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윤의 시 노래에 대한 자료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도윤의 시 노래에 대한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제 목 : 이도윤의 시 노래에 대한 자료
□ 총 페이지수 : 3
□ 목 차:
바다3, 애인, 不惑, 노래
썩지 않기 위해
제 몸에 소금을 뿌리고
움직이는 바다를 보아라
잠들어 죽지 않기 위해
제 머리를 바위에 부딪히고
출렁이는 바다를 보아라
그런 자만이 마침내
뜨거운 해를 낳는다.



< 너는 꽃이다 >(1993)에서


<감상> 보편적인 자연 현상에 생기를 주고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 시인의 임무라면 우리는 그 시인의 눈을 통해서 세계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김수영은 `폭포`에서 `나타와 안정을 뒤집어 놓은`, `고매한 정신`을 형상화하였다. 이 시도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치열하게 맞서 싸우려는 정신을 살아있는 바다를 통해 그려냈다. 날마다 새롭게 태어나는 눈부신 해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가혹한 자기 성찰과 투쟁에 대한 결의가 늘 필요한 것이다. 생명감 넘치는 바다의 일출이 보고싶다.

이도윤(1957 ~ ) 은 전남 화순에서 출생, 광주 사레지오고를 거쳐 한양대를졸업, 1985년『시인』지에 `달` 등 8편의 시를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이 시인의 작품들엔 80년대 학살에 대한 저항의 자취가 어려 있고 현실에 응전하는 뜨거운 시심이 서려 있다. 주로 짧은 시편들에서 `단단한 나무가 피워낸 꽃의 향기`처럼 응축된 시심이 빛난다.

본문내용

핀 모란 같은 나이
孔子는 기원전
세상일에 미혹하지 않았다 했는데
쓰다듬을 만큼 수염이 자라
이제 늙어가는 일만 남아 있는가
흰머리를 뽑는 나의 불혹은
잔주름 같은 실수로 이마에 금을 긋고
말수만 줄어든 채 어금니로 박혀 있다
만화 같은 불륜의 오늘은 서러울 뿐
만취도 없이
피끓는 연애의 설레임도 없이
어떻게 사나
부디 철들지 마시라 나의 마흔이여
노래
 
밭매는 민요 같기도 하고
타령 같기도 하고
흘러간 유행가 같기도 한 나직한 노래 따라
담배연기 자욱한 화장실에 들어섰다
해탈을 한 음정 없는 노래가
낯선 사내를 부끄러워 않고
바지춤에 매달린다
수건을 두른 늙은 아줌마 쭈그려 앉아
식기 닦듯 얼싸안고 변기통을 문지르다
비누 범벅된 노래로
나를 힐끔 쳐다본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2.06.17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2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