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육단계별 장기 트레이닝 계획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육단계별 장기 트레이닝 계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raining의 기본원칙
2. Training계획의 분류
3. Trining의 순서
4. Training의 5대 요소

본문내용


1) 전신지구력 2) 각근지구력 3) Speed
* 심폐기능 산소섭취 능력
도 약
1) Speed 2) 순발력 3) 근력(각력) 4) 유연성
투 척
1) 근력 2) 순발력 3) Speed 4) 조정력
마 라 톤
1) 전신지구력(심폐기능) 2) 의지력 *산소섭취능력
장 애
1) Speed 2) 근력 3) 조정력
비 고
전문체력훈련은 종목의 유사동작을 할 때 부하를 주고
실제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전문체력을 육성한다.
팔, 다리, 가슴 등에 부하 또는 자동자 오토바이로 끌며 달리는 운동.
< 참고 15> 육상경기 세계기록 보유자의 필요한 Energy 비율
구분 거리
유산소Energy(%)
무산소 Energy 비율
100m
5
95
200m
9
91
400m
22
78
800m
42
58
1,500m
60
40
5,000m
85
15
10,000m
93
7
마 라 톤
99
1
Trining과 연습의 차이
1) Trining : 체력 요소의 향상이 목표이다.
(근과 순환계)의 훈련
2) 연습(Practice) : 기술향상이 목표이다.
(중추신경계)의 연습
(그림 1-14) Trining과 연습의 효과 지속
* Trining의 효과는 중지하면 급격히 저하된다.
연습의 효과는 항상 상태를 거의 지속이 된다.,
(표 1-10) Trining의 부하와 지속시간
Trining의 강도
Trining의 최저시간
지속시간의 적정시간
40-50%
15-20분
45-60초
60-70%
6-10분
18-30초
80-90%
4-6분
12-18초
100%
2-3분
6-10초
<참고 16> 육상경기의 종목별 기초체력요소의 비중과 전문체력
체력요소
종목








지 구 력



조 정 력
전 문 체 력


Relaxia tion
Balance
Rhythm
Timing
단 거 리
5
5
(4)
5
5
4
5
4
5
3
1)Speed 2)근력(각근지구력 산소부채능력 3)순발력(탄력)
중 거 리
5
3
4
5
5
3
5
3
5
2
1)각근지구력 2)Speed
3)전신지구력 4)심폐기능
장 거 리
4
(3)
3
3
5
5
3
5
4
5
2
1)전신지구력 2)각근지구력
3)Speed 4)심폐기능,산소섭취능력
장 애 물
5
4
5
2
5
5
5
5
5
4
1)Speed 2)근력
3)조정력 4)순발력
주 중 도
5
5
5
2
4
4
5
4
4
5
1)Speed 2)순발력 3)각근력
(근력) 4)유연성 5)조정력
주 고 도
4
5
5
2
4
5
5
4
4
5
//
삼 단 도
5
5
5
2
4
4
5
5
5
5
//
봉 고 도
5
5
5
2
4
5
5
5
5
5
//
투 포 환
4
5
5
2
4
4
5
4
4
5
1) 근력 2)순발력
3) Speed 4)조정력
투 원 반
4
5
5
2
4
4
5
5
5
5
//
투 해 머
4
5
5
2
4
4
5
5
5
5
//
투 창
4
5
5
2
4
5
5
4
4
5
//
마 라 톤
4
(3)
3
3
5
5
3
5
4
5
2
1)전신지구력(심폐)
2)의지력 3)산소섭취능력
평 가
1) 숫자 : 5가 최고비율(5-4-3-2)
2) 전문체력의 항목 훈련은 각종종별의 Form(형) 동작을 실시할 때 중량은 부하하여 훈련을 실시한다. ex) 중량물던지기, 모래주머니, 모래조끼, 철봉동작등 각종기구의 응요
부하강도
반복회수
주요효과
100%
1-2회
최 대 근 력
90%
3-5회
근 비
85%
6-8회
80%
8-10회
75%
10-12회
70%
13-15회
근 지 구 력
50%
20-30회
35%
50-60회
<참고 17> 근력의 부하강도와 반복가능회수
근강화 Trining의 빈도(W.T)
1) 주 3회제 일 경우
월요일 : 경랑일(최대근력의 50-70%)
수요일 : 중중일(최대근력의 60-80%)
금요일 : 중량일(최대근력의 90% 이상)
2) 주 4회제 일 경우
월요일 : 경 량(50-70%)
화요일 : 중중량(60-80%)
금요일 : 경량(50-70%)
3) 주 5회제 일 경우
월요일 : 경 량(50-70%)
화요일 : 중중량(60-80%)
목요일 : 중 량(90%이상)
금요일 : 경 량(50-70%)
토요일 : 중중량(60-80%)
(3) 일상생활면에서 요구되는 정신훈련
① 경기자로서 자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일상생활을 탑구해 나가는 능력과 태도.
② 영양섭취에 유의하여 1일 3식중 1식이라도 거르지 않는 능력과 태도
③ 훈련 직장근무 또는 학교의 공부 등으로 인한 피로가 효과적으로 회복이 되도록 휴식을 취하는 능력과태도
④ 훈련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는 부절제를 하지 않는 능력과 태도.
⑤ 항상 여가를 선용하는 능력과 태도
2) 체력훈련
체력 Trining은 연령 적합성의 원칙에 따라 선수들의 성장과정과 체력 요소의 훈련효과를 참작하여 발육단계별로 그 비율을 엄수하면서 중점적으로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 발육단계별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의 비율만 체력요소의 훈련효과로 참작할 것.
3) 기술훈련
기술훈련은 계통성의 원칙에 따라 발육단계별로 기술습득의 비율을 참작하여 기본이 되는 기초기술부터 기술습득의 원칙에 따라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4) 기술습득의 실시요령
(1) 기술습득의 원칙
① 기초적인 기술 가운데 응용기술을 더욱 중시한다.
② 기술의 중요성이 큰 데서 중요성이 적은 기술로 연습을 한다.
③ 쉬운 기술에서 어려운 기술로 연습한다.
④ 체력을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은 기술에서 체력을 더욱 필요로 하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2) 기술습득수단
① 전습에 의한 수단 : 기술의 전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동작으로 연습을 한다.
② 분습에 의한 수단 : 기술의 전체중에서 한 단위만을 별도로 연습한다.
③ 보완운동에 의한 수단 : 기술의 한 단위 또는 전체의 동작은 보조기 등을 이용하면서 보완연습을 한다.
(3) 기술의 단계
① 발육단계에서의 보는 기술 단계 :
일반적으로 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일반사회 단계로 구분한다.
② 연간 Trining중에서의 단계
전년도의 시합기가 끝나고 차년도의 시합기로 옮겨가는 기간을 단계적으로 구분한다.
㉮ 기초적인 기술을 정착시키는 단계
㉯ 전문적인 기술을 정착시키는 단계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06.23
  • 저작시기20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68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