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과 인플레이션에 관한 자료가 필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업과 인플레이션에 관한 자료가 필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임금의 하방경직성과 비자발적 실업
2.실업의 정의와 형태
3.실업에 대한 대책
4.인플레이션의 영향과 대책
5.장기적 실업(자연 실업률)
6.인플레이션의 사회적 비용
7.케인즈이론에 대하여

본문내용

의 황폐 초래할 것이라 주장!
- 증권투기를 통해 巨富가 됨. - 42세에 러시아 출신의 발레리나와 결혼.
○ (1936)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발간.
= 대공황기. 경제학의 3대 古典.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강조. 한때 극우주의자들에 의해 볼셰비키로 오인될 정도.
○ 케인즈의 경제이론
- 케인즈이론의 혁명성
cf. 리카도 인용(p.288) vs. 케인즈는 노동과 자본의 결합투자 그 자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 거시이론(Macroeocnomics)/과 cf.미시경제이론 구분
<일반이론의 개요>
⑴ 비자발적 실업이론
실업 : 정의상 비자발적, 그러나 고전학파에서는 완전고용이 일반적이라 가정.
cf. 케인즈가 사용하는 고전학파라는 용어의 의미.
고전학파 : 노동수요/공급곡선 도출 ☞ 실업의 원인은 임금이 높기 때문.
But, 비자발적 실업의 존재라는 현실 ☞ 명목임금의 하방경직성으로 설명(p.293의 그림)
cf. 케인지언비판 - New Keynesian(메뉴코스트)
⑵ 유효수요이론
실업의 원인 ← 유효수요의 부족. cf.유효수요의 개념.
총수요(aggregate demand)에 주목
E = C + I + G + X - IM cf. 각 항목의 결정인자 설명要
① 소비 : 소비성향
cf. 3대 심리법칙 : 케인즈의 전략적 독립변수(케인즈는 인간심리 또는 예상을 그 누구보다도 강조한 경제학자임)
: 0<한계소비성향<1, 유동성선호, 자본의 한계효율. 평균/한계소비성향
☞ 소득이 증가할수록 소비는 증가하지만, 그 증가분은 감소.
∴ 소득분배가 평등할수록 총소비는 증대 → 경제정책적 함의(Keynesian Welfare State).
② 투자 : 결정요인 : 이자율 vs.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
cf. 특히 경기침체 및 공황기에는 예상수익률이 중요 = 케인즈는 이를 \"자본의 한계효율\"이라 命名.
장기적으로는 자본의 한계효율저하경향이 존재 → Hansen의 장기침체론.
(소득창출의 정당성...)
⑶ 국민소득결정이론
Y = C + S + T = E = C + I + G + X - IM → 주입 = 누출
DD(총수요곡선) : 고용량(N)이 변함에 따라 생산되는 산출량으로부터 나오리라 예상되는 매상고
ZZ(총공급곡선) : 일정한 고용량을 유인하기만 하는 매상고
cf. Say\'s law의 逆
☞ 국민소득은 유효수요의 크기에 의해 결정(케인즈 유효수요원리의 핵심).
⑷ 승수이론
- E = C + I + G + X - IM에서, 독립변수의 외생적 증가는 그 증가분의 몇 배(=승수)에 달하는 국민소득 증가를 유발(←R. F. Kahn).
물론 핵심은 정부지출의 증대. cf. 수치예 :(△G=100. MPC=0.8)
⑸ 유동성선호이론 : 이자율은 화폐량과 유동성선호(화폐수요)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
cf. 고전학파의 이자론 : 투자와 저축(p.311의 그림-대부자금설) - 유동성(liquidity)의 def.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2.07.15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8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