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관리도의 개념
Ⅱ. 관리도의 종류
Ⅲ. 관리도의 해석
Ⅱ. 관리도의 종류
Ⅲ. 관리도의 해석
본문내용
-677-1126
관리도
www.SQC.co.kr 한국 품질관리학원 02-677-1126
3]
c
관리도
1) 관리대상
일정 단위중 나타나는 흠의수, 결점수를 취급할때 사용한다.
㉠ 결점수에 대해 n이 일정할때
㉡ 같은 단위로 되어있을때
㉢ 물품 한개중에 결점수가 적을때는 일정갯수중의 결점수를 사용해도 된다.
예) 라디오 한개중 납땜 불량갯수
2) 공 식
①
c
관리도
㉠ 중심선(Center Line) ;
CL
barc = {sumc} over k
㉡ 관리한계선(Control Limit) ;
UCL```,```LCL
ⓐ
UCL = barc + 3 root barc
ⓑ
LCL = barc - 3 root barc
3) 3
수리한계
E(c)``±`` 3D(c) = barc ``±`` 3 root barc
= barc`` ±`` 3 root barc
4]
u
관리도
1) 관리대상
검사하는 시료의 면적이나 길이등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 사용다.
예) 직물의
/ m^2
당 얼룩수, 에나멜동선의 핀홀수
2) 공식
①
u
관리도
㉠ 중심선(Center Line) ;
CL
baru = {sumc} over {sumn}
㉡ 관리한계선(Control Limit) ;
UCL```,```LCL
ⓐ
UCL = baru + 3 root {baru over n}
ⓑ
LCL = baru - 3 root {baru over n}
3) 3
수리한계
E(u)``±``3D(u) ={ barc ``±``3root barc} over n
={ n baru`` ±``3 root{n baru}} over n
= baru ``±``3 root {baru over n}
= baru`` ±`` A root baru
Ⅲ. 관리도의 해석
1. 관리상태의 판정
1) 공정 관리상태의 판정 기준
① 점이 관리한계선을 벗어나지 않는다.
② 점의 배열에 어떤 습관성이 없다.
제1종과오
( )
: 관리상태에 있는데도 관리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과오이다.
제2종과오
( )
: 관리상태에 있지 않는데도 관리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과오이다.
2) 점과 관리한계선과의 관계에서 공정관리상태(Main Methcd)
① 연속 25점 모두가 관리한계선 내의 위치
② 연속 35점중 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1점 이내
③ 연속 100점중 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2점 이내
3) 점의 배열에서 이상상태(Subject Method)
㉠ 런(run)이 나타난다.
㉡ 경향(trend)이나 주기성(cycle)이 있다.
㉢ 중심선의 한쪽에 점이 많이 나타난다.
㉣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하여 여러개 나타난다.
① 런(run)
중심선의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난점을 런이라 한다. 최장런을 척도로 삼아 배열에 습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 5의 런 ; 공정의 진행에 주의한다.
㉡ 6의 런 ; action을 준비한다.
㉢ 7의 런 ; action을 취한다.
② 경향(trend) ; 점이 점차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태를 말한다.
(길이 7의 상승경향과 하강경향은 런과 동일하게 판정한다)
③ 주기(cycle)
점이 주기적으로 상하로 변동하여 파형을 나타내는 경우 주기변동의 원인추구와 동시에 관리 목적에 따라 군 구분의 방법, 시료채취방법, data를 얻는 방법 또는 data의 수정방법을 재검 토 해야한다.
④ 점이 중심선 한쪽에 편향될때
㉠ 중심선 한쪽으로 7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1점중 10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4점중 12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7점중 14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20점중 16점 이상이 계속될때
⑤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해서 나타날때(이상상태)
㉠ 연속 3점중 2점 이상
㉡ 연속 7점중 3점 이상
㉢ 연속 10점중 4점 이상
2. 공정해석
1) 공정해석의 순서
① 공정에 요구되는 특성치 검토 ; 기술적으로 중요한것. 해석을 위한 특성은 되도록 많게하고 수량화가 쉬운것을 선택한다.
② 특성치와 관계있는 요인의 선정을 한다.
③ 특성치와 요인의 관계조사를 한다.
④ 공정실험을 행한다
⑤ 해석결과의 표준화를 한다.
⑥ 표준에 따라 작업을 행하고 그 결과를 체크한다.
2) 군 구분의 원칙
① 군내는 가능한한 균일하게, 우연 산포만 존재토록 한다
② 군내 산포에 의한 원인과 군간 산포에 의한 원인이 기술적으로 구별되게한다.
③ 그 공정에서 관리하려는 산포가 군간산포로 나타낼 수 있게한다(검출력 증대)
3) 공정능력 지수의 계산(Process Capability Index)
①
S_U
와
S_L
이 동시에 주어진 경우
C_p = {S_U -S_L} over {6 rootV}
= {S_U -S_L} over {6 }
②
S_U
만 주어진 경우, ③
S_L
만 주어진 경우
C_p = {S_U -bar barx} over {3 rootV}
C_p = {bar barx -S_L} over {3 rootV}
④ 판 정
Cp
판 정
판 단
대 책
Cp≥1.67
지나치게 충분
관리간소화, cost 절감강구
1.67〉Cp≥1.33
1급
충 분
현상태 유지
1.33〉Cp≥1.0
2급
양 호
필요에 따라 공정능력 개선
1.0 〉Cp≥0.67
3급
부 족
공정의 관리개선
0.67〉Cp
4급
지나치게 부족
긴급대책, 규격 재검토
3. 군내변동과 군간변동
일반적으로 로트내의 산포는 군내의 변동
( _w^2 )
이고 로트간의 산포는 군간의 변동
( _b^2 )
을 의미 한다.
1)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관계식
관리도의
barx
의 움직임은 군내변동의
1 over n
과 군간변동의 합성으로 이루어진다.
※
_barx`^2 = _w^2 over n + _b ^2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합성)
① 군내산포 :
_w = barR over d_2
② 각군의 평균산포 :
_barx`^2 ={ sum(barx`_i - bar barx )^2 } over k-1
③ 군간변동 :
_b^2 = _barx`^2 - _w^2 over n
④ 전체 data의 산포 ;
_H^2 = _w^2 + _b^2
2) 변동의 비교
① 완전관리상태인 경우
( _b = o)
_barx`^2 = _w^2 over n```````
관리도
www.SQC.co.kr 한국 품질관리학원 02-677-1126
3]
c
관리도
1) 관리대상
일정 단위중 나타나는 흠의수, 결점수를 취급할때 사용한다.
㉠ 결점수에 대해 n이 일정할때
㉡ 같은 단위로 되어있을때
㉢ 물품 한개중에 결점수가 적을때는 일정갯수중의 결점수를 사용해도 된다.
예) 라디오 한개중 납땜 불량갯수
2) 공 식
①
c
관리도
㉠ 중심선(Center Line) ;
CL
barc = {sumc} over k
㉡ 관리한계선(Control Limit) ;
UCL```,```LCL
ⓐ
UCL = barc + 3 root barc
ⓑ
LCL = barc - 3 root barc
3) 3
수리한계
E(c)``±`` 3D(c) = barc ``±`` 3 root barc
= barc`` ±`` 3 root barc
4]
u
관리도
1) 관리대상
검사하는 시료의 면적이나 길이등이 일정치 않은 경우에 사용다.
예) 직물의
/ m^2
당 얼룩수, 에나멜동선의 핀홀수
2) 공식
①
u
관리도
㉠ 중심선(Center Line) ;
CL
baru = {sumc} over {sumn}
㉡ 관리한계선(Control Limit) ;
UCL```,```LCL
ⓐ
UCL = baru + 3 root {baru over n}
ⓑ
LCL = baru - 3 root {baru over n}
3) 3
수리한계
E(u)``±``3D(u) ={ barc ``±``3root barc} over n
={ n baru`` ±``3 root{n baru}} over n
= baru ``±``3 root {baru over n}
= baru`` ±`` A root baru
Ⅲ. 관리도의 해석
1. 관리상태의 판정
1) 공정 관리상태의 판정 기준
① 점이 관리한계선을 벗어나지 않는다.
② 점의 배열에 어떤 습관성이 없다.
제1종과오
( )
: 관리상태에 있는데도 관리상태에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과오이다.
제2종과오
( )
: 관리상태에 있지 않는데도 관리상태에 있다고 판단하는 과오이다.
2) 점과 관리한계선과의 관계에서 공정관리상태(Main Methcd)
① 연속 25점 모두가 관리한계선 내의 위치
② 연속 35점중 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1점 이내
③ 연속 100점중 한계를 벗어나는 점이 2점 이내
3) 점의 배열에서 이상상태(Subject Method)
㉠ 런(run)이 나타난다.
㉡ 경향(trend)이나 주기성(cycle)이 있다.
㉢ 중심선의 한쪽에 점이 많이 나타난다.
㉣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하여 여러개 나타난다.
① 런(run)
중심선의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난점을 런이라 한다. 최장런을 척도로 삼아 배열에 습관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 5의 런 ; 공정의 진행에 주의한다.
㉡ 6의 런 ; action을 준비한다.
㉢ 7의 런 ; action을 취한다.
② 경향(trend) ; 점이 점차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상태를 말한다.
(길이 7의 상승경향과 하강경향은 런과 동일하게 판정한다)
③ 주기(cycle)
점이 주기적으로 상하로 변동하여 파형을 나타내는 경우 주기변동의 원인추구와 동시에 관리 목적에 따라 군 구분의 방법, 시료채취방법, data를 얻는 방법 또는 data의 수정방법을 재검 토 해야한다.
④ 점이 중심선 한쪽에 편향될때
㉠ 중심선 한쪽으로 7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1점중 10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4점중 12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17점중 14점 이상이 계속될때
㉤ 연속된 20점중 16점 이상이 계속될때
⑤ 점이 관리한계선에 접근해서 나타날때(이상상태)
㉠ 연속 3점중 2점 이상
㉡ 연속 7점중 3점 이상
㉢ 연속 10점중 4점 이상
2. 공정해석
1) 공정해석의 순서
① 공정에 요구되는 특성치 검토 ; 기술적으로 중요한것. 해석을 위한 특성은 되도록 많게하고 수량화가 쉬운것을 선택한다.
② 특성치와 관계있는 요인의 선정을 한다.
③ 특성치와 요인의 관계조사를 한다.
④ 공정실험을 행한다
⑤ 해석결과의 표준화를 한다.
⑥ 표준에 따라 작업을 행하고 그 결과를 체크한다.
2) 군 구분의 원칙
① 군내는 가능한한 균일하게, 우연 산포만 존재토록 한다
② 군내 산포에 의한 원인과 군간 산포에 의한 원인이 기술적으로 구별되게한다.
③ 그 공정에서 관리하려는 산포가 군간산포로 나타낼 수 있게한다(검출력 증대)
3) 공정능력 지수의 계산(Process Capability Index)
①
S_U
와
S_L
이 동시에 주어진 경우
C_p = {S_U -S_L} over {6 rootV}
= {S_U -S_L} over {6 }
②
S_U
만 주어진 경우, ③
S_L
만 주어진 경우
C_p = {S_U -bar barx} over {3 rootV}
C_p = {bar barx -S_L} over {3 rootV}
④ 판 정
Cp
판 정
판 단
대 책
Cp≥1.67
지나치게 충분
관리간소화, cost 절감강구
1.67〉Cp≥1.33
1급
충 분
현상태 유지
1.33〉Cp≥1.0
2급
양 호
필요에 따라 공정능력 개선
1.0 〉Cp≥0.67
3급
부 족
공정의 관리개선
0.67〉Cp
4급
지나치게 부족
긴급대책, 규격 재검토
3. 군내변동과 군간변동
일반적으로 로트내의 산포는 군내의 변동
( _w^2 )
이고 로트간의 산포는 군간의 변동
( _b^2 )
을 의미 한다.
1)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관계식
관리도의
barx
의 움직임은 군내변동의
1 over n
과 군간변동의 합성으로 이루어진다.
※
_barx`^2 = _w^2 over n + _b ^2
(군내변동과 군간변동의 합성)
① 군내산포 :
_w = barR over d_2
② 각군의 평균산포 :
_barx`^2 ={ sum(barx`_i - bar barx )^2 } over k-1
③ 군간변동 :
_b^2 = _barx`^2 - _w^2 over n
④ 전체 data의 산포 ;
_H^2 = _w^2 + _b^2
2) 변동의 비교
① 완전관리상태인 경우
( _b = o)
_barx`^2 = _w^2 over 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