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동굴의 비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퍼거슨(Ferguson)과 올바른 도식
Ⅱ. 유비(analogy) 대 모사(imitation)
Ⅲ. 감각(perception) 대 억견(doxa)
Ⅳ. 억견에 들어가기

본문내용

다. 플라톤이 「국가」편 517b1에서 우리에게 하도록 요구한 것처럼, 앞서 언급된 모든 것에 동굴의 비유를 유비의 연장으로서 덧붙이는 나의 방법이 수평선의 특징이다. 그리고 수직선의 특징은 생성(becoming)의 세계와 존재(being)의 세계 사이를 나누는 선으로부터 가시적인 유비적 설명항(explicans;유비항)과 예지적인 유비적 피설명항(explicandum;피유비항) 사이를 나누는 선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러한 독특한 구분법은 가시적인 대상(the visible)과 억견의 대상(the opinable;doxaston)에 대한 개념들 사이의 뚜렷한 구별을 보증하는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동굴에서의 삶이 실제로 의미하는 것, 즉 억견(opinion)에 지배되는 삶을 위한 도표 상의 위치를 발견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인쇄상의 편의를 위해서 나의 도표는 선분의 비유의 실제 비율들(proportions)을 무시하고 있지만, 그러나 그 비율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누구든지 어렵지 않게 그 실제 비율들이 지켜지고 있는 것처럼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동굴을 나타내는 것(S1, S2)과 그것의 해석(S5, S6)에 내가 첨부한 것들에도 또한 4:6:8:12::6:9:12:18과 같은 합당한 비율들이 서로간에 그리고 원래의 부분들에, 이렇게 양쪽에 주어질 수 있다.
이제 나는 플라톤의 유비의 사용에 관해서 좀 더 이야기 하고(Ⅱ), 도식안에서의 그 고유한 탁월성을 억견에 부여하고(Ⅲ과 Ⅳ), 플라톤의 몇 가지 실수와 그것의 결과적 혼동을 설명하고(Ⅴ), 동굴의 비유를 해석하고(Ⅵ), 그리고 그 전체를 플라톤 인식론의 더 넓은 문맥 안에 배치(Ⅶ)할 것이다.
생성의 세계
존재의 세게
가시적인 것으로의
의견의 대상일 수 있는 것으로의
직관으로 알 수 있는 인식할 수 있는
태양의 유비 507a-509c
태양빛에 드러난 상위의 세계
예) 정의로움의 현상
예) 나무
선분의 유비
509d-511e
상들
예:나무의 그림 자 간접적으로 봄
상의 본들
예:나무
직접 봄
형상들에 관한 가설적 진리들:제일원리 없이
형상들에관한 범주적 진리들 :제일 원리를 가지고
상상
eikasia
믿음
pistia
억견
doxa
추론적 사고
dianoia
순수 사유
noesis
동굴의 유비
514a-534e
동굴의 불빛
위와 동일
위와 동일
예)
정의로움의 상의 그림자들
예)
정의로움의 상들
위와 동일
위와 동일
사물들의 상(images)의 그림자들
상들
예)3-D
사물들의 본들
S1
S2
S3
S4
S5
S6
S7
S8
가시적인
예지적인
Ⅱ. 유비(analogy) 대 모사(imitation)
우리쪽에서 그리고 이따금 플라톤 쪽에서, 때때로 서로 얽혀진 채 자주 나타나는, 몇 가지 해석상의 혼동과 불일치는 한 가지 것을 다른 것에 비유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대로 구별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한다. 간단히 그것들은 (1)유비적인 유사함(analogical likeness)-여기에서 x는 y를 의미한다(x La y)-과 (2)복사본/원형의 유사함(copy/original likeness) 혹은 모사(imitation)-여기에서 x와 y는 비교된다(x Lc y)-이다. 유비(analogy)는 모두 y에 관한 것이고 x에 관한 것이 전혀 아니지만, 비교(comparison)는 동등하게 x와 y에 관한 것이다.
유사함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유비가 된다. 가장 기본적인 유비는 숫적 유비인데, 예를 들어 3대 6은 4대 8과 마찬가지이고 이것은 3과 6의 관계가 4와 8의 관계, 즉 \'∼의 절반\'의 관계임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우리는 단지 동일성(identity)만을 사용했다. 우리가 숫자로 표현되지 않는 용어들과 관계들을 도입하고 나서야 유사함이 시작된다. 즉 건강과 신체의 관계는 덕과 영혼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혹은 그 관계의 동일성을 상세히 설명하자면, 건강이 신체의 완성인 것처럼 덕은 영혼의 완성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관계의 동일성뿐만 아니라 파생된 유사함을 가지고 있다. 즉 건강과 덕은 각각이 어떤 것의 완성이라는 점에서 유비적으로 유사하고, 시각과 이성(reason)은 각각이 어떤 것의 최상의 능력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리고 빛과 진리는 각각이 어떤 최상의 능력의 실천을 위한 필요 조건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다. 등등... 그러나 명백한 이유때문에 두 개의 숫자들은 각각이 어떤 숫자의 절반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는다.
유비의 일반적인 형식은, La가 유비적 유사함일

키워드

플라톤,   동굴,   비유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2.05.24
  • 저작시기2002.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5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