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채 경제학의 재평가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박현채 경제학의 내용

1. 방법론

2. 농업문제 연구

3. 한국사회분석론

4. 변혁론

5, 박현채의 사회주의관

Ⅲ. [민족경제론]의 본질 - 마르크스주의적 후진국개발론

Ⅳ. 박현채 경제학의 유산

Ⅴ. 박현채 경제학의 한계

Ⅵ. 맺음말

본문내용

, 미성숙이 아니라 자본의 과잉으로 고통당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는 기본모순은 노자간의 계급모순이고, 주요모순 역시 자본주의적인 것으로 바뀌어 재벌독점자본 대 노동자, 제국주의자본 대 민중의 모순으로 이행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럴 때 한국사회의 전략적 과제는 반독점 민주화, 대외적 자주의 확보, 통일의 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구체적인 내용은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반독점 민주화의 구체적인 과제로서 중요한 것은 국민경제를 실질적으로 장악하고 있는 재벌을 해체하고 기업의 소유경영구조를 민주화하는 것이다. 또한 반독점 민주화를 위하여 실질적인 정치적 민주화를 달성해야 한다. 국가보안법 등 비민주적 법률을 폐지하고 정치관계법을 개정하고 진보정치세력이 성장하도록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가 시행되어야 한다. 대외적 종속을 극복하고 경제적 자주권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대외무역과 자본이동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단기자본에 대해서는 양적 규제나 토빈세 등에 의한 장벽을 설치해야 한다. 외국자본의 국내 기업 지배는 국민경제의 관제고지가 아닌 일부 부문에만 허용해야 한다. WTO는 강대국 자본의 이해관계가 관철되는 조직이므로 해체하고 선후진국 민중들의 요구가 관철되는 새로운 국제 경제협력기구를 설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6.15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반통일세력은 약해지고 정부 및 보수여당과 독점재벌도 남북관계 개선을 주장하고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되었다. 점진적인 자본주도의 통일이 진행될 전망이므로 노동자계급과 민중들의 진보진영은 자주, 평화, 변혁과 진보, 민중 주체를 원칙으로 하여 통일을 추진하여야 한다. 종속적 독점자본주의의 불평등 불안정과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경직성과 생산력 침체를 극복하는 통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의 실천은 오늘의 한국사회에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객관적 모순을 파악하는 데는 개념과 이론이 필요하다. 그런데 개념과 이론은 과거에 존재했던 객관적 실재에서 추상된 것으로 그것의 내용은 현재의 문제를 모두 반영할 수는 없다. 기존의 개념과 이론을 발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여 현실을 규정하는 것은 선입견에 의한 일반화에 빠지기 쉽다. 박현채의 경제학에서 우리는 그 핵심적 본질을 수용하고 과거의 현실에서 규정된 낡은 것을 가려내어 발전시키는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다끼자와 히데끼, 1995. "한 일본인이 본 민족경제론",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박순성 김균. 2001, "정치경제학자 박현채와 민족경제론 - 한 경제학사의 관점에서", 『동향과 전망』 통권 48호, 2001년 봄호.
박영호, 1995. "역사적 맥락에서 본 민족경제론",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박현채 1961, "자본주의와 소농경제",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한국농업의 구상』, 1981에 재수록 )
박현채, 1969, "계층 조화의 조건", 『정경연구』, 11월(『한국경제의 구조와 논리』, 1981년에 재수록 )
박현채, 1976, "중소기업 문제의 인식", 『창작과 비평』, 여름(『민족경제론』, 1978년에 재수록)
박현채, 1997, "현행 소작제도의 경제제도적 성격규정에 대한 문제제기", 『농업정책연구』 제4호(『한국농업의 구상』, 1981에 재수록),
박현채, 1978, 『민족경제론』, 한길사
박현채, 1978, 『민중과 경제』, 정우사
박현채, 1981, 『한국농업의 구상』, 한길사
박현채, 1982, 『한국경제의 구조와 논리』, 풀빛
박현채, 1983, 『한국경제와 농업』, 까치
박현채, 1984, 『경제현실의 인식과 실천』, 학민사
박현채, 1984, 『한국자본주의와 민족운동』, 한길사,
박현채, 1986, 『한국경제구조론』, 일월서각
박현채, 1987. "한국사회에서 반봉건의 내용과 민주주의", 『창비』, 1987, 창작과 비평사(『민족경제와 민족운동』, 1988에 재수록)
박현채, 1988, 『민족경제와 민중운동』, 창작과 비평사,
박현채, 1989, 『민족경제론의 기초이론』, 돌베개,
박현채, 1990, "한국전쟁과 한국경제의 전개", 『현대사회』 제36호.
박현채, 1990,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에 제3의 길은 있는가", 『민족지평』 여름.
박현채 1992a, "사회주의: 자본주의에 후속하는 단계". 『창작과 비평』, 제 20권 1호, 봄.
박현채, 1992b, "오늘의 한국자본주의 현실과 우리의 역사적 과제에 대한 인식", 사월혁명연구소, 월례발표 논문.
박현채, 1992c, "현대사와 민족민주운동", 『청년을 위한 한국현대사』, 소나무
유동민 2000, "민족적 민중적 관점 총괄한 독창적 경제이론", 『교수신문』, 11월 20일
이미숙 1995, "병상에 누운 민족경제론",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이병천(이민철) 1986, "국가독점자본주의론과 민족경제론", 『녹두서평』 1, 녹두
이병천. 2001. "다시 민족경제론을 생각한다-국민경제와 민주주의의 정치경제학", 『동향과 전망』 통권 48호, 2001년 봄호.
장상환, 1988, "현행 소작제의 실태와 성격", 『해원박기혁교수 정년기념논문집』
전철환, 1995, "민족경제론의 구조와 의의",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정성진, 1986, "민족경제론의 제문제" 『산업사회연구』 제1집, 한울.
정윤형, 1995. "민족경제론의 역사적 전개", 『민족경제론과 한국경제』, 창작과 비평사.
조석곤. 2001, "민족경제론 형성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그 이론화 과정", 『동향과 전망』 통권 48호, 2001년 봄호.
조용범, 1975, 『후진국경제론』(초판 1973), 박영사.
황광우, 2000, "남한 민중운동의 과제와 노동자계급의 정치세력화에 대하여", 『황해문화』 29, 겨울.
梶村秀樹, "『民族經濟』をめぐって", 『朝鮮史硏究會會報』제69호, 1983년 1월(『梶村秀樹著作集』 제3권, 1993년에 수록)
梶村秀樹, "朝鮮近代史硏究における內在的發展の視角", 維藻ほか編, 『東아시아 世界史探究』, 1986)(『梶村秀樹著作集』 제2권, 1993년에 수록)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2.07.06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