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목차
目 次
第 1 章 序 論
第 1 節 硏究의 目的
第 2 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1. 硏究의 範圍
2. 硏究의 方法
第 2 章 住宅立地와 風水에 대한 理論的 接近
第 1 節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의 重要性과 構成要因
1.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의 重要性
2. 住宅立地의 構成要因
第 2 節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政策의 變遷과 問題點
1. 住宅立地政策의 變遷
2. 住宅立地政策의 問題點
第 3 節 住宅立地와 風水의 比較
1. 住宅立地에 있어서 風水適用의 擡頭
2. 風水의 內容 및 基本原理
3. 風水의 現代的 解釋에 의한 立地要因
4. 立地論의 住宅立地 構成要因과 風水의 立地要因의 比較
第 3 章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實證分析
第 1 節 分析 틀과 調査方法
1. 住宅立地와 關聯된 風水의 硏究傾向
2. 分析 틀
3. 調査方法
第 2 節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適用可能性의 認知度分析
1. 應答者의 社會人口統計學的 特性
2. 風水에 대한 一般的 關心의 認知度分析
3. 住宅의 外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
4. 住宅의 內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
5.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認知度分析
第 3 節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
1. 아파트團地의 槪觀
2.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
第 4 章 分析結果
第 1 節 認知度分析結果
1. 風水에 대한 一般的 關心의 認知度分析結果
2. 住宅의 外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3. 住宅의 內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4.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第 2 節 事例分析結果
第 5 章 風水의 適用可能性
第 1 節 住宅立地選定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2 節 住宅價格決定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3 節 住宅內部構造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4 節 水脈風水의 適用可能性
第 5 節 風水專門家의 養成必要性
第 6 章 結 論
ABSTRACT
參考文獻
1. 單行本
2. 論文
3. 外國文獻
第 1 章 序 論
第 1 節 硏究의 目的
第 2 節 硏究의 範圍와 方法
1. 硏究의 範圍
2. 硏究의 方法
第 2 章 住宅立地와 風水에 대한 理論的 接近
第 1 節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의 重要性과 構成要因
1.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의 重要性
2. 住宅立地의 構成要因
第 2 節 住宅政策에 있어서 住宅立地政策의 變遷과 問題點
1. 住宅立地政策의 變遷
2. 住宅立地政策의 問題點
第 3 節 住宅立地와 風水의 比較
1. 住宅立地에 있어서 風水適用의 擡頭
2. 風水의 內容 및 基本原理
3. 風水의 現代的 解釋에 의한 立地要因
4. 立地論의 住宅立地 構成要因과 風水의 立地要因의 比較
第 3 章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實證分析
第 1 節 分析 틀과 調査方法
1. 住宅立地와 關聯된 風水의 硏究傾向
2. 分析 틀
3. 調査方法
第 2 節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適用可能性의 認知度分析
1. 應答者의 社會人口統計學的 特性
2. 風水에 대한 一般的 關心의 認知度分析
3. 住宅의 外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
4. 住宅의 內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
5.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認知度分析
第 3 節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
1. 아파트團地의 槪觀
2.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
第 4 章 分析結果
第 1 節 認知度分析結果
1. 風水에 대한 一般的 關心의 認知度分析結果
2. 住宅의 外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3. 住宅의 內的 配置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4. 風水의 適用可能性에 대한 認知度分析結果
第 2 節 事例分析結果
第 5 章 風水의 適用可能性
第 1 節 住宅立地選定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2 節 住宅價格決定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3 節 住宅內部構造에 대한 適用可能性
第 4 節 水脈風水의 適用可能性
第 5 節 風水專門家의 養成必要性
第 6 章 結 論
ABSTRACT
參考文獻
1. 單行本
2. 論文
3. 外國文獻
본문내용
더 나가 住宅의 質的 需要을 충족시키면서 親環境的인 住宅立地政策을 추구할 必要性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새로운 住宅立地의 選定을 위해서는 새로운 接近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데, 그것이 바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이다. 물론 傳統的으로나 實生活에서 住宅立地에 대해 風水가 適用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風水의 科學性에 대한 회의 때문에 일반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이 硏究에서는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만을 探索하였다. 이는 앞으로 住宅立地政策에서 風水의 適用 틀을 提供하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
本 硏究에서는 理論的으로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의 重要性, 住宅立地의 構成要因,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政策의 變遷과 問題點, 住宅立地에 있어서 風水適用의 擡頭, 風水의 內容과 基本原理, 風水의 現代的 解釋에 의한 立地要因, 旣存 立地論의 住宅立地 構成要因과 風水의 立地要因과의 比較를 理論的으로 接近하여 그 理論을 바탕으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適用를 實證的으로 탐색하기 위해 不動産關聯從事者들에 대한 認知度分析과 아파트團地立地의 事例分析을 하였다.
그 結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妥當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適用可能性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住宅政策에서 都市住宅團地造成이나 共同住宅團地의 立地選定을 西歐 立地論의 長點인 經濟性과 機能性에만 치우치지 말고 거기에다가 風水의 立地要因을 추가하여 適用하면 經濟性·機能性은 물론이고 쾌적하고 質 좋은 住居環境을 조성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住宅價格을 決定하는 形成要因 중에서 社會的 要因에 속하는 風水의 立地要因은 住宅의 價格決定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韓國에서 住宅價格 決定現象을 說明하는데 있어서 風水는 매우 유용한 分析道具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住宅의 內部配置에 西歐의 여러 나라가 각 方位의 고유한 氣를 科學的으로 分析하여 活用해 오고 있는데, 韓國에서도 東四宅.西四宅論을 토대로 風水를 適用하여 각 方位에 고유한 氣를 고려한 陽宅風水를 적절히 適用할 경우 西歐보다도 適用可能性이 높다는 점이다.
넷째, 水脈이 健康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住宅을 建築하거나 住宅을 살 때 水脈을 확인하여 水脈이 흐르는 住宅을 가급적 피하거나 水脈을 防止할 수 있는 豫防策에 필요하기 때문에 水脈風水의 適用可能性은 매우 높다는 점이다.
이런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學問의 東西融合을 가져다 주는데 기여할 것이며, 風水가 앞으로 일정한 體系性을 확보하면서 都市行政學, 土地行政學, 不動産學, 建築學, 造景學, 地理學 등의 關聯學問分野에서 일정한 自己領域을 확립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風水를 住宅立地分野에서 먼저 實用化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것은 旣存의 立地論을 보완할 수 있는 現實的 側面도 있지만 바로 이런 風水의 適用을 통해서 關聯學問分野의 발전을 기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住宅政策에서 韓國的 傳統地理思想이며 土地觀이라고 할 수 있는 風水를 適用한 住宅立地選定의 硏究들이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風水의 適用을 통한 住宅立地의 選定은 旣存의 經濟性과 機能性을 중시하는 立地論을 補完할 수 있다는 觀點에서 住宅立地에 대한 새로운 接近을 提供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風水의 오랜 歷史性과 地理에 대한 論議와 接近은 적지 않게 硏究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分野에서는 어느 정도 理論體系가 定立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政策을 다루는데 데는 아직은 風水가 초보적인 關聯性만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本 硏究에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實證的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앞으로 住宅立地政策에서 風水의 適用必要性이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本 硏究가 住宅立地選定에 대한 風水的 論理의 接木, 住宅立地와 關聯된 風水의 立地要因의 設計, 그리고 이를 통한 一般化된 分析 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分析 틀을 설정하여, 地理的 한정성은 있으나 不動産關聯從事者들에 대한 認知度分析과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을 통하여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實證的으로 제시한 점은 住宅立地에 대해서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硏究한 旣存의 硏究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本 硏究는 住宅立地와 關聯된 學問分野에 새로운 지평을 提示하였고, 住宅政策을 立案하고 決定하는데 參與하는 政策決定者들에게도 새로운 視覺을 提供해 주는데 價値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本 硏究는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를 選定하는데 전연 고려하지 않고 있는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實證的으로 硏究함으로써 住宅立地와 關聯해서 초보적 段階에 머물러 있는 風水의 適用을 한 단계 높이는데 그 意味를 두고 싶다.
▣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의견조사 ▣
안녕하십니까?
본 의견 조사지는 박사학위 논문작성을 위한 자료수집의 일환으로 준비된 것으로서, 주택입지 및 부동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통적 요인 중에서 주로 風水地理에 관해 여러 선생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그러므로 이 의견 조사지는 순수하게 학문적인 목적으로만 이용될 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본 조사는 무기명으로 실시되고,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처리되므로 개인의 응답 내용은 비밀이 보장됩니다. 업무에 바쁘시고 응답하기에 번거로움이 있다하더라도 여러 질문들에 대해서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실하게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협조에 다시 한번 감사 드리며 앞날에 행운이 가득하길 빕니다.
1999. 4. .
연 구 자 : 김 승 완
전주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 행정학 박사 박 동 수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다음과 같은 각 문항의 질문에는 맞고 틀리는 것이 없습니다.
문항에 대하여 선생님의 견해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여 0표나 V표를 하여 주십시오.
1. 선생님은 평소 풍수용어(風水用語)인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 주산, 안산\" 등 풍수용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本 硏究에서는 理論的으로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의 重要性, 住宅立地의 構成要因,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政策의 變遷과 問題點, 住宅立地에 있어서 風水適用의 擡頭, 風水의 內容과 基本原理, 風水의 現代的 解釋에 의한 立地要因, 旣存 立地論의 住宅立地 構成要因과 風水의 立地要因과의 比較를 理論的으로 接近하여 그 理論을 바탕으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適用를 實證的으로 탐색하기 위해 不動産關聯從事者들에 대한 認知度分析과 아파트團地立地의 事例分析을 하였다.
그 結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妥當性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適用可能性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住宅政策에서 都市住宅團地造成이나 共同住宅團地의 立地選定을 西歐 立地論의 長點인 經濟性과 機能性에만 치우치지 말고 거기에다가 風水의 立地要因을 추가하여 適用하면 經濟性·機能性은 물론이고 쾌적하고 質 좋은 住居環境을 조성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住宅價格을 決定하는 形成要因 중에서 社會的 要因에 속하는 風水의 立地要因은 住宅의 價格決定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韓國에서 住宅價格 決定現象을 說明하는데 있어서 風水는 매우 유용한 分析道具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住宅의 內部配置에 西歐의 여러 나라가 각 方位의 고유한 氣를 科學的으로 分析하여 活用해 오고 있는데, 韓國에서도 東四宅.西四宅論을 토대로 風水를 適用하여 각 方位에 고유한 氣를 고려한 陽宅風水를 적절히 適用할 경우 西歐보다도 適用可能性이 높다는 점이다.
넷째, 水脈이 健康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住宅을 建築하거나 住宅을 살 때 水脈을 확인하여 水脈이 흐르는 住宅을 가급적 피하거나 水脈을 防止할 수 있는 豫防策에 필요하기 때문에 水脈風水의 適用可能性은 매우 높다는 점이다.
이런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學問의 東西融合을 가져다 주는데 기여할 것이며, 風水가 앞으로 일정한 體系性을 확보하면서 都市行政學, 土地行政學, 不動産學, 建築學, 造景學, 地理學 등의 關聯學問分野에서 일정한 自己領域을 확립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風水를 住宅立地分野에서 먼저 實用化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것은 旣存의 立地論을 보완할 수 있는 現實的 側面도 있지만 바로 이런 風水의 適用을 통해서 關聯學問分野의 발전을 기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住宅政策에서 韓國的 傳統地理思想이며 土地觀이라고 할 수 있는 風水를 適用한 住宅立地選定의 硏究들이 부족한 점을 감안하여 風水의 適用을 통한 住宅立地의 選定은 旣存의 經濟性과 機能性을 중시하는 立地論을 補完할 수 있다는 觀點에서 住宅立地에 대한 새로운 接近을 提供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風水의 오랜 歷史性과 地理에 대한 論議와 接近은 적지 않게 硏究되어 온 것도 사실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分野에서는 어느 정도 理論體系가 定立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政策을 다루는데 데는 아직은 風水가 초보적인 關聯性만을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와 같은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本 硏究에서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은 實證的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앞으로 住宅立地政策에서 風水의 適用必要性이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本 硏究가 住宅立地選定에 대한 風水的 論理의 接木, 住宅立地와 關聯된 風水의 立地要因의 設計, 그리고 이를 통한 一般化된 分析 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나름대로 分析 틀을 설정하여, 地理的 한정성은 있으나 不動産關聯從事者들에 대한 認知度分析과 아파트團地의 事例分析을 통하여 住宅立地에 대한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實證的으로 제시한 점은 住宅立地에 대해서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硏究한 旣存의 硏究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고 본다.
그러므로 本 硏究는 住宅立地와 關聯된 學問分野에 새로운 지평을 提示하였고, 住宅政策을 立案하고 決定하는데 參與하는 政策決定者들에게도 새로운 視覺을 提供해 주는데 價値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本 硏究는 住宅政策에서 住宅立地를 選定하는데 전연 고려하지 않고 있는 風水의 適用可能性을 實證的으로 硏究함으로써 住宅立地와 關聯해서 초보적 段階에 머물러 있는 風水의 適用을 한 단계 높이는데 그 意味를 두고 싶다.
▣ 주택입지에 대한 풍수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의견조사 ▣
안녕하십니까?
본 의견 조사지는 박사학위 논문작성을 위한 자료수집의 일환으로 준비된 것으로서, 주택입지 및 부동산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전통적 요인 중에서 주로 風水地理에 관해 여러 선생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그러므로 이 의견 조사지는 순수하게 학문적인 목적으로만 이용될 뿐,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것입니다. 본 조사는 무기명으로 실시되고,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처리되므로 개인의 응답 내용은 비밀이 보장됩니다. 업무에 바쁘시고 응답하기에 번거로움이 있다하더라도 여러 질문들에 대해서 빠짐없이 솔직하고 성실하게 응답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여러 선생님들의 협조에 다시 한번 감사 드리며 앞날에 행운이 가득하길 빕니다.
1999. 4. .
연 구 자 : 김 승 완
전주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지도교수 : 행정학 박사 박 동 수
전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 다음과 같은 각 문항의 질문에는 맞고 틀리는 것이 없습니다.
문항에 대하여 선생님의 견해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하여 0표나 V표를 하여 주십시오.
1. 선생님은 평소 풍수용어(風水用語)인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 주산, 안산\" 등 풍수용어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계십니까?
추천자료
[과외]사회탐구 모의고사 30문제 09
[한옥][온돌][전통가옥][현대가옥][한옥의 우수성]한옥의 형성, 한옥의 특성, 한옥의 구성, ...
[구동독][독일][독일통일][서독]구동독의 사유재산권 확립, 구동독의 국유기업 사유화, 구동...
노인주거복지시설 (양로시설, 노인복지주택, 노인공동생활가정)의 입소대상, 시설규모, 시설...
(부동산개발사업)양평군강하면전원주택사업계획서
렉스와 무어의 도시사회체제론-도시체계, 주택접근과 투쟁
경기 여주군 대신면 상구리 주말주택 사업계획서
전통건축의 친환경성과 현대에의 적용_보고서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동 공동주택 개발 프로젝트
전통건축과 관광해설
아파트 모델하우스 견학 보고서 - 청주 지웰시티
CFP 부동산설계 정리
한국 전통건축의 환경친화성의 분석
최근 여성가족부의 대규모 주택단지 청소년수련시설 의무화 폐지 논란이 있었다. 여가부의 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