 분위기는 일반분양 아파트가 띄웠지만 실제 집값은 재건축 아파트가 올렸다."며 "분양권 거래가 위축되면 로열동 층을 보유한 조합원 몫이 크게 올라 이들이 집값을 끌어올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블루칩 분양시대 온다? = 무주택 우선 분양제도가 부활되면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아파트는 당첨이 어려워진다. 그만큼 이들 아파트의 분양권 값은 뛸 수 밖에 없다. 분양권 차별화현상이 심화된다는 것이다.
서울 미아동 신일공인 이병문 사장은 "25.7평 이하 아파트 매수세는 살아있는 반면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다만, 시간이 지나면 이들 소형아파트의 분양권 값이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대형이라도 입지가 좋은 아파트는 매물이 없다. 강남 삼성동 부동산정보공인 관계자는 "현대산업개발의 'I-PARK'는 매수세는 많지만 매물이 없어 양도세를 대신 내주고라도 사려는 사람이 상당수에 달한다."고 말했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5.24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0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